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s
김현우 교수, ‘2025 KCCV 이상욱 학술상’ 수상
김현우 교수(전산학부)가 8월 5일(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국컴퓨터비전학술대회(KCCV 2025) 에서 ‘KCCV 이상욱 학술상’ 을 수상했다. ‘KCCV 이상욱 학술상’은 국내
박대영 박사과정생, 합성데이터 기반 금융 이상거래 탐지 연구로 국제 학회서 성과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대영 연구원(만 32세, 금융보안원 AI혁신실 소속, 지도교수: 고인영 교수)이 2024년부터 2025년까지 ICLR 2025(싱가포르), CIKM 2024(미국), IJCAI 2024(한국
KAIST School of Computing – SPRING 2026 Internatio..
The KAIST School of Computing is pleased to invite prospective students to an upcoming information session for the Spring 2026 gra
“세계 최대 의료영상학회 MICCAI 2025, 대전서 첫 개최… 박진아 교수 조직위원장”
우리 학부 박진아 교수가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의학영상정보학회(KSIIM)는 지난 7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대전에서 ‘제28차 의료영상 컴퓨팅 및 컴퓨터 보조 중재 국제학술대회(MICCAI 2025)’의
K-ICT Week 2025에서 첨단 AI·IoT 연구성과 공개
KAIST 전산학부 AI2(Auto Identification &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지도교수 김대영)는 사물인터넷 국제공동연구소인 오토아이디랩(센터장 김대영)과 함께, 지난 7월
KAIST, 요슈아 벤지오와 공동 연구로 100배 빠른 AI 확산모델 기술 개발
[(왼쪽부터) 안성진 KAIST 안성진 교수, 윤재식 박사과정생, 조현서 석사과정생, 백두진 석사과정생,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 대학교 교수.] KAIST 전산학부 안성진 교수 연구팀이 세계적 AI 석학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전산학부 석사과정 황지성 학생 KCGS 2025 Best Master's Paper Awa..
KAIST 전산학부 석사과정 황지성 학생(지도교수 성민혁)이 지난 7월 8일부터 11일까지 강원도 고성에서 열린 2025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KCGS) 정기학술대회에서 ‘Occupancy-Based Dual Contour
전산학부 대학원생 이진서 학생 기부 소식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생, 장학기금 기부로 따뜻한 선례 남겨" 전산학부 대학원생 이진서, "작은 정성도 큰 힘 될 수 있어" KAIST 전산학부 대학원생 이진서(19학번)가 장학기
KAIST-(주)하이퍼엑셀, 챗지피티 추론 성능 60%이상 향상시킬 NPU 핵심기술 개발
KAIST(총장 이광형)는 전산학부 박종세 교수 연구팀과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주영 교수 창업기업인 생성형AI NPU 스타트업 (주)하이퍼엑셀의 연구 협력을 통해, 오픈AI ChatGPT와 같은 생성형AI 클라우드에 특화된 고성능&mid
한준 교수 연구팀, 모바일컴퓨팅 최고 학술대회 MobiSys 2025서 Best Poste..
KAIST 전산학부 사이버-물리시스템 및 보안 연구실(CyPhy Lab)의 한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세계 최고 권위의 모바일 컴퓨팅 학술대회인 'ACM MobiSys 2025'에서 'Best Poster Aw
허기홍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 FSE 2025에서 최우수 논문상 ..
[사진상 좌측부터 : 허기홍 교수, 장수진 박사과정, 류연희 박사과정] 전산학부 허기홍 교수 연구팀이 지난 6월 노르웨이 트론헤임에서 열린 ACM FSE 2025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크래프톤 SoC’ 빌딩 준공…연결과 나눔의 공간, 전산학부 새로운 도약 시작
크래프톤 및 동문 기부로 117억 조성 연구·교육·소통 모두 담은 전산학부 전용 공간 완공 2025년 5월 20일, KAIST 전산학부는 새로운 공간 ‘크래프톤 SoC(KRAFT
KAIST, PLDI 2025에서 세계적 연구 역량 입증
< (왼쪽부터) 전산학부 양홍석 교수, 강지훈 교수, 류석영 교수, 허기홍 교수 > KAIST 전산학부가 6월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컴퓨터학회 PLDI 2025에서 기조 강연과 논문 발표를 통
전산학부 오현우 학사과정, Apple Swift Student Challenge 입상
< 오현우 학생, 왼쪽 사진은 Apple CEO 팀 쿡과 찍은 사진 > KAIST 전산학부 학부생, SwiftData Assistant 프로젝트로 전 세계 50인에 선정 Apple Park 초청 및 팀 쿡 CEO와
안가빈 박사, 고려대 컴퓨터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학·석·박사 졸업생…소프트웨어 공학·AI 디버깅 기술 선도" "ICSE·FSE 등 세계 최고 학회에 논문 발표&
KAIST 전산학부 여경민 학부생, 세계 최고 권위 AI 학술대회 ICLR 2025 논문 ..
<StochSync로 생성한 360도 파노라마와 다양한 3차원 물체의 텍스처 이미지> 사진상 좌측 전산학부 박사과정 김재훈 학생, 사진상 우측 전산학부 학사과정 여경민 학생 학부과정 여경민 학생, 박사과정 김재훈 학
이선재 박사,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출신, 인간 중심 AI와 모바일 컴퓨팅 융합 연구 주목" "2025년 3월 1일부터 교수로 부임… 산업과 학문 아우르는 연구 성과" KAIST 전산학부를 졸
KAIST 김현준 학부생, AI 보안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 ACL 2025 논문 채택
- 학부생 신분으로 자연어처리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술대회 ACL 2025 메인 컨퍼런스 제1저자 논문 발표 - 'M2S 프레임워크'로 AI 공격 효율성 95.9% 달성하며 기존 방식 대비 토큰 사용량 80% 절약
KAIST 김민수 교수팀, 세계 최고 수준 GPU 그래프 연산 프레임워크 개발
<(왼쪽부터) 윤희용 박사과정, 한동형 박사과정, 오세연 박사과정, 김민수 교수> KAIST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 연구팀이 고속 그래프 연산이 가능한 GPU 기반 연산 프레임워크 '지플럭스(GFlux)'
류석영 교수, ‘임형규 LINKGENESIS 베스트 티쳐 어워드’ 대상 수상…상금 전액 기..
전산학부 강지훈·박종세·이의진 교수도 각각 수상 영예 교육혁신을 위한 전산학부의 헌신, 모범적 기부로 실천 2025년 5월 20일, KAIST 본원 학술문화관 정근모콘퍼런스홀에서 열린 &l
최원석 박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조교수 임용
KAIST 정보보호대학원 졸업 2025년 5월 12일부 임용 암호학 기반 개인정보보호 및 다자간 연산 연구 예정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을 졸업한 최원석 박사(지도교수: 이주영 교수)가 2025년 5월 12일자로 대구경
KAIST 김대영 교수, ICT 발전 기여로 대통령 표창 등 수상
KAIST 전산학부 김대영 교수가 2024년 12월, 도로명주소 활성화,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과 부산광역시장 표창을 수상했다. 김 교수는 현재 사물인터넷 국제공동연구센터
강성원 교수, 『연역 논리학: 논증의 증명과 반박』 출간
논증의 증명과 반박의 관점으로 연역 논리학을 소개 자연연역·진리나무의 고급 기법까지 망라 KAIST 전산학부 강성원 교수는 2025년 4월, 『연역 논리학: 논증의 증명과 반박』(바른북스, 264쪽)을 출간했다.
KAIST 전산학부 강지훈 교수,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학생들과 함께 고민하고 성장한 6년, 값진 결실 교육에 대한 진심과 열정이 만든 특별한 순간 2025년 4월 27일, KAIST 전산학부 강지훈 교수가 'KAIST 교육혁신상'을 수상했다. 지난 6년 넘게 강단에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인공지능민간특별위원회 초대 위원장 취임
국내 1세대 AI 연구자인 김진형 KAIST 명예교수가 '인공지능민간특별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취임했다. 인공지능민간특별위원회는 민간 주도로 AI 활용 정책을 개발하고 정부와 협력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지향하며, 20
맹성현 명예교수 저서, 국무회의 공식 선물로 선정
『AGI 시대와 인간의 미래』, 『이처럼 사소한 것들』과 함께 국무위원에 증정 세계 책의 날 맞아 독서 문화 확산 의미 담아 4월 22일, 세계 책의 날(4월 23일)을 앞두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구 선진국 수준으로 이끈 황규영 명예(특훈)교수, '과학기술 창조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구 선진국 수준으로 이끈 황규영 명예(특훈)교수, '과학기술 창조장' 수훈 "국내 IT 소프트웨어 산업 기반 다진 공로 인정받아 2025 과학·정보통신인의 날 기
외측 뇌실 형태 기반 분석으로 퇴행성 뇌질환 조기 진단 가능성 제시
한국뇌연구원-영국 뇌질환플랫폼사업단(DPUK) 공동연구 국제심포지움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한국뇌연구원 제공] KAIST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는 지난 4월 15일 한국뇌연구원에서 열린 ‘한-영 전임상/
박진아 교수, 의료영상 세계 최고 학회 MICCAI 2025 공동 조직위원장 맡아
세계 최대 의료영상 학회 대전서 개최… 역대 최다 논문 접수 스탠퍼드·MIT 등 세계 석학 기조강연 예정 KAIST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가 세계 최고 권위의 의료영상 학회인 MICCAI 2025의 공동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중관춘 포럼서 ˝AI 챗봇의 미래˝ 기조연설
중국 정부 초청으로 한국 대표 참석… AI 기술 변화와 한중 협력 강조 딥시크 AI 모델 언급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 환경 변화 진단 김진형 KAIST 명예교수가 2025년 3월 27일부터 31일까지 중국 베
박진아 KAIST 교수, MICCAI 2025 주관… 대전서 첨단 의료기술 선도
대전시와 대전관광공사, 대한의학영상정보학회가 19일 시청에서 '제28차 의료영상 컴퓨팅 및 컴퓨터 보조 중재 국제학술대회(MICCAI 2025)'의 성공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 제공) 박진아 K
안인규 박사,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조교수 임용
"로봇 청각 및 멀티모달 AI 연구 선도 기대" 안인규 박사(지도교수: 윤성의 교수)가 2025년 2월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조교수로 임용됐다. 안 박사는 KAIS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전자통
전태준 박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를 졸업한 전태준 박사(지도교수: 김대영 교수)가 2025년 3월 1일부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 조교수로 임용됐다. 전 박사는 KAIST에서 석사(2015년) 및 박사(2019년) 학위를 취득한 후
KAIST 전산학부, 김현우 교수 영입… AI·컴퓨터 비전 연구 강화
"기계학습·영상 인식 등 최첨단 연구 주도" KAIST 전산학부가 인공지능(AI) 및 컴퓨터 비전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2025년 2월 1일부로 김현우 교수를 영입했다. 김 교수는 고려대 교
차미영 교수, 2024 ACM Distinguished Member 선정
우리대학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미국 컴퓨터학회(AC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의 ‘Distinguished Member(특훈회원)’로 선정됐다. 차 교수는 허위 정보
김정택·안소연 동문 부부, 전산학부에 장학기금 2억 원 기부
재정적 어려움 겪는 후배 지원 위해 결정… 전산학부 장학기금 총 8억 원 조성 전산학부 92학번 동문인 김정택·안소연 부부가 후배들을 위한 장학기금으로 2억 원을 기부했다. 두 사람은 경제적 어려움
김광조 명예교수, 『Practical Post-Quantum Signatures: FALC..
"양자내성 전자서명 기술 집대성… 2025년 3월 Springer 출판사에서 발간" KAIST 전산학부 명예교수이자 국제사이버보안연구원(IRCS) 원장인 김광조 교수가 양자내성 전자서명(PQC) 기
KAIST-삼성SDS 공동 개발 전자서명 알고리즘 AIMer, 국가공모전 최종 선정
"양자내성암호 시대 대비… 국가표준화 과정 본격화" [AIMer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일방향 함수 AIM] KAIST 전산학부 이주영 교수팀과 삼성SDS가 공동 개발한 전자서명 알고리즘 AI
KAIST 전산학부, 오태현 교수 영입…비주얼 컴퓨팅·AI 연구 강화
"2월 1일부터 Advanced Machine Intelligence Lab 주도" "생성형 기계 지각·멀티모달 AI 연구 선도" KAIST 전산학부는 2025년 2월
[이슈칼럼] 양자컴퓨터에 의한 비트코인의 안전성 위협과 대비
전산학부 명예교수 김광조 교수의 양자컴퓨터에 의한 비트코인의 안전성 위협과 대비에 대한 칼럼 내용입니다. 양자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해 비트코인의 기존 암호 시스템이 위협받고 있다. 비트코인에 사용되는 암호기술(ECDSA, S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