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카카오임팩트, 홍은택 후임 이사장에 류석영 카이스트 교수 선임

    카카오의 사회공헌 전문기관 카카오임팩트는 24일(월) 이사회를 열고 인공지능(AI) 전문가 류석영 전산학부 교수를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했다. 류 교수는 카카오브레인 설립 초기부터 기술 개발 및 사업 추진에 참여하며 카카오의 AI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임기 3년의 류 신임 이사장은 카카오임팩트의 인공지능 기술 기반 사회 문제 해결 사업 강화에 힘쓸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교육, 의료, 환경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류 신임 이사장은 "카카오임팩트의 사회공헌 활동에 동참하게 되어 영광이며,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류석영 교수 홈페이지: https://plrg.kaist.ac.kr/ryu [관련 기사]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247887g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62413494210850 디지털투데이: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2407

    ...Read more
  • KAIST 강성원 교수, 노암 촘스키의 저서 <지식인의 자격> 번역 출간

    KAIST 전산학부 강성원 교수는 현대 언어학의 개척자이자 생존하는 가장 중요한 지식인으로 알려진 노암 촘스키의 저서 <지식인의 자격: 지식인의 책임과 그 후편>(황소걸음, 184쪽)을 윤종은 번역가와 공동 번역하여 2024년 3월 출간했다. <지식인의 자격>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7년 촘스키가 쓴 〈지식인의 책임〉과 2011년에 쓴 〈지식인의 책임 후편: 국가를 견제하기 위한 특권의 사용〉을 하나의 책으로 묶은 것이다. 촘스키는 이 책에서 지식인의 책임과 역할에 대해 명쾌하지만 뼈아픈 답을 제시한다. 강성원 교수는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회장을 역임하였고 ACM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트랙 공동의장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로의 초대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의 근본 원리들>,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와 공저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 입문>이 있다.

    ...Read more
  • 대전에서 개최 예정인 대형 국제학술행사 MICCAI 2025 의장인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의..

    MICCAI 2025 Venue: Daejeon, Republic of Korea Conference Dates: September 23 - 27, 2025 Conference Chairs: Jinah Park, Polina Golland, Jonghyo Kim Paper submission deadline: To be announced https://www.youtube.com/watch?v=BAnfmj8Bn1s http://www.djto.kr/kor/board.do?menuIdx=611

    ...Read more
  • 손정주 박사 (지도교수 유신)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를 졸업한 손정주 박사(지도교수 유신)가 2024년 3월 1일부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된다. 손정주 박사는 학부 이화여대 컴퓨터공학과, 석사 및 박사 KAIST 전산학부를 거쳐 2021년 "결함 위치 식별과 결함 예측간의 보완적 상호작용"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과정 동안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최우수학회인 ISSTA(The ACM SIGSOFT International Symposium on Software Testing and Analysis) 그리고 SCI급 저널인 IEEE TSE(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와 ACM TOSEM(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 에 모두 1저자로 참여해 우수한 연구실적을 인정받았다. 졸업 후에는 University of Luxembourg(독일, 룩셈부르크 에슈쉬르알제트의 대학교) 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후 오는 3월 1일부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된다. 임용을 축하합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한준 교수 임용

    우리 KAIST 전산학부에 2024년 2월 1일부로 한준 교수가 임용되었다. 한준 교수는 2018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IoT 보안 연구로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24년 2월 KAIST 부임 전까지 약 6년간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전산학과 및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사이버-물리 시스템 및 보안 연구실(CyPhy 랩) 연구실을 이끌고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45&kind=faculty&menu=160 https://www.junhan.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준 교수의 대표 연구실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Bangjie Sun, Kanav Sabharwal, Gyuyeon Kim, Mun Choon Chan, and Jun Han, "Testing Masks and Air Filters With Your Smartphones", ACM SenSys 2023 Soundarya Ramesh, Ghozali Suhariyanto Hadi, Sihun Yang, Mun Choon Chan, and Jun Han, "TickTock: Detecting Microphone Status in Laptops Leveraging Electromagnetic Leakage of Clock Signals", ACM CCS 2022 Bangjie Sun, Sean Rui Xiang Tan, Zhiwei Ren, Mun Choon Chan, and Jun Han, "Detecting Counterfeit Liquid Food Products in a Sealed Bottle Using a Smartphone Camera", ACM MobiSys 2022 Soundarya Ramesh, Rui Xiao, Anindya Maiti, Jong Taek Lee, Ananda Kumar, Harini Ramprasad, Murtuza Jadliwala, and Jun Han, "Acoustics to the Rescue: Physical Key Inference Attack Revisited", USENIX Security 2021 임용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박노성 교수 임용

    우리 KAIST 전산학부에 2024년 2월 1일부로 박노성 교수가 임용되었다. 박노성 교수는 2016년 미국 메릴랜드주립대(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했으며 2016년~2018년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샬럿(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에서 2018년~2020년 조지메이슨대학교(George Mason University) 에서 조교수 재직 이후 2020년~2024년도까지는 연세대에서 부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KAIST 빅데이터 분석 및 학습 연구실을 이끌고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44&kind=faculty&menu=160 https://sites.google.com/view/noseong 대표논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Woojin Cho, Kookjin Lee, Donsub Rim, and Noseong Park, "Hypernetwork-based Meta-Learning for Low-Rank Physics-Informed Neural Networks,"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NeurIPS), 2023 Jeongwhan Choi, Seoyoung Hong, Noseong Park, and Sung-Bae Cho, "GREAD: Graph Neural Reaction-Diffusion Network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ICML), 2023 Noseong Park, Mahmoud Mohammadi, Kshitij Gorde, Sushil Jajodia, "Data Synthesis based o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 Bases (VLDB), 2018 임용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김은정 교수 임용

    우리 KAIST 전산학부에 2024년 1월 1일부로 김은정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김은정 교수는 2010년 런던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프랑스 몽펠리에의 CNRS 연구소 LIRMM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11년부터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의 연구원으로 재직했습니다. 전공은 Algorithms design, Computational complexity, Structural graph theory 로 자세한 정보는 아래와 같으며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40&kind=faculty&menu=160 https://www.lamsade.dauphine.fr/~kim/ 대표논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Eun Jung Kim, Stefan Kratsch, Marcin Pilipczuk, Magnus Wahlström, Directed flow-augmentation, The proceedings of the 54th Annual ACM Symposium on Theory of Computing (STOC 2022). · Édouard Bonnet, Eun Jung Kim, Stéphan Thomassé, Rémi Watrigan, Twin-width I: tractable FO model checking. the proceedings of the 61st Annual IEEE Symposium on Foundations of Computer Science (FOCS 2020). Journal of ACM ACM 69 (1), pp.1-46 (2022). · E. J. Kim and O-Joung Kwon, Erdos-Posa property of chordless cycles and its applications. The proceedings of the ACM-SIAM Symposium on Discrete Algorithms (SODA 2018).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B 145, pp 65-112 (202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Lucky 7 Social at N1 개최

    [Lucky 7 Social at N1 포스터] 지난 12월 14일(목) 우리 전산학부 인터랙티브 컴퓨팅 연구실(지도교수 이의진)에서 소셜 이벤트인 "Lucky 7 Social at N1"가 진행되었다. 이번 Lucky 7 Social at N1 이벤트는 KAIST L.O.V.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KAIST IT융합빌딩(N1) 7층에서 연구하는 구성원대상 연구실 간의 교류를 촉진하고 한 해 동안 감사했던 순간들을 나누자는 의미로 기획되었으며 인터랙티브 컴퓨팅 연구실의 교수 및 학생들 주관으로 약 한 달 동안 준비된 행사이다. [복도를 가득 채운 N1 7층 연구실 구성원들] N1 7층 건물에 위치한 4개의 전산학부 연구실(이기혁, 이의진, 한동수, 최호진 교수)과 4개의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실(강준혁, 박현철, 이시현, 최준일 교수) 약 80여 명의 구성원이 참여해 실험실 소개, 감사의 마음 전하기, 피플 빙고, Thanks Board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즐거운 분위기 속에 진행되었다. 1. 실험실 소개: 7층에 있는 8분의 교수님들의 각 연구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더불어 실험실 학우분들의 열띤 함성으로 서로를 격려하며 이벤트를 시작했습니다. 2. 감사의 마음 전하기: 새로 오신 환경 관리사님을 소개하고 감사의 마음을 담은 선물을 전달했습니다. 선물을 후원해주신 7층 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3. 피플 빙고: 참여자들은 다양한 질문으로 이루어진 빙고 카드를 채워가며 서로 알아가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 "겨울보다 여름을 좋아하는 사람"과 같은 소소한 질문을 나누면서 참여자들 사이에 대화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빙고 2줄을 먼저 완성한 참여자와 모든 빙고를 채운 참여자에게 선착순으로 특별한 선물을 나눴습니다. 4. Thanks Board: 참여자들은 "Thanks board"에 한 해 동안 감사했던 순간들을 포스트잇에 기록하여 붙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행사 속 다채로운 이벤트의 순간들] 이번 이벤트를 통해 한해를 마무리하며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나누는 기회를 가질수 있었으며 다른 연구실의 구성원과도 서로 알게 되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별히 전산학부 및 전기및전자공학부 두 학과의 연구실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해 서로의 관심사와 연구실 생활도 가볍게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 참여자들은 맛있는 도넛과 커피를 즐기며 행사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전했으며 한 참여자는 "빙고 게임을 하면서 다른 연구실 사람들과 부담 없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며 “앞으로도 이런 행사가 종종 있으면 좋겠다."라고 응답했다. Lucky 7 Social at N1 이벤트는 연구실 간의 소통을 위한 좋은 출발점이 되었다. [도넛과 커피를 즐기며 자유롭게 소통하는 N1 7층 연구실 구성원들]

    ...Read more
  •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ICMU 학회 기조 강연 진행​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3130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우리 대학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가 11월 29~12월 1일 동안 일본 교토에서 열린 ICMU 학회(Th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Ubiquitous Networking)에서 “참여도 증강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헬스 및 웰빙(Towards Data-Driven Digital Health and Wellbeing for Engagement Enhancement)”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했다. 올해 14회째를 맞는 ICMU 학회는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다루는 국제학회로 사람, 스마트 센서, 기기가 초연결된 차세대 컴퓨팅환경에 관한 최신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학술교류의 장이다. 이번 학회는 센싱, 소셜 응용, 보안, 통신 등을 주제로 32편의 학술논문과 11편의 포스터가 발표됐다. 이의진 교수는 모바일, 웨어러블, 사물 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웰빙과 잠재력 실현을 목표로 하는 긍정 컴퓨팅에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신적, 사회적 웰빙(예: 스트레스 관리 및 사회적 정서적 학습), 신체적 웰빙(예: 운동, 수면 코칭), 업무 생산성(예: 주의력 관리) 등을 증진하는 응용 기술을 개발해왔다. 이번 기조 강연에서는 이의진 교수는 모바일, 웨어러블, IoT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센서 및 상호작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강 및 웰빙 문제를 자동으로 찾아내 사용자의 참여도와 치료의 효과성을 증진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최적화 기법과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 ICMU 학술대회 홈페이지: https://www.icmu.org/icmu2023/

    ...Read more
  • 브이플러스랩, 국내 최대 SW 테스팅 컨퍼런스 베스트콘 (BeSTCon) 2023 강연 및..

    김문주 교수가 창업한 브이플러스랩이, 10월 31일 (화) 서울 COEX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SW 테스팅 컨퍼런스인 베스트콘 (BeSTCon) 2023에서 SW 자동 테스팅 기술 강연 및 홍보 부스를 운영한다. https://www.sek.co.kr/2023/Bestcon 브이플러스랩은 베스트콘 2023에서 KAIST 연구진이 10년 넘게 자체 개발한 Concolic 자동 테스팅 엔진 CROWN을 상용화한 CROWN 2.0을 전시하며, CROWN 2.0을 활용한 산업체 성공 사례를 공유한다. 브이플러스랩은 CROWN 2.0의 AI기반 concolic 테스팅 기술을 현대모비스의 20만줄 크기의 자동차 SW에 적용해 분기 커버리지 90%를 자동으로 달성해 테스팅 소요 인건비를 70%까지 절감한 결과를, 전문가들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세계 최고의 소프트웨어공학 국제학술대회인 ICSE 2019에 발표한 바 있다. 또한, CROWN 2.0을 자동차 분야 모델 기반 개발 프로세스에 (Model-based development (MBD)) 적용하여, Matlab/Simulink 모델에서 자동 생성된 복잡한 C 코드에 CROWN 2.0을 적용하여 80% 분기 커버리지를 자동으로 달성한 성공 사례를 발표한다. CROWN 2.0은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아 현대자동차, LIG넥스원, ETRI,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포항공대 등 국내 대표적 산학연 기관에 판매하였으며, 브이플러스랩의 우수한 기술력 및 역량을 인정받아,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국방 분야 핵심SW 사업 과제 (AI기반 SW 자동테스팅)를 LIG넥스원과 4개년 간 수행중이다.

    ...Read more
  • KAIST Professor Joseph Seering wins Best Paper Awa..

    KAIST faculty member Joseph Seering has won a Best Paper Award for his paper, "Hate Raids on Twitch: Echoes of the Past, New Modalities, and Implications for Platform Governance", co-authored with colleagues at Stanford University. The paper was presented at the ACM conference on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CSCW), which was held in Minneapolis, USA from October 14-18, 2023. The Best Paper Award was granted to the top 1% of papers out of more than 1000 submitted papers from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The multi-stage selection process included feedback from double-blind peer reviews as well as a secondary review process from an awards committee. The paper performs an analysis of large scale targeted bot attacks that occurred on the Twitch video livestreaming platform in summer and fall of 2021. It describes patterns of behavior involved in the attacks, considers potential motivations, and details how targeted users responded. Professor Seering has previously received Best Paper and Honorable Mention awards for his publications at the ACM CSCW, CHI, and CHI Play conferences. His research focuses primarily on content moderation and online safety.

    ...Read more
  • “타입으로 견고하게 다형성으로 유연하게: 탄탄한 개발을 위한 씨줄과 날줄” 저서 발간

    우리 전산학부 재학생 홍재민 학생(석박사통합과정, 지도교수 류석영 교수)이 저술한 “타입으로 견고하게 다형성으로 유연하게: 탄탄한 개발을 위한 씨줄과 날줄” 저서가 발간되었다. 홍재민 학생은 학부생 시절 타입 관련 연구를 진행하여 세계 최고의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학술 대회인 POPL에 논문이 채택된 바 있으며, 현재는 C 프로그램을 러스트로 자동 번역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타입으로 견고하게 다형성으로 유연하게: 탄탄한 개발을 위한 씨줄과 날줄”은 타입 검사의 유용함 및 다형성을 통해 타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저서다. 파이썬이나 자바스크립트처럼 타입 검사가 없는 언어를 주로 사용해 왔지만 타입스크립트와 같이 타입 검사가 있는 언어를 사용해 보려고 하는 독자들에게 적극 추천한다. 또한, 이미 타입 검사가 있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타입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는 독자들에게도 적극 추천한다. 저서 설명: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6340238 저자 홈페이지: https://hjaem.info/

    ...Read more
  • 강성원 교수 Computing 저널 특집호 ˝의존 가능한 복합기술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

    우리 전산학부 강성원 교수가 2023년 8월 Impact Factor 3.7의 SCIE 저널인 Computing에 "의존 가능한 복합기술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계(Architecting Dependable Multi-paradigm Computing Systems)" 제목의 특집호(Computing (2023) 105:1847, 출판사 Springer Nature)를 발간했다. 강성원 교수와 특집호를 공동 편집한 Patrizia Scandurra, Matteo Camilli, Raffaela Mirandola 교수는 전산학 분야의 전통 있는 컨퍼런스인 ACM/SIGAPP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 Software의 Architecture: Theory, Technology, and Applications트랙의 공동의장으로 특별호는 트랙 1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하게 되었다. 강성원 교수는 2014년부터 ACM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트랙 공동의장으로 활동 중이며, 저서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로의 초대(2012년(초판), 2021년(제4판)),"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2017년),"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 입문(2021년)"이 있다.

    ...Read more
  • Co-organizing the CCC'23

    "KAIST SoC graduate (2021) Dr. Sewon Park (advisor prof. Martin), currently Postdoc at Kyoto University/RIMS (Research Institute for Mathematical Sciences), has had the honor of co-organizing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inuity, Computability, Constructivity "(CCC'23): https://www.i.h.kyoto-u.ac.jp/ccc2023/ Sewon is an expert on reliable/verified computing with real numbers and other continuous (=non-discrete/ized) data types. He has contributed (to) two talks and has chaired two talks, as well as organizing and guiding the conference excursion to Heian Jingu Shrine and Nanzenji Temple. Attached is a picture of the conference participants with Dr. Park to the right.

    ...Read more
  • 이종률 박사 (KAIST 학사/석박통합, 지도교수 정진완)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조교수..

    KAIST 전산학부 학사/석박통합을 졸업한 이종률 박사(지도교수 정진완)가 2023년 9월부로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종률 박사는 2014년 8월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KAIST에서 1년 간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고, 4년 7개월 간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와 삼성리서치에서 CL3(책임) 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3년 5개월 간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KAIST 대학원 및 박사후연구원 기간에 그래프 마이닝 및 데이터베이스 분야를 연구했으며, 삼성전자 재직 시절에는 Visual Question Answering(VQA)과 신경망 모델 경량화 기술 등을 연구하였다. 특히, 국제 VQA 챌린지에 참여하여 2016년에 3위, 2017년에 공동 2위를 기록하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도 계속 신경망 모델 경량화 기술을 연구하였고, 충남대학교로 이직 후에는 그래프 마이닝, 효율적인 딥러닝 관련 기술, 그리고 신경망 기반 Reasoning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종률 박사는 KAIST, 삼성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거치면서 IEEE TKDE, AAAI, EMNLP(Findings), BMVC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site/geniusjrlee

    ...Read more
  • 박지훈 박사 충남대 컴퓨터융합학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에서 학사 (2010), 석사 (2012), 박사 (2016) 학위를 받은 박지훈 박사(지도교수 배두환)가 2023년 9월 1일부로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박지훈 박사는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소프트웨어 저장소 마이닝 분야 연구로 석사 및 박사 졸업(지도교수 배두환)한 이후, 국방과학연구소, A2Mind 등의 기업에서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여 학계에 기여하였다. 박지훈 박사는 컴퓨터 비전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한 드론, 무인차량, 지능형 CCTV등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를 포함하여 다수의 논문을 게재 및 발표하였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jihunpark/

    ...Read more
  • 조요한 박사 (KAIST 학사/석사, 지도교수 오혜연)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조교..

    KAIST 전산학부 학사/석사를 졸업한 조요한 박사가 2023년 9월부로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조요한 박사는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Languag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박사학위를 받았고, KAIST에서 오혜연 교수의 지도하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특히 KAIST 석사 기간에 쓴 논문 "Aspect and Sentiment Unification Model for Online Product Reviews"는 데이터마이닝 학회 WSDM에서 올해 Test of Time Award Honorable Mention을 수상했다. 조요한 박사는 자연어처리 분야, 특히 인간의 대화를 분석하고 도와주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그동안 Amazon과 Apple 등에서 대화형 모델을 연구개발 하였고, 현재까지 TACL, EMNLP, WSDM, ICML 등의 학회에 논문을 출판해왔다. 조요한 박사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https://yohanjo.github.io 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졸업생 홍성은 박사 성균관대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홍성은 박사(지도교수: 양현승)가 2023년 8월 28일에 성균관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의 실감미디어공학과(겸: 글로벌융합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홍성은 박사는 2018년에 KAIST에서 전산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2년 동안 SK텔레콤 AI센터 T-Brain에서 Research Scientist로 근무했다. 이어서 3년 동안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겸: 인공지능공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홍성은 박사는 컴퓨터비전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 및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해 왔으며, 박사 과정에서의 뛰어난 연구성과로 2017년에 네이버 Ph.D. 펠로우십을 수상했다. SK텔레콤에서는 최고기술전문가 그룹인 SKT TEB(Tech Expert Board)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성균관대에서는 환경 변화에 적응 가능한 인공지능 연구와 RGB 영상을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예: 언어, 촉각, 열화상 등)를 융합하는 RGB-X 멀티모달학습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박은지 박사 (지도교수 이의진)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박은지 박사(지도교수 이의진)가 2023년 9월 1일부로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조교수로 임용된다. 박은지 박사는 학부 KAIST 신소재공학과, 석사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을 거쳐 2023년 8월 '멀티모달 데이터셋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간 행동 및 성능 모델링 연구'를 주제로 전산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과정 동안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최고 학회인 ACM CHI (2018, 2020, 2021, 2023)에 주저자 3편, 공동저자 1편으로 연구 성과를 발표했으며, 주저자로 작성한 논문이 두 차례 우수 논문상 (CHI 2020, 2021)을 수상했다.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2021년 NAVER Ph.D. Fellowship에 선정되고 2년간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을 지원받기도 했다.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박은지 박사 홈페이지: https://cookingfoil.github.io/

    ...Read more
  • 김대겸 박사 고려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및 기계공학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 김대겸 박사 (지도교수: 조성호)가 2023년 9월 1일부로 고려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및 기계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된다. 김대겸 박사는 2021년 KAIST 전산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년간 미국 Harvard University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김대겸 박사는 로봇 지능 및 헬스케어 로봇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Science Robotics 등 로보틱스 분야의 우수 저널 및 학회에 논문을 게재했다.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위성일 박사 (지도교수 손수엘) UNIST 컴퓨터공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을 졸업한 위성일 박사가 2023년 8월부로 UNIST 컴퓨터공학과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위성일 박사는 손수엘 교수의 지도하에 2023년 8월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과정 동안 위성일 박사는 웹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에 존재하는 보안 결함을 자동적으로 찾아내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NDSS (2020, 2023), WWW (2022), MobiSys (2022)등 컴퓨터 보안 및 웹 분야의 국제 최고 권위 학회에 연구 성과를 발표 해 왔다. 위성일 박사는 UNIST에서 모의침투테스팅 (penetration testing), 퍼즈 테스팅 (fuzz testing), 클론 탐지 (clone detection)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웹 보안을 증진시키기 위한 일련의 연구를 계속 진행 할 예정이다. 위성일 박사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https://seongil-wi.github.io/ 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ad more
  • KAIST 차상길 교수 연구팀 USENIX Security Distinguished Pap..

    KAIST 차상길 교수 연구팀 USENIX Security Distinguished Paper Award 수상 - FPS 컴퓨터게임 해킹프로그램(에임봇:Aimbots)의 획기적 탐지 방법 발표- ▲ S2W 최민엽(KAIST 정보보호대학원 석사졸) 선임연구원 논문 발표 모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 전산학부 / 정보보호대학원 차상길 교수 연구팀이 보안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USENIX Security 2023에서 Distinguished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이번 수상은 정보보호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S2W에 재직중인 최민엽 선임연구원과 사이버보안연구센터 고기혁 연구원이 함께한 연구논문 “BotScreen: Trust Everybody, but Cut the Aimbots Yourself”를 통해 이루어졌다. 에임봇(Aimbots)은 컴퓨터 게임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로, FPS 게임 내의 적 또는 대상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플레이어의 무기를 향해 자동으로 조준한 후 발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은 FPS게임에서의 에임봇 사용을 높은 정확도와 성능 저하없이 탐지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발표하였고 이를 위한 시스템을 대중에 공개하기도 하였다. 해당 논문은 다음 URL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softsec.kaist.ac.kr/~sangkilc/papers/choi-usenix23.pdf

    ...Read more
  • 김주연 박사(지도교수 오혜연) 울산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에서 2020년 박사학위를 받은 김주연 박사(지도교수 오혜연)가 2023년 2월 28일부로 울산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주연 박사는 학부 도쿄대학교 시스템 창성학과, 석사 KAIST 전산학부를 거쳐 2016년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에 진학했으며, 2020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과정 재학 중에는 전산학부 User&Information Lab. (지도교수 오혜연),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영국 Microsoft Research Camrbidge (MSRC)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MSRC와 일본 이화학 연구소 (RIKEN)에서 연구활동을 이어갔다. CHI (2016), TACL 2017, WSDM (2018, 2019), NeurIPS (2021), KDD (2022)에서 주저자로 연구를 발표했다.

    ...Read more
  • 시어링 조셉 교수 임용안내

    우리 전산학부에 2023년 8월 1일부로 시어링 조셉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시어링 조셉 교수는 2020년 Carnegie Mellon University 에서 HCI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습니다. 전공은 Human-Computer Interaction, Social Computing 로 자세한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634&kind=faculty&menu=160 http://joseph.seering.org/ [대표논문] - Beyond dyadic interactions: Considering chatbots as community members. Joseph Seering, Michal Luria, Geoff Kaufman, and Jessica Hammer. 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19. - Reconsidering self-moderation: the role of research in supporting community-based models for online content moderation. Joseph Seering. Proceedings of the ACM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CSCW) 2020. - Designing user interface elements to improve the quality and civility of discourse in online commenting behaviors. Joseph Seering, Tianmi Fang, Luca Damasco, Mianhong Chen, Likang Sun, and Geoff Kaufman. 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19.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강종구 박사(지도교수 백종문) 성신여자대학교 지식서비스공과대학 AI융합학부 조교수 임용

    <강종구 박사(지도교수 백종문)> KAIST 전산학부에서 2022년 박사학위를 받고 현대자동차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강종구 박사(지도교수 백종문)가 2023년 9월 1일부로 성신여자대학교 지식서비스공과대학 AI융합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강종구 박사는 IoT 분야 석사 졸업(지도교수 김대영) 이후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그룹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현장에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IoT, 소프트웨어 실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연구 결과를 다수의 논문으로 발표하여 학계에도 기여하였다. 박사 과정 동안의 연구 성과로 Software Practice and Experience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였고,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우수논문상도 수상하였다.

    ...Read more
  •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 RSS 2023 기조강연 진행​

    <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 > 우리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가 2023년 7월 11일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된 '2023 로봇공학, 과학 및 시스템 컨퍼런스(Robotics: Science and Systems, 이하 RSS 2023)' 초청을 받아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발표 제목은 "Toward Culturally Intelligent Language Models" 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e Models; LLM)이 문화적 지식 및 지능을 갖기 위해 어떤 연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RSS 2023은 2005년부터 개최된 Robotics 분야의 저명 컨퍼런스로 이번 컨퍼런스는 아시아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이번 RSS 2023에는 전 세계의 AI와 로봇 분야 연구자들과 아마존 로보틱스, 토요타 연구소, 한화시스템 등 세계적 기업을 포함해 40개국에서 온 8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세계적인 석학 초청 기조 강연, 25개의 워크숍, 112개의 논문 발표, 포스터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 기조 강연 진행 모습 > https://roboticsconference.org/program/keynote/

    ...Read more
  • 고인영 교수 BECS 2023 국제 워크샵 개최

    지난 2023년 6월 6일 스페인 알리칸테에서 KAIST 빅데이터 엣지 클라우드 서비스 연구센터 (센터장: 고인영 교수) 주관의 국제 워크샵인 3rd International Workshop on Big data driven Edge Cloud Services (BECS 2023)이 개최되었다. 올해로 3회째 개최된 이 워크샵에서는 8개국에서 제출된 논문들 중 선정된 다섯 편의 Full Paper와 두 편의 Short Paper가 발표되었고, 세편의 포스터 발표와 스페인 세비아 대학 Pablo Fernández 교수의 초청강연도 있었다. 이 워크샵은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Engineering (ICWE 2023)에 Co-locate되어 개최되었으며, 약 30여명이 참가하여 관련된 주제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BECS 2023 워크샵 홈페이지: https://becs.kaist.ac.kr/iwbecs2023/ 빅데이터 엣지 클라우드 서비스 연구센터에서는 5G 등의 저지연·고신뢰 통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 발전에 따라 엣지 클라우드가 필수적인 빅데이터 수집 및 처리 환경이 되어가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엣지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간 빅데이터를 고성능으로 수집·분석·예측하기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및 고신뢰·고사용성 빅데이터 서비스 응용 구축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ad more
  • KAIST 홍승훈 교수 연구팀, ICLR 2023 학술대회 한국인 최초 최우수논문상 수상

    KAIST 홍승훈 교수 연구팀, ICLR 2023 학술대회 한국인 최초 최우수논문상 수상 - 시각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범용적 기술 개발로 한국인 최초 최우수논문상 수상 <(왼쪽부터) 김동균 전산학부 박사과정(제1 저자), 김진우 전산학부 박사과정, 조성웅 전산학부 석사과정, 총 루오 박사(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 연구원), 홍승훈 교수(전산학부 조교수)> KAIST(총장 이광형)는 전산학부 홍승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지난 5월 1일부터 5월 5일에 열린 기계학습 분야의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 ‘표현 학습 국제 학회 2023(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 이하 ICLR 2023)’에서 최우수논문상 (Outstanding Paper Award)를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ICLR 2023은 인공지능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회 중 하나로서, 구글 스칼라 h-5 인덱스 기준 기계학습 분야의 1위에 올라있으며, 모든 과학 분야의 출판물 중 9위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최우수논문상은 전체 1,574편의 논문 중 상위 4편에 주어졌다. 홍 교수팀의 ICLR 최우수논문상 수상은 한국인으로서는 최초이며, 주요 기계학습 학회에서 국내 기관이 주축이 되어 진행한 연구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KAIST 전산학부 김동균 박사과정(제1 저자), 김진우 박사과정, 조성웅 석사과정과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Microsoft Research Asia)의 총 루오 박사(Chong Lou)로 구성된 홍승훈 교수 연구팀은 컴퓨터 비전 분야의 핵심 연구 주제인 ‘픽셀 레이블링 문제'를 획기적으로 적은 수의 데이터로 광범위하게 해결할 수 있는 범용적 방법론인 비주얼 토큰 매칭(Visual Token Matching) 기법을 제안해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 픽셀 레이블링은 물체 검출, 물체 분할, 자세 추정, 깊이 추정, 3차원 복원 등 컴퓨터 비전 분야의 거의 모든 핵심 문제를 광범위하게 아우르는 개념이다. 최근 10년간 신경망 기반의 기계학습 방법론이 적용되며 픽셀 레이블링의 다양한 세부 문제에서 괄목할만한 진전이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수십만 개 이상의 방대한 학습 데이터를 요구하는 한계가 있었다. 홍승훈 교수 연구팀은 모든 종류의 픽셀 레이블링 문제에 대해 수십 개 이내의 적은 데이터로도 학습과 추론이 가능한 범용적인 학습 기법을 개발했고, 물체 분할, 깊이 추정, 평면 추정 등 다양한 영상 인식 문제에서 기존 방법 대비 0.01% 이내의 데이터로도 비슷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입증했다. 홍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 영상과 같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제들에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인식 기술을 적용하는데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동균 박사과정은 적은 수의 데이터로 학습할 수 있는 범용적 기계학습 방법론을 계속 연구해 왔으며, 이번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연구를 지난 ICLR에 출판한 바 있다. 김동균 박사과정은 이번 연구로 삼성 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KAIST 전산학부 홍승훈 교수는 "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고, 이번 수상이 국내 기계학습 연구자들에게 자신감이 되어 한국에서 더 많은 도전적인 연구들이 나오는 데 도움이 된다면 기쁠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 최우수논문상 수상작 논문 정보> - ICLR 최우수 논문상 발표: https://blog.iclr.cc/2023/03/21/announcing-the-iclr-2023-outstanding-paper-award-recipients/ - 논문 링크 : https://openreview.net/forum?id=88nT0j5jAn <관련기사>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462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52966635605968&mediaCodeNo=257 https://news.nate.com/view/20230505n04319?mid=n0100

    ...Read more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