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2021 KAIST 교육혁신의 날 수상

    사진상 좌[최호진 교수], 우[권영진 교수] 오늘 10시 부터 KAIST KI 퓨전홀에서 진행한 2021 KAIST 교육혁신의 날 행사에서 우리 전산학부 최호진 교수가 [임형규 LINKGENESIS Best-Teacher Award 우수상]을 권영진 교수가 [이수영 교수학습혁신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임형규 LINKGENESIS Best-Teacher Award는 ▪ KAIST 핵심가치(창의, 도전, 배려) 인재양성에 기여한 교원 ▪ 융·복합 교육 및 메타지식 확산 등에 기여한 교원 ▪ 교육·연구·기술사업화·국제화‘혁신’에 기여한 교원에게 수여되며 이수영 교수학습혁신상은 최근 5년 이내 Education 4.0, KAIST MOOC 등 교수학습혁신에 참여하여 KAIST 교육의 질 제고 및 교육혁신의 수준 향상에 기여한 교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날 행사는 Youtube를 통해 생중계 되었으며 전산학부 오혜연, 박대형, 홍승훈 교수의 혁신 강의방법도 소개되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데브시스터즈의 전산학부 동문 11분 기부

    KAIST 데브시스터즈에 계신 KAIST 전산학부 동문 11분이 전산학부 건물 증축을 위한 기부에 동참해주셨습니다! 06학번부터 16학번까지, CTO부터 엔지니어까지, 너무나 따뜻하고 반가운 메세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61Bbhq3vLU 명노준 09학번 쿠키런 플러스 리드 홍성진 06학번 CTO 이창원 11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이준수 15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원대영 10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최낙현 11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황태현 14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마재의 12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황재영 16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정성윤 14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이준성 10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저는 ‘기부’하면 창업해서 성공하신 분들만 하는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듣고 생각해보니까 “오, 나도 못할 것 없겠다”싶어가지고 냉큼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최적 루트는 최고로 성공하는 루트가 아니고 적은 리스크에 대비해서 적당한 보상을 얻는 게 최적 루트예요. 최적 루트를 벗어난다고 해서 불안해할 필요없이 원하는 게 있으면, 리스크를 많이 걸고 그 쪽으로 가라고 하고싶어요." "본인이 하고 싶은 일들을 찾아서 아주 재밌고, 열정적으로 일을 하면 우리 사회를 바꿔나갈 수 있는 주역이 되실 수 있다고 생각해요."

    ...Read more
  • 전산학부 동문 서하연, 한동훈 부부 기부

    KAIST 전산학과 학부 95학번 (Techno-MBA 2010) 서하연, 96학번 한동훈 동문 부부가 KAIST 전산학부를 위해 귀한 기부를 해주셨습니다. 두 분의 기부는 지난 4월 김범준 동문의 기부에 영향을 받아 결정한 것이라서, 더욱 뜻깊은 기부라고 생각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Q1) 두 분에 대해서 간간하게 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서하연, 한동훈입니다. 저희는 KAIST 전산학과 졸업생 부부입니다. 둘 다 전공을 살려서 데이터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서하연: 카카오 데이터전략 담당 상무 https://www.facebook.com/alex01.suh 한동훈: 우아한 형제들 데이터서비스실 리더 https://www.facebook.com/Steven77Kr Q2) KAIST 전산학부를 위해 뜻깊은 기부를 하시게 된 계기가 무엇일까요? 올 해가 학부 졸업한 지 20년이 되는 해입니다. 20년 간 꾸준히 회사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했고, 이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자리 잡고 나름의 의미있는 역할을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성장하는데 학교에서 보낸 시간이 중요한 자양분이 되었고, 동문들의 도움도 컸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순환해서 되돌려드리고 학교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평소에 많이 합니다. 요즘은 재테크에 다들 열심이라 주식 투자도 하고 코인에도 투자 하는데요, 저희는 우리 후배들에게 투자 하는 것이 가장 미래 가치가 큰 일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Q3) KAIST 전산학부 후배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우리 후배님들, 학교 졸업하고 사회 진출 할 생각하면 불안하고 겁도 날 것 같아요.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어떤 회사를 선택할지 고민도 많이 되죠. 저희도 그랬었고요. 그런데 삶에 영향을 미치는 건 선택 그 자체가 아니라 선택 이후의 시간인 것 같아요.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여러분들이 잘 해나갈 거니까 스스로를 믿고 자신감을 가지라고,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괜찮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거라고, 곳곳에 포진해 있는 동문 선배들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드릴 거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 인공지능학회(AAAI) 발행 국제 웹 및 소셜미디어 학술..

    우리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2021년 5월자로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 and Social Media (ICWSM) 국제 학술대회의 공동편집위원장(co-Editor-in-Chief)으로 선임되었다. ICWSM은 웹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계산사회학 연구를 다루는 학술대회로 전산, 언론정보, 사회학 등 공학자와 인문사회학자의 융합의 장이다. 올해 15년을 맞이하는 ICWSM은 인공지능학회(AAAI)에서 발행하며 acceptance rate 20%의 저명 학술대회로 자리잡았다. 차교수 연구 그룹은 동 학술대회에서 그간 9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2013년부터 매해 Senior Program Committee로 활약하고, 2015년에는 Program Chair를 역임하였으며, 2020년 Test of Time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홈페이지 https://www.icwsm.org/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양홍석 교수 POPL 2022 학회 학술위원장 선임

    KAIST 전산학부 양홍석 교수가 내년 1월에 열리는 ACM SIGPLAN Symposium on Principles of Programming Languages (POPL 2022) 학회의 학술위원장을 맡게 되었다. POPL은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최상급 국제학회이다.

    ...Read more
  • 전산학부 동문 김범준 우아한 형제들 대표 1억 기부

    KAIST 전산학과 학부 93학번 석사 97학번, 배달의 민족을 서비스하는 우아한 형제들 대표 김범준 동문이 KAIST 전산학부를 위해 1억원의 뜻깊은 기부를 해주셨습니다. 김범준 동문은 한국에서 처음 참가한 제4회 국제정보올림피아드(IOI)에서 고등학교 2학년으로서 세계 1위 금메달을 수상하고 세계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까지 휩쓸던 분입니다. "Pay It Forward” 본인이 받은 것을 도움받았던 분들께 돌려드리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부해주신 김범준 대표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김범준 대표 인터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tYiOF9xOg0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이끄는 시대에 KAIST 전산학부가 새로운 도약을 위해 공간 확장 중입니다. 2016년에 450여명이었던 전산학부 학부생이 2021년 현재 900명을 넘었습니다. 인간 중심의 컴퓨팅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 개발하기 위해, 더 많은 학생을 교육하고 더 많은 교원을 초빙하고 더 많은 분야와 융합하고 산업계와 함께 할 공간이 절실합니다. 김범준 대표님의 뜻깊은 기부도 전산학부 공간 확장을 위해 소중하게 사용하겠습니다. 관심있는 동문 여러분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연락주시면 전산학부장이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차상길 교수, 김주호 교수 연구실, 2021년 SW스타랩 과제 선정

    <사진상 좌측 차상길 교수, 우측 김주호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의 차상길 교수와 김주호 교수 연구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1년도 소프트웨어(SW) 스타랩’ 과제에 최종 선정돼 8년간 약 23억 원을 지원받게 되었다. SW스타랩 지원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지원하는 SW기술개발사업으로 SW 분야별로 축적된 기초·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전적 연구가 가능한 우수 연구실을 선정하고, 장기 지원하여 대학 중심의 세계적 원천기술 확보를 추진하는 지원 사업이다. 올해는 총 34개 연구실이 신청하여 총 6개의 연구실이 신규 선정되었다 (경쟁률 5.7:1). <소프트웨어 보안 연구실: 차상길 교수> SW스타랩 알고리즘 분야에 선정된 차상길 교수 연구실은 ‘차세대 바이너리 디컴파일러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의 디컴파일 원천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디컴파일러와 바이너리 재조립도구를 만들어낼 계획이다. 또한, 본 과제를 통해 바이너리 분석과 소프트웨어보안 분야의 고급인재 양성을 목표하고 있다. 본 과제의 결과물인 디컴파일러는 소프트웨어 보안취약점 분석, 악성코드 분석, 난독화 해제, 보안 패치, 익스플로잇 자동 생성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보안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이다. 특히, 바이너리 분석에 사용되는 고비용 상용 소프트웨어인 IDA Pro에 의존하는 국내 산업 분야에서 이를 활용하면 획기적인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현재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CSRC)의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는 차상길 교수는, 소프트웨어보안 연구실과 센터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디컴파일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다. 특히 국내 유일의 바이너리 분석 기반 기술인 B2R2를 개발한 전력이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한 효율적인 디컴파일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랙션 연구실: 김주호 교수> SW스타랩 응용SW 분야에 선정된 김주호 교수 연구실은 ‘객체 지향 비디오 모델링을 통한 차세대 비디오 상호작용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프레임이 아니라 비디오 속 인물, 물체, 관계, 맥락, 의미 중심의 비디오 상호작용 기술개발로 보다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비디오 저작, 시청, 분석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비디오 모델링 및 UI/UX를 둘러싼 기술적, 사회적 함의를 제대로 이해하고 관련 산업 및 기술혁신에 기여하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비디오 산업을 구성하는 제작, 편집, 분석, 광고, 수익창출 등의 전 과정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비디오 콘텐츠 및 플랫폼 시장을 창출하고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비디오를 새로운 형태로 활용하고 공유할 수 있어 혁신적인 시청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를 넘어 메타버스, VR, AR, 라이브스트림 등 다양한 미디어 형태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의 활용이 예상된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교수 류석영, IEEE Transactions on Software E..

    KAIST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가 2021년 4월자로 IEEE가 발행하는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TSE)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선출되었다. IEEE TSE는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명실상부한 최고 학술지로,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TOSEM)과 함께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유일하게 SCI에 등재되어있는 저명 학술지이다. JCR 2019 기준 IF 6.11의 높은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Google Scholar 기준 Software Systems 분야의 학회 및 학술지 순위에서 6위에 랭크되어 있다.

    ...Read more
  • 전산학부 김대화 석사과정 (지도교수 이기혁), ACM CHI 2021 학회 Honorabl..

    우리 대학 전산학부 이기혁 교수 연구팀이 가상환경에서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이용해 사용자의 핀치 제스처를 정밀하게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했다고 밝혔다. (논문명: ‘AtaTouch: Robust Finger Pinch Detection for a VR Controller Using RF Return Loss’’) 이 교수 연구팀 소속 김대화 석사과정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회 ACM CHI 2021 (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에 게재되고 Honorable Men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ACM CHI 학회는 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로, Honorable Mention Award는 전체 논문 중 상위 5%의 논문에 주어지는 상이다. 가상환경에서 컨트롤러는 정확한 손 위치 추정과 햅틱 피드백을 통한 몰입형 가상현실을 가능하게 하고, 버튼 및 조이스틱과 같은 추가 입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장점이 있다. 컨트롤러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최신 감지 기술들은 컨트롤러를 든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트래킹하고 손 제스처를 감지한다. 손 제스처들 중 핀치 제스처(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이 서로 맞닿아 꼬집는 듯한 손동작)는 조그마한 움직임에도 큰 햅틱 변화를 내기 때문에 가상환경에서 버튼을 누르거나, 컨트롤 막대를 조절하고, 작은 가상 물체를 정교하게 움직이게 하며, 텍스트 입력을 하는 등의 많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감지 기술들은 두 손가락의 터치 유무를 정밀하게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빈번한 터치 구분 오류는 사용자들이 실패를 보상하기 위해 손가락을 평소보다 멀리 떨어뜨리거나 두 손가락을 세게 치도록 만들고, 그에따라 사용자는 상호작용 중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본 논문은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손과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핀치 제스처 감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한 손가락의 터치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두 손가락의 터치를 구분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손을 안테나에 가까이 가져가면, 각각의 인덕터 성분으로 인해 안테나와 손가락의 임피던스가 결합된다. 두 손가락이 맞닿은지 혹은 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손가락의 전기용량 성분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손실이 달라진다(그림1). 안테나에서 전파가 전송될 때 매질의 임피던스의 차이로 인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전송되는데, 손가락의 터치 여부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에 의해 반사되는 전파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사손실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프로토타입 컨트롤러를 개발(그림2)하여 그의 성능을 평가했다. 1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96.4%의 터치 구분 정확도를 확인했다. 또한, 가상블록을 옮기는 실제 가상환경 시나리오에서 낮은 오류율을 보였고, 실험참가자들은 민감하고 가벼운 상호작용이 가능했다고 응답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 (No.2020-0-00537, Development of 5G based low latency device – edge cloud interaction technology). - 논문 링크: https://doi.org/10.1145/3411764.3445442 - 논문 관련 정보: https://daehwa.github.io/atatouch <그림1. 손과 안테나의 등가회로> <그림2. 프로토타입 컨트롤러> <그림3. 가상환경에서 가상블록을 옮기는 예시>

    ...Read more
  • 이흥규 교수, 딥페이크 탐지 SW '카이캐치 ' 스마트폰 앱 서비스 시작

    이흥규 교수 연구실에서 KAIST 벤쳐인 (주)디지탈이노텍과 공동으로 개발한 딥페이크와 사진 이미지 위변조 탐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용 '카이캐치' 앱을 3월 3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카이스트에서 위변조를 잡아낸다는 의미인 '카이캐치'는 구글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기술들은 특정 딥페이크 생성 기법이나 위변조 방법에 대응된 기술로 개발되어 알지 못하는 딥페이크 생성이나 위변조 기법에는 극히 취약하였으나, 이번에 개발된 카이캐치 앱은 범용 기술을 사용하여 영상의 왜곡현상이나 이상 현상 등을 정밀 분석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임의의 딥페이크 생성 방법이나 위변조 기법들에도 80~90% 이상의 높은 탐지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모바일 앱 형태로 일반에 서비스하는 기능은 국내에서는 처음이고,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으로만 출시하지만 향후 애플 iOS 기반의 앱과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앱도 출시할 예정이다. 해당 앱 서비스 시작에 대하여 연합뉴스를 비롯하여 전자신문, 한국경제, 한겨레, 경향 신문 등 30 여개의 언론 매체들에서 해당 뉴스를 크게 보도하였다. 연합뉴스 : KAIST, 위조 사진 가려내는 딥페이크 탐지 앱 개발 | 연합뉴스 (yna.co.kr) 전자신문 : KAIST, 딥페이크 탐지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누구나 쉽게 가짜 가려낸다 (naver.com) 한국경제 : 음란 동영상 위변조 여부 가리는 모바일 앱 나왔다 (naver.com) MBC 뉴스 : "조작영상 꼼짝 마"…딥페이크 찾아내는 앱 개발 (naver.com) 뉴스 모음 : #…딥페이크 찾아내는 앱 개발 #모바일 앱으로 확인한다 (naver.com)

    ...Read more
  • ˝학과 정원 유연해져야 '신산업 인재' 키울 수 있다˝

    2021년 3월 24일 게시된 한국일보에 기시된 "화석이 된 상아탑 학과 정원 유연해져야 '신산업 인재' 키울 수 있다" 관련 기사로 우리 전산학부 전산학부장 인터뷰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사보기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32300310001179 대전 박소영 기자 sosyoung@hankookilbo.com 이윤주 기자 misslee@hankookilbo.com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김우재 학생 URP 수상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김우재 학생이 2월 23일(화),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0 여름/가을학기 URP(학부연구프로그램) 프로그램 워크샵 제 2 발표장(전자 및 전기공학부, 전산학부, 기계공학과, 산업디자인학과, 건설 및 환경공학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도교수: 윤성의, 조교: 조윤기 박사과정). Title: Generative Adversarial Perturbations on Attention Space for Better Transferability 제목: 공격 전이를 위한 이미지 어텐션 기반의 적대적 잡음 생성 모델 Abstract: Adversarial attacks have exposed the vulnerability of deep neural networks by fooling them in various computer vision related applications. However, these attacks often suffer from low success rates against unknown black-box models, diminishing their viability in real-world us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boost the attack transferability from a white-box surrogate model to black-box target models. We perturb images on their attention space, attacking universal characteristics shared by different models and thus boosting transferability. Different from previous gradient-based methods that easily overfit to most vulnerable features unique to the surrogate model, we apply diversity regularization that guides our attack to explore more diverse features to perturb, decreasing the overfitting issue of the attack. We optimize these objectives using a generator. Extensive experiments on the existing benchmarks show that our attack outperforms the prior transfer-based black-box attacks in terms of transferability, thanks to the attention guidance and diversity regularization.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장영재 학사과정, ‘SW중심대학 공동해커톤’에서 대상 수상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장영재 학생이 지난 2/4-6일 3일간 진행된 온라인 해커톤에서 ‘언택트 상황 속에서도 일과 공부에 집중을 도와주는 소셜플랫폼, Dive In’을 개발한 FocusWithMe의 팀장으로 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다. 2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진행된 이번 해커톤 대회는 SW중심대학(39개교) 학생들에게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획, 개발, 구현, 협업 등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하여 SW역량 증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최된 행사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를 위해 참가 신청부터 프로젝트 기획 및 개발, 심사평가까지 전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디지털 뉴딜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도전’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해커톤에는 SW중심대학 SW전공·융합연계전공자 및 디자이너 멘토 및 운영진 등 총 250명 내외, 총 38개팀이 참여했다. 개발자 및 디자이너들이 팀을 구성하여 앱, 서비스, 라이브러리 등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멘토링과 특강, 질의응답을 통해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역량증진 기회도 제공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SW중심대학 교수, 산업체 전문가, 학생 참가자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대상(1팀), 최우수상(2팀), 우수상(3팀), 특별상(2팀), 후원기업상(2팀) 총 8개팀(2개팀 중복수상)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관련기사: http://www.kd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763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2&sub=004&idx=56603 http://www.segyebiz.com/newsView/20210210508612?OutUrl=naver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010

    ...Read more
  • 백승환 박사(지도교수: 김민혁 교수),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우수학위논문상 수상

    2021년 2월 16일 우리 전산학부 백승환 박사(지도교수: 김민혁교수)가 2020년도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에서 수상하는 제10회 우수학위논문상에서 IT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수상자 선정은 지난 박사학위 기간동안 발표한 탁월한 국제학술지 발표 논문을 기준으로 선정했으며, 본 상은 우수 논문을 다수 발표한 박사과정 학생과 그를 지도한 지도교수에게 공동으로 수여된다. 백승환 박사와 김민혁 교수는 특히 컴퓨터 그래픽스/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광파 특성을 이용한 계산 영상학 기술을 크게 인정받았다. 백승환 박사는 현재 프린스턴 대학에서 포스트닥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따라서 시상식은 백 박사의 어머님께서 대리참석하셨다.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의 후원 하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기초과학, 공학분야에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젊은 과학자를 격려하여 과학기술발전의 진흥에 기여하고 차세대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우수과학 인재를 양성하고자 에쓰-오일 시상사업을 주관하고 있다. 본 시상식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대학총장협회,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박건우 박사 숭실대학교 AI융합학부 임용

    KAIST 전산학부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실 졸업생 박건우 박사(지도교수: 차미영)는 2021년 3월부로 숭실대학교 AI 융합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박건우 박사는 2012년 2월 카이스트 전산학부 웹사이언스대학원 석사과정을 입학 후 2018년 2월 박사학위 취득하고, 미국 UCLA 대학, 카타르 QCRI연구소, 및 카이스트 전산학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연구 분야는 딥러닝/자연어처리 기반 계산 사회 과학으로 WWW, AAAI, ICWSM, CSCW 등 해외 저명 학회와 우수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앞으로 오정보, 정보 편향 등 온라인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방법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졸업생 박건우 박사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park.kunw

    ...Read more
  • 전산학부 성민혁 교수 임용 안내

    우리 전산학부에 2021년 1월 1일부로 성민혁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성민혁 교수는 2019년 Stanford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KAIST 부임전 Adobe Research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습니다. 전공은 기계 학습, 컴퓨터 그래픽, 컴퓨터 비전, 기하학 처리로 자세한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18&kind=faculty&menu=160 https://mhsung.github.io/ [대표논문] Supervised Fitting of Geometric Primitives to 3D Point Clouds Lingxiao Li*, Minhyuk Sung*, Anastasia Dubrovina, Li Yi, and Leonidas Guibas (* equal contribution) CVPR 2019 (Oral) Deep Functional Dictionaries: Learning Consistent Semantic Structures on 3D Models from Functions Minhyuk Sung, Hao Su, Ronald Yu, and Leonidas Guibas NeurIPS 2018 ComplementMe: Weakly-Supervised Component Suggestions for 3D Modeling Minhyuk Sung, Hao Su, Vladimir G. Kim, Siddhartha Chaudhuri, and Leonidas Guibas SIGGRAPH Asia 2017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2021년 공학한림원 정회원 및 외국회원 선정

    사진상 (좌 : 문수복 교수, 우 : 오혜연 교수) https://n.news.naver.com/article/584/0000012188 2021년 공학한림원 신입 정회원에 문수복 교수가 신입 외국회원에는 오혜연 교수가 선정되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학계, 산업계 및 국가의 기관 등에서 공학 및 기술 발전에 현저한 공적을 세운 우수한 공학/기술인을 발굴/우대하고, 공학/기술과 관련된 학술 연구와 지원사업 및 국제교류 협력 사업을 병행함으로써 국가의 창조적인 공학/기술 개발과 지속적인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다.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박창현 박사 웁살라 대학 (Uppsala University) IT학과 임용

    KAIST 전산학부 컴퓨터구조 및 시스템 연구실 졸업생 박창현 박사 (지도교수: 허재혁)는 2021년 1월부로 스웨덴 웁살라 대학 (Uppsala University) IT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웁살라 대학은 1477년에 설립된 스웨덴의 가장 오래된 명문 학교이다. 박창현 박사의 주 연구 분야는 컴퓨터 구조와 시스템으로 해당 분야 최고 학회인 IEEE/ACM ISCA, MICRO 그리고 ACM EuroSys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의 박사 학위 기간 동안의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네이버 그리고 Miscrosoft Research Asia의 PhD Fellowship 상을 수상하였다. 박창현 박사는 2019년 8월에 KAIST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한 후 웁살라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이어서 조교수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Read more
  • 차상길 교수 소프트웨어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FSE 2020 학회에서 ACM Disting..

    우리 전산학부 차상길 교수가 소프트웨어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FSE 2020 학회에서 ‘Boosting Fuzzer Efficiency: An Information Theoretic Perspective’라는 논문으로 ACM Distinguished Paper Award를 수상했다. 차상길 교수는 2014년에도 ACM에서 같은 상을 받은 바 있으며 이로써 해당 상을 두 번 수상하는 영예를 얻게 되었다. 해당 논문은 차상길 교수가 센터장으로 역임하고 있는 사이버보안연구센터와 Monash대학교의 Marcel Bohme교수와의 연구 협업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해당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Google이 주관하는 FuzzBench 사이트에서도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도구로 인증받기도 했다. 현재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는 세계적 첨단 보안기술을 실용화, 상용화하기 위해 다양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설립 10주년을 맞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Read more
  • KAIST 김진형 교수에게 듣는 AI 최강의 수업

    우리 전산학부 명예교수인 김진형 교수가 집필한 "KAIST 김진형 교수에게 듣는 AI 최강의 수업" 매경출판 신간 보도자료 내용입니다. 보도자료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세요.

    ...Read more
  • KAIST-SKT 코로나 감염증 확산방지 시스템 협약체결

    우리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가 개발한 PreSPI 솔루션을 활용하여 KAIST와 SKT가 코로나 감염증 확산방지 시스템 협약체결 관련 기사입니다. 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110871301) KAIST와 SK텔레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상용화한다. 스마트폰을 블랙박스처럼 활용해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과 주변인 접촉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KAIST는 SK텔레콤과 코로나19 확산 방지 솔루션인 ‘PreSPI’의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PreSPI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와이파이, 무선랜, 기지국에서 나오는 다양한 신호 정보를 분석해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과 주변인 접촉 여부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이 솔루션은 블랙박스 개념이 적용돼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스마트폰 저장장치에 2주간 저장한다. 이 정보는 외부에 유출되지 않고 2주 뒤엔 폐기돼 사생활 노출 우려가 없다. 확진자와 자가격리자의 동선을 분석해 주변 사람들에게 감염 위험도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실험 결과, 이 솔루션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주변인의 접촉 거리를 2~3m 수준에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솔루션 이용자가 확진이나 자가격리 판정을 받으면 저장장치에 보관돼 있던 동선 정보가 서버로 전송된다. 이 정보와 주변인들의 스마트폰에 저장돼 있는 동선 정보를 토대로 동선의 중첩도, 체류시간 등을 고려해 감염 위험도가 수치화된다. 확진자 주변의 솔루션 이용자들은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하는 PreSPI를 통해 감염 위험도를 1부터 100까지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SK텔레콤과 KAIST는 내년 PreSPI 솔루션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을 개발한 한동수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는 역학조사관이 이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으면 확진자의 동선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최낙훈 SK텔레콤 인더스트리얼 데이터사업 유닛장은 “코로나19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제고하고 사생활 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솔루션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Read more
  • 2020 국가암호공모전 대상 수상

    지난 10월 2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진행된 미래암호워크샵에서 KAIST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박사과정 이영민, 이병학, 최원석 학생(지도교수 이주영)이 2020 국가암호공모전에서 “Improved Security Analysis for Nonce-based Enhanced Hash-then-Mask MACs” 논문으로 대상을 수상하였다. ‘2020 국가암호공모전’은 국내 암호기술 발전을 위해 국가정보원의 후원으로 한국정보보호학회 한국암호포럼이 개최하였으며 상금은 대상 1,000만원을 포함해 총 5,000만원 규모이다. 올해 공모전은 암호 원천기술 분야와 암호 기술 응용 및 활용 분야 논문으로 진행되는데, 대상은 두 분야를 통틀어 한 편만 선정되었다. 한편, 같은 랩 박사과정 이병학, 이영민, 최원석 학생은 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박사과정 김성광, 하진철, 최원석 학생은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이병학, 김성광 학생은 2019 국가암호공모전에서도 “Tight Security Bounds for Double-block Hash-then-Sum MACs” 논문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는데, 이 논문은 올해 최우수 암호학회 Eurocrypt에 발표되었다.

    ...Read more
  • [표창원의 사건반장] 사건수사연구소 (첨단 조작 기술)

    지난 10월 16일(금) 오후 4시 30분 부터 25분간 "JTBC 표창원의 사건수사연구소" 에 우리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가 출연하여 딥페이크의 문제, 현황 등에 대한 질의 응답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공태식 박사과정, Google Ph.D. Fellowship 2020 ..

    구글은 지난 10월 8일 2020년도 Google PhD Fellowship 수혜자 목록을 발표했다. Google PhD Fellowship 프로그램은 컴퓨터과학 및 관련 분야의 뛰어나고 촉망받는 대학원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번 년도에는 전 세계 대학에서 12개 분야에 총 53명이 선정되었다. KAIST 공태식 연구원은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부문에 이름을 올리는 영예를 안았다. 공태식 연구원은 KAIST 네트워킹 및 모바일 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박사과정이다. 주 연구 분야는 기계학습을 활용한 모바일 센싱으로, “환경 독립적 모바일 센싱 (Condition-independent mobile sensing)” 연구에 대한 연구 업적과 가능성을 인정받아 이번 Google Ph.D. Fellowship 2020에 선정되었다. 한편, 공태식 연구원은 센서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 최고 학회인 ACM SenSys, ACM UbiComp 등에 주 저자로 논문을 발표하였고 Microsoft Research Asia 및 Nokia Bell Labs에서 research intern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18년 NAVER Ph.D. Fellowship에도 선정된 바 있다. 인공지능 신문 기사 링크: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7980 공태식 연구원 홈페이지: https://taesikgong.com/ 네트워킹 및 모바일시스템 연구실 홈페이지: https://nmsl.kaist.ac.kr/

    ...Read more
  • 전산학부 오상은 박사 아주대학교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오상은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가 2020년 9월 1일부로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소프트웨어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오상은 박사는 2020년 KAIST 전산학부 박사학위 취득 이후, 6개월간 KAIST 전산학부에서 연구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모바일 IoT 시스템으로, 현재까지 모바일 컴퓨팅 및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인 ACM MobiCom, ACM MobiSys, IEEE RTSS 등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2017년 Google Ph.D. Fellowship에 선정되었으며, ACM MobiCom 2019 및 IEEE MDM 2017에서 각각 Best Paper Award와 Best Ph.D. Forum presenta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또한 2020년에는 전산학부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김민혁 교수, ACM SIGGRAPH Asia 2020 학술대회 공동분과 위원장 선임

    김민혁 교수, ACM SIGGRAPH Asia 2020 학술대회 공동분과 위원장 선임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가 ACM SIGGRAPH Asia 2020 Virtual Technical Communications & Posters Co-Chair로 선임되어 위원장 직을 수행하고 있다. ACM SIGGRAPH Asia는 ACM의 Computer Graphics 분야 전문가 그룹인 SIGGRAPH에서 주최하는 대표적인 학술대회 중 하나로서 ACM SIGGRAPH와 함께 세계 최고의 Graphics 학회이다. ACM SIGGRAPH Asia의 모든 논문은 분야 최고의 학술지인 ACM Transactions on Graphics(TOG)에 게재된다. 참고로 ACM TOG의 Impact Factor는 6.495로서 ACM에서 발간되는 모든 저널 중 1순위에 올라 있는 Top 저널이다. 김민혁 교수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ACM TOG저널의 Associate Editor로서 3년의 임기 동안 활동하였으며, 2017년부터 지난 3년간 ACM SIGGRAPH Asia에 Technical Paper Committee로서 활동해오고 있다. ACM SIGGRAPH Asia 2020 Virtual 학회 홈페이지: https://sa2020.siggraph.org/

    ...Read more
  • 학부생 허미나(지도교수 김주호) URP 최우수상 수상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허미나 학생이 8월 27일(목),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0 겨울/봄학기 URP(학부연구프로그램) 프로그램 워크샵 제 3 발표장(전자 및 전기공학부, 전산학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도교수: 김주호, 조교: 장민석 박사과정). URP 프로그램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학부생들의 창의적 연구역량을 향상시키고, 자기 주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지원 사업이다. Title: Data Modeling Techniques for Supporting Conversational Interaction in Video Tutorials 제목: 튜토리얼 비디오 기반 대화형 인터랙션을 위한 데이터 모델 기법 Abstract: When watching video tutorials, viewers often need to pause, rewind, or skip to clarify misunderstandings, and to find missing or anticipated information. The target scene can be referenced in terms of their content, or by their temporal location. Voice interfaces are theoretically useful for controlling video tutorials, especially when the hands are tied by following physical tasks. However, they only support remote-control like commands such as “skip 30 seconds” that are based on temporal references. As a result, viewers must remember a sequence of events, their temporal locations and maintain a mapping between them while following the tutorial. We present RubySlippers, a multimodal system that allows users to navigate video tutorials by conversational description of the content, while keeping the time-driven navigation. The system runs on an NLP pipeline which compares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he user’s utterance and that of the video content to populate navigation target candidates. Our evaluation with 12 participants shows that users are able to navigate quicker with lower mental demand with RubySlippers than existing time-driven voice interfaces.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2020년 개교 49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 선정

    김민혁, 김주호, 김문주 교수 강병훈, 류석영, 고인영 교수 2020년 개교 49주년을 맞이하여, 학술·교육 및 연구 실적이 탁월하거나 학교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우수교원을 선정하는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 우리 전산학부 교수가 아래와 같이 선정되었다. [학술, 교육, 공로부문] 학술상(선정기준 : 최근 1년간 최우수 학술지 논문 또는 인용도가 높은 논문을 발표하였거나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교원)에 김민혁 교수가, 창의강의대상(선정기준 : 독창적이며 선진화된 교수법을 활용한 강의활동으로 교수법에 획기적으로 기여한 교원)에 김주호 교수가, 우수강의상(선정기준 : 최근 1년간 강의평가 결과가 탁월한 교원)에 김문주 교수가 선정되었다. [연구부문] 국제공동연구상(선정기준 :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우수한 연구성과를 낸 연구그룹(타 학과간 연구))에 강병훈 교수가 선정되었다. [국제협력부문] 국제협력상(선정기준 : 국제교육, 연구프로그램 운영 및 참여 실적등이 우수한 교원)에 류석영 교수가 선정되었다. [특별포상] LINKGENESIS Best-Teacher Award(선정기준 : KAIST 핵심가치(창의, 도전, 배려) 인재양성에 기여한 교원) 우수상 - 고인영 교수가 선정되었다. [송암 미래석학 우수 연구상] 송암(松岩) 미래 석학 우수 연구상(선정기준 : 공과대학 소속 부임 5년 이내 조교수 중 연구성과가 탁월하여 KAIST 및 공과대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에 김주호 교수가 선정되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