Directions
KAIST 전산학부 박진영 박사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신임교원 임용
KAIST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 연구실에서 대화 모델링 연구로 2020년 박사학위를 받은 박진영 박사가, 2020년 9월부로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었다. 박진영 박사는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분야 top 국제학회인 ACL, EMNLP 등에 다수의 우수 연구 성과를 발표했으며, Microsoft Research Asia에서 research intern으로 United Nations Global Pulse Lab에서 junior data scientist로 활동하였다. 박진영 박사는 KAIST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동안 국내외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KAIST 전산학부의 탁월한 연구 수준을 나타내었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 ACM ICFP 2021 학회 총괄 위원장 선임
KAIST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가 ACM SIGPL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nctional Programming (ICFP) 학회의 총괄 위원장 (General Chair)에 선임됐다. ICFP 학회는 25년 역사의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최고 학술대회 중 하나로, CORE A* 학회이다. 류교수는 내년 8월에 열리는 26회 ICFP 학회를 총괄 주관하여, 코비드19의 상황에 따라 전면 온라인으로 실시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실시할 경우 KAIST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Read more전산학부 홍성은 박사 인하대 정보통신공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홍성은 박사 (지도교수: 양현승)가 2020년 9월 1일부로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홍성은 박사는 2018년 KAIST 전산학부 박사학위 취득 이후, 2년간 SK텔레콤 AI센터 T-Brain에서 Research Scientist로 근무하였다. 홍성은 박사는 딥러닝 기반의 컴퓨터비전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ECCV, CVPR, ICCV, TIP 등 컴퓨터비전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 및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해왔다. 박사과정 동안의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2017년 네이버 Ph.D. 펠로우십을 수상하였고, SK텔레콤 최고기술전문가 그룹인 SKT TEB(Tech Expert Board)로 활동하여 대상을 수여받은 바 있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최성희 교수 Test of Time Award 수상
KAIST 전산학부 최성희 교수가 “The power crust, unions of balls, and the medial axis transform” (CGTA, Volume 19, Issue 2-3, July 2001, Pages 127-153) 논문으로 계산기하학 분야의 대표 저널인 Computational Geometry: Theory and Applications (CGTA) 의 Test of Time Award를 수상하였다. CGTA Editorial-in-chief 인 Dr. Jörg-Rüdiger Sack은 CGTA Editorial Board가 압도적 표차로 상기 논문의 수상을 결정하였다고 말했다. 이 논문의 공저자인 Nina Amenta교수와 Ravi Kolluri박사, 최성희 교수는 함께 2500$의 상금을 받게 된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이성호 박사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신임교원 임용
KAIST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 연구실에서 프로그램 분석 연구로 2020년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Google에서 Visiting Faculty Researcher로 재직 중인 이성호 박사가, 2020년 9월 부로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었다. 이성호 박사는 SW 공학분야 top 국제학회인 ICSE, ASE, ISSTA 등에 다수의 우수 연구성과를 발표했고, 2020년 전산학부 우수논문상, 2018년 OOPSLA Distinguished Artifact Evaluation Committee, 2017년 NAVER Ph.D. Fellowship Award 및 전산학부 우수조교상을 4회 수상했다. 이성호 박사는, 해외 연구 경력 없이, KAIST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마친 후 우수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KAIST 전산학부의 탁월한 연구 수준을 나타냈다.
...Read more전산학부 석사과정 홍재민 학생, 관정 장학생 선정
전산학부 석사과정 홍재민 (지도교수: 류석영) 씨가 2020년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 국내대학 대학원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관정교육재단은 지난 2002년부터 삼영화학그룹 이종환 회장이 전 재산을 기부해 국내·외 장학사업을 벌이고 있는 아시아 최대 장학재단으로, 대한민국의 최우수 인재들을 선발하여 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인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국내대학 대학원 장학생은 전국 대학의 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 박사과정 대학원생 가운데 학업 능력 및 연구 활동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추천되어 서류, 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되었으며 이번에 선정된 홍재민 씨는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에서 장학금 총 2,200만원을 받게된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김윤호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신임교원 임용
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에서 SW 테스팅 자동화 연구로 2017년 박사학위를 받은 김윤호 연구 교수가, 2020년 9월 부로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었다. 김윤호 박사는 SW 공학분야 top 국제학회인 ICSE, FSE, ASE 및 top 저널인 IEEE TSE, ACM TOSEM 등에 다수의 우수 연구성과를 발표했고, ICST 2018 국제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김윤호 박사는, 해외 연구 경력 없이, KAIST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 및 KAIST 연구교수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인정받아, KAIST 전산학부의 높은 연구 수준을 다시 한번 입증받았다.
...Read more이성주 교수, 모바일컴퓨팅 학술대회(MobiCom) 프로그램위원장 선임
우리 대학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가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모바일컴퓨팅학술대회(ACM MobiCo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의 프로그램위원장(Technical Program Chair)에 선임됐다. 이 교수는 내년 열리는 27회 모바일컴퓨팅학술대회에서 관련분야 최고 전문가 70여 명의 프로그램위원을 직접 선발하고 대회에 제출될 400여편의 논문 선정 심사를 주관한다. 모바일학술대회는 1995년에 설립돼 무선 네트워크 및 통신, 애플리캐이션과 서비스, 모바일 데이터 과학 등 모바일 컴퓨팅에 관한 모든 연구를 다루는 핵심 학술대회이다. 전 세계의 관련 분야 학자와 기업인이 대회에 참가하며, 대회에 제출된 논문 중 상위 20퍼센트 미만 가량만 선정하는 등 관련 분야 최고 권위 학회로 자리 잡았다. 이 교수는 무선 이동 컴퓨팅 시스템 설계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자이다. 세계전기전자공학회 (IEEE)의 Fellow 이며, 2014년에는 같은 학회 (ACM MobiCom)의 학회집행위원장 (General Chair)을 성공적으로 맡은 경험이 있다. 오래동안 모바일 컴퓨터와 네트워크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1년도 프로그램위원장을 맡게 됐다. 이 교수는 “이번 대회는 학회의 최우수 전통을 유지하면서, 모바일 컴퓨팅의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이론적의 탄탄함과 높은 기술 이전 가능성을 겸비한 논문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제 27회 ACM MobiCom은 내년 10월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Read more문수복 교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신규 심의위원에 위촉
지난 6월 28일 우리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기 심의위원에 위촉되었다. 새로 위촉된 신규위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전문성 및 연구성과, 정책경험, 산·학·연 구성 비율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문수복 교수는 "국내 전산학 1세대로서 국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표준 정립을 선도한 사이버보안 선도자”로 그 성과가 인정되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위원 위촉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전산학부 황지영 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에 2020년 7월 1일부로 황지영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황지영 교수는 2015년도에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은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데이터 지능으로 자세한 이력과 연구실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05&kind=faculty&menu=160 https://cs.kaist.ac.kr/research/labView?sn=109&menu=64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 AAAI ICWSM Test of Time Award 수..
우리 학교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기초과학연구원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CI 겸직)는 2010년 게재한 ‘백만 팔로워의 오류(Mea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논문으로 AAAI ICWSM Test of Time Award를 수상하게 된 소식이, 현재 온라인으로 개최되고 있는 제14회 웹 소셜미디어학회 (ICWS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and Social Media)를 통해 전해졌다. Test of Time Award는 오랫동안 지속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과거의 연구에 주어지는 특별한 상으로, 차 교수의 논문은 올해로 게재된 지 10년이 되고 그간 3,669회 피인용 되었다.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영향력을 계산하는 다양한 측정법의 비교와 한계를 보여주며, 특히 트위터상에서 단순히 팔로워가 많다고 메시지의 전파 영향력이 크지 않다는 '백만 팔로워의 오류'를 데이터로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분석에 서버 50대로 수집한 54,981,152 사용자계정, 1,963,263,821 소셜링크, 그리고 1,755,925,520 트윗이 사용되어 당시 이례적으로 방대한 네트워크 분석에 기인하였으며, 추후 연구와 함께 이 데이터가 공유되어 수천 건의 후속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연구 내용 중에는 얼마나 오랜 기간 영향력자가 활동하는지, 또한 분야를 넘나들며 다양한 토픽에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지도 다룬다. 새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 누가 영향력자가 되는지의 사례 분석을 통해, 영향력자는 기존 accidental influentials 이론에서 주장된 것처럼 우연히 발생하지 않고 몇 가지 전략을 통해 빠르게 영향력자로 떠오를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은 자산규모가 크게 성장한 소셜네트워크 플랫폼에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영향력자의 선정 알고리즘에 새로운 통찰력과 해석을 제공했다. 이 연구는 2010년 당시 뉴욕타임스지 온라인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차 교수는 카이스트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과정에 있는 동안 이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수상 소식을 통해 '당시는 소셜네트워크 플랫폼의 데이터가 전산학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어려운 사회과학 문제에 인터넷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재미있어서 밤새 연구한 기억이 난다. 오랜 시간 동안 사랑받는 연구가 되어서 감사하다'라고 전했다. 논문 링크: https://www.aaai.org/ocs/index.php/ICWSM/ICWSM10/paper/viewPaper/1538 뉴욕타임즈 기사: https://tinyurl.com/y9sel22k
...Read more전산학부 김태균 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에 2020년 6월 1일부로 김태균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김태균 교수는 2008년도에 University of Cambridge 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은 컴퓨터비전, 기계학습으로 자세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88&kind=faculty&menu=16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 ICLR 2021 학회 공동학술위원장 선임
KAIST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가 내년 4월에 열리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ICLR) 학회의 공동학술위원장을 맡게 되었다. ICLR 학회는 2019년 튜링상 수상자 Yann LeCun 과 Yoshua Bengio가 공동 창시한 학회로, 올해로 8회밖에 안 되었지만 기계학습 분야에서 NeurIPS에 이어 2번째로 큰 규모의 국제학회이다. 2020년은 코비드19의 영향으로 전면 온라인으로 실시되었고 2021년 학회는 5월 초 비엔나에서 열릴 예정이다. 오교수와 함께 네이버 유럽연구소의 Naila Murray가 학술위원장으로 활약하고, 앞서 2020년 ICLR 학회는 KAIST 전산학부 동문인 뉴욕대학교의 조경현 교수가 역임했다.
...Read more한동수 교수, ‘실전 스타트업 바이블’출판
KAIST(총장 신성철)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업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참고할 스타트업 입문서 ‘실전 스타트업 바이블’을 출간했다. 저자 카이스트 한동수 교수는 의과대학에서 공과대학으로 진로를 바꾼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또 학부를 3년에 졸업하고 박사를 2년에 졸업한 진기록도 가지고 있다. 교수를 하면서 수차례 창업하여 스타트업의 이론과 실전을 겸비한 전문가이다. 저자는 급격한 변화가 예견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스타트업 창업자가 파악해야 하는 변화의 핵심 내용과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리고 싶어 이 책을 집필했다고 말한다. 저자는 My Story에서 그동안 해온 3번의 스타트업 창업 경험을 풀어놓는다. 독자는 이를 통해 스타트업 창업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에 대해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창업 당사자가 직접 들려주는 현실감 넘치는 사업 이야기는 독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한 숨에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사업 성공에 대한 기대도 한껏 끌어올려주고 있다. 저자는 카이스트 대학원에서 개설한 “스타트업 설계” 그리고 “융합 캡스톤” 수업에서 수년 동안 학생들과 토론한 내용을 책에 담았다. 본인이 경험한 쓰라린 실패에 대해서도 진솔하게 밝히고 있다. 이 책에는 처음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참고가 되는 많은 교훈이 있다. 그야말로 스타트업 바이블이다. 저자는 불확실한 미래에 안정적인 길만을 모색할 수밖에 없게 된 청년들에게 스타트업 창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왜 필수적인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설득하고 있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발명을 하고, 특허를 출원하는 것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특허 출원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책, <이야기로 배우는 특허 실전>에 담겨 출간될 예정이다.
...Read more“인포데믹 막아라” 국내 과학자들 나섰다
우리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의 “국가에서 국가로 퍼지는 인포데믹(정보감염증)을 막기 위해 이화여대 간호대와 함께 ‘루머 보다는 팩트(Facts before rumor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과 관련된 언론기사 입니다. 관련기사 보기
...Read more[인터뷰] 차상길 교수, “카네기멜론 사이랩 모델 추진”
우리 전산학부 차상길 교수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인터뷰] 카이스트 차상길 사이버보안연구센터장, “카네기멜론 사이랩 모델 추진”
...Read more전산학부 김민수 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에 2020년 3월 1일부로 김민수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김민수 교수는 2006년도에 KAIST 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은 데이타베이스로 자세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00&kind=faculty&menu=16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전산학부 이길호 박사 숭실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이길호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 가 2020년 3월 1일부로 숭실대학교 IT대학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길호 박사는 2019년 KAIST 전산학부 박사학위 취득 이후, 1년간 KAIST 전산학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현재까지 컴퓨터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IEEE RTSS, IEEE RTAS, ACM MobiCom, ACM EMSOFT, IEEE IoT-Journal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 및 게재하였다. 또한, ACM MobiCom 2019 및 IEEE CPSNA 2014 에서 각각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으며, 2019년 전산학부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https://sites.google.com/view/khlee
...Read more정보보호대학원 손수엘 교수 연구진 NDSS 2020에 논문 게재 및 발표
손수엘 교수 연구진은 이번 2020년 2월 24~27일 미국 San Diego에서 개최된 보안 분야 최우수학회 중 하나인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NDSS) 에 논문 FUSE: Finding File Upload Bugs via Penetration Testing 을 게재 및 발표 하였다. (Acceptance Rate: 17.4%)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파일업로드 기능은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를 공유한다는 관점에서,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하지만, 파일업로드 기능은 공격자가 생성한 임의의 파일을 대상 서버에 업로드하여, 대상 시스템을 장악하는 디딤돌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적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Web Security & Privacy 연구실에서는 모의 공격 테스팅 (Penetration testing) 도구 FUSE를 제작하여 WordPress, Joomla등 널리 쓰이는 33개의 실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30개의 새로운 파일업로드 취약점을 발견하였고, 총 15개의 CVE를 부여 받았다. 또한 해당 기술을 구현한 모의 공격 테스팅 도구 FUSE를 GitHub에 공개하였다.
...Read more전산학부 김선준 박사,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에서 2017년 박사학위를 받고 핀란드 알토 대학교 (Aalto University) 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김선준 박사(지도교수 이기혁)가 2020년 2월 24일부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선준박사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입출력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며, CHI, UIST 등 HCI 분야의 최고 학회에 연구 결과를 발표해 왔다. 박사과정 동안의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2016년 네이버 Ph. D. 펠로우십을 수상하였고, HCI 분야 우수 학술대회에서 논문상도 수회 (CHI-2013, CHI-2018, ISS-2018) 수상하였다.
...Read more전산학부 허기홍 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에 2020년 2월 1일부로 허기홍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허기홍 교수는 2017년도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은 Program Analysis, Software Security, Programming Language 으로 자세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98&kind=faculty&menu=16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양홍석 교수, ACM POPL 2020에서 초청강연
프로그래밍언어 분야 최상급 학회인 ACM POPL 2020에서, KAIST 전산학부 소속 양홍석 교수가 “Probabilistic Programming: Introduction and Two Remarks”라는 주제로 초청강연을 하였다.
...Read more차미영 교수, NetSciX 2020 기조연설
우리 대학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1월 21일 도쿄 와세다 대학에서 열린 NetSciX 2020 국제학술대회에서 기조 연설을 하였다. NetSciX는 Network Science Society에서 개최하는 겨울학술대회로 복잡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최첨단 융합 연구가 발표되는 자리이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미국 노스이스턴 대학교의 Albert-László Barabási 교수, 프랑스 CNRS의 Alain Barrat 박사, 미국 인디애나 대학의 Katy Börner 교수가 함께 기조 연설자로 발표하였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석사 졸업생 고경민씨 Amazon 입사
KAIST 전산학부 석사 졸업생 고경민(지도교수 : 강성원)씨가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인 Amazon에 입사하였다. 고경민씨는 강성원 교수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랩에서 소프트웨어 공학을 공부하며,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에서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자동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바인딩 적용 기법"을 주제로 학위연구를 하여 2015년 8월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졸업 후 고경민씨는 국내에서 쎄트렉아이와 카카오에서 근무하였고, 2019년 12월 15일부로 캐나다 밴쿠버 소재 Amazon의 Seller Listing Tools Technology 부서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를 시작하였다.
...Read more차미영 교수, 젊은정보과학자상 수상 및 EMNLP 기조연설
우리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12월 19일 한국정보과학회(KIISE)가 수여하는 젊은정보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정보과학 분야에서 연구개발 실적이 뛰어난 40세 이하의 과학자에게 1년에 최대 한 명을 선정하며, WWW 2014 조직위원회의 후원으로 마련되어 카이스트에서는 이 번에 처음으로 수상하였다. 차미영 교수는 데이터사이언스 및 소셜컴퓨팅 분야에서 가짜뉴스 탐지, 위성영상을 통한 경제지표 유추, 불면증 감지 모델 개발 등의 연구를 해왔으며, 그간의 게재된 논문들은 총 13,000회 이상 피인용되어 학계 내에서 젊은 여성과학자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2019년 1월부터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유망한 젊은 연구책임자(Chief Investigator, CI)로 선정되어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산하에 데이터사이언스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차교수는 더불어 올해 11월 홍콩에서 열린 국제 학술대회인 EMNLP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서 기조연설자로 초청받아 1900명이 등록한 가운데 ‘Current challenges in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주제로 강연을 하였다
...Read more제1회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수상
지난 12월 17일 우리 전산학부 윤성의 교수가 서울마포구 에쓰오일 본사에서 '2019년도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시상식에서 1회 에쓰-오일 차세대 과학자상 (IT 부문)을 수상했다. 수상자 선정은 지난 10년간의 탁월한 성과와 높은 잠재력을 가진 45세 이하의 젊은 과학자를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윤성의 교수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실사 렌더링 기술, 컴퓨터 비젼 분야에서 대용량 초고속 이미지 검색 기술, 로봇틱스 분야에서 소리위치 추적 기술 분야 등에서 크게 기여를 인정받았다. 본 시상식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대학총장협회,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https://www.mk.co.kr/news/it/view/2019/12/1057107/
...Read moreKAIST, 2년 연속 AI기반 취약점자동탐지 부문 우승
[시상 사진 : 정보보호대학원 석사과정 김강수, 전산학부 Corentin Soulet 학생]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차상길 교수가 이끄는 소프트웨어 보안 연구실 팀이 지난 11월에 진행된 「K-사이버 시큐리티 챌린지 2019 대회」(securitybigdata.kr) 'AI기반 취약점 자동탐지 트랙' 부문에 우승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해에 이은 2년 연속 우승으로 그 의미가 더욱 빛났다. 「K-사이버 시큐리티 챌린지 2019 대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석환)에서 주관하는 대회로, AI기반 취약점 자동탐지 트랙 본선은 지난 11월 22일(금)에 약 8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대회는 미국 국방성에서 2016년에 주최한 사이버그랜드챌린지(CGC)대회에서 모티브를 얻어 시작되었으며, 한마디로 사람이 아닌 기계들 간의 해킹대회라 할 수 있다. AI기반의 시스템은 스스로 외부의 개입 없이 주어진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찾아 그것을 해킹하여 쉘을 획득하게 된다. 차상길 교수는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박사 유학시절부터 해당 연구를 세계적으로 선도해왔으며, 한국에서 자체 기술력 만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시스템을 만드는 데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최근 차상길 교수 연구팀에서는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와 함께 AI기반 해킹 시스템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바이너리 분석 엔진을 기존의 엔진보다 10배이상 빠르게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세계적 권위의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대회에서 소프트웨어 보안 연구실은 "Geumo"라는 이름으로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시스템 개발과 운영을 위해 전산학부 단기유학 학생인 Corentin Soulet, 정보보호대학원 석사과정 김강수, 그리고 차상길 교수가 참여하였다. 팀 대표 김강수 학생은 "지난해에 이어서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어서 기쁘다"며, "앞으로의 연구에 이 대회에서 깨달은 지식을 활용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다. - KISA, ‘K-사이버 시큐리티 챌린지 2019’ 우수 참가팀 시상, 2019.12.05., https://www.kisa.or.kr/notice/press_View.jsp?mode=view&p_No=8&b_No=8&d_No=1852 -‘2018년 정보보호 R&D 데이터 챌린지’ 수상 팀 발표, KISA, 2018.12.06., https://www.kisa.or.kr/notice/press_View.jsp?cPage=1&mode=view&p_No=8&b_No=8&d_No=1740&ST=T&SV=%EB%8D%B0%EC%9D%B4%ED%84%B0%20%EC%B1%8C%EB%A6%B0%EC%A7%80 -“차세대바이너리분석엔진‘B2-R2’오픈소스로푼다”,지니넷,2018.12.24., http://m.zdnet.co.kr/news_view.asp?article_id=20181224091933#imadnews - 차세대 바이너리 분석 플랫폼, https://b2r2.org/, https://github.com/B2R2-org
...Read more전산학부 박종세 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에 2019년 12월 1일부로 박종세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박종세 교수는 2018년도에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은 Computer Architecture 으로 자세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95&kind=faculty&menu=16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