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s
KAIST, 인공신경망 기반 워터마킹 기술 개발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의 "KAIST, 인공신경망 기반 워터마킹 기술 개발" 관련 기사입니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980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91114354893731
...Read more전산학부 최기선 교수 COLING 2022 유치 확정
국제전산언어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이하 COLING)의 2022 유치위원장인 전산학부 최기선 교수는 지난 8월 20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시에서 개최된 ICCL 운영위원회 유치발표장에 참여하여 2022년 대한민국 경주에서의 제 29회 COLING 개최를 확정지었다. 전산언어학은 사람의 말과 글을 기계가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하는 전산학과 언어학의 통합분야로 인공지능을 완성하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이다. COLING은 운영위원회 ICCL을 중심으로 전산언어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ACL(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와 LREC(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과 연계해 2년마다 50개국 1200명 이상이 참가하는 세계적인 전산언어관련 컨퍼런스이다. Main Conference에는 약 1000여 편의 페이퍼가 제출되어 이들 중 약 300편 정도 발표되며, Main Conference외에 데모 세션, 튜토리얼 및 10여개의 워크샵으로 이루어져 있다. COLING 2022는 오는 2022년 10월 9일 한글날을 시작으로 약 일주일간 열릴 예정으로 되어 있으며, 향후 전산언어 관련 산업 발전과 인재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산언어학의 위상과 리더십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ad more김민혁 교수, KAIST 6개의 핵심 특허기술에 선정 및 발표
김민혁교수, KAIST 6개의 핵심 특허기술 선정 및 발표 전산학부 김민혁교수님의 "초분광 영상기술"이 KAIST 6개의 핵심 특허기술에 선정되어, 2018년 9월10일 삼성동 코엑스 설명회에서 발표합니다. 본 행사는 면역 활성화 항암치료·AI 기반 초고화질 영상변환 기술 등 바이오·인공지능·나노기술·반도체 분야 등 6개 핵심 특허기술, 기업에 기술이전을 위한 설명회입니다. 2018 KAIST Core Tech Transfer Day website: http://tech4.kaist.ac.kr/ [관련기사: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80920000185 2018 KAIST Core Tech Transfer Day 소개 KAIST(총장 신성철)가 환자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인체 본연의 면역 시스템이 암세포를 사멸시키도록 유도하는‘면역 활성화 항암치료제’와 실시간 AI(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4K UHD)으로 즉시 변환시키는‘초고화질 영상변환 하드웨어기술’등 당장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6개의 핵심 특허기술을 소개한다. KAIST는 10일 오후 1시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산학협력단(단장 최경철) 주관으로‘2018 KAIST 핵심 특허기술 이전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설명회는 KAIST 연구진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기업에게 이전을 통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산학협력 모델을 조성키 위해 마련됐다. 산학협력단 관계자는“지난 3월 KAIST가 오는 2031년까지 세계 10위권 선도대학으로의 진입을 선포한 ‘KAIST 비전 2031’의 5대 혁신분야 중 하나인 기술사업화 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이번 설명회를 준비했다”며 “핵심 특허기술을 선정해 기업에게 이전하는 설명회를 매년 개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KAIST는 선정된 기술을 이전받는 기업들에게는 기술보증기금과 협력을 통해 기업금융연계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들 기업은 또 KAIST로부터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특허-R&D 연계 전략분석, 국내·외 마케팅 우선 추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을 받게 된다. 올해 KAIST가 선보이는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이 되는 바이오, 나노,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의 핵심 특허기술로 ①새로운 방식의 나노 패터닝 플랫폼 기술(정희태 교수·생명화학공학과) ②면역 활성화 항암치료제후보 물질 확보(최병석 교수·화학과) ③미생물을 이용해 바이오연료 등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상엽 특훈교수·생명화학공학과) 등 이다. 이밖에 ④컴팩트한 싱글샷 초분광 카메라 기술(김민혁 교수·전산학부) ⑤AI(딥러닝) 기반 고속 초고해상도 업스케일링 기술(김문철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⑥방사선에 강인한 모스펫 소자(이희철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도 6개 핵심 특허기술에 포함됐다. 특히, 김문철 교수와 김민혁 교수의 특허기술은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5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국제 가전 박람회(IFA 2018)’에서도 전시, 소개돼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은 기술이다. KAIST가 올해 선정한 6개 핵심기술은 산업계에 파급효과가 큰 기술로 향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과 시장규모·기술혁신성 등을 고려해 선정됐다. KAIST는 이를 위해 지난 4월부터 교수들이 직접 연구·개발해 특허를 보유한 교내 우수 기술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고 접수된 특허기술을 대상으로 변리사·벤처 투자자·사업화 전문가 등 15명 내외로 구성된 심사단의 자문과 평가를 거쳤다. 9월 10일 진행되는 설명회에는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을 포함한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기업 관계자 및 투자자 등 200여 명이 초청될 예정이다. 연구자인 이상엽 특훈 교수 등 교수 6인도 모두 참석해 각 특허기술별로 15분씩 발표와 함께 현장에서 기술이전에 관한 상담 등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신성철 총장을 비롯해 강낙규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직무대행, 이준표 한국소프트뱅크 대표이사, 차기철 KAIST 동문회장 등 내·외빈이 참석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학이 보유 중인 첨단기술에 관한 기술사업화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최경철 KAIST 산학협력단장은“이번 기술이전 설명회를 계기로 KAIST가 보유한 핵심 특허기술을 기업에게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글로벌화 등 기업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는 산학협력의 성공적인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 단장은 이어“아직 발굴되지 않은 핵심 특허기술과 각종 사업추진 관련 아이디어 등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대학의 핵심기술을 활용한 기술사업화를 활성화하고 산학협력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ad more홍석인 박사 경북대 조교수 임용
카이스트 전산학부 졸업생인 홍석인 박사 (지도교수: 김순태)가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홍석인 박사는 졸업 후 삼성전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DRAM 설계에 관한 연구를 하였고, 이후 IBM TJ Watson Research Center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저전력 메모리 시스템, Near-Data Processing, Secure Processor Architecture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https://sites.google.com/view/seokinhong/
...Read more홍정규 박사 영남대학교 조교수 임용
카이스트 전산학부 졸업생인 홍정규 박사 (지도교수: 김순태)가 영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홍정규 박사는 박사학위 후 1년 간 임베디드 컴퓨팅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신뢰성 및 저전력 메모리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였다.
...Read more윤성의 교수 ACM Senior Member 선정
윤성의 교수가 2018년 6월에 ACM Senior Member로 선정 되었다.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은 1947년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컴퓨터 분야의 학술과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각 분야 학회들의 연합체로 2007년 현재 전 세계에 약 83,000명의 회원이 있으며, 10년 이상 기술적 리더쉽을 보인 ACM 회원을 senior member로 선정하고 있다. 이번 ACM senior member 로 선정된 윤성의 교수는 2015년 High Performance Graphics 학회에서 Test-of-Time 2006 수상과 Best paper award 수상, 2012~2013년 ACM Interactive 3D Graphics and Games (I3D) 공동 학회장 및 프로그램 Chair 활동, IEEE 및 ACM 학회에서 관련 연구분야로 다양한 tutorial을 개최 및 지금까지 약 70여편의 우수논문 발표와 높은 h-index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Read more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시 개선을 위한 스마트 과학관 전시 연구단 출범
[그림] 과학관 기술스택 관점에서 바라본 스마트 과학관 플랫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시 개선을 위한 스마트 과학관 전시 연구단 출범 (실내 위치인식 기술과 AR/VR, IoT, AI 기술을 융합시킨 전시 서비스 기술 개발) 과학관 전시 안내가 새로워질 전망이다. 카이스트(총장, 신성철)와 국립중앙과학관(관장, 배태민)은 실내위치와 AR/VR, IoT와 같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연계시켜 과학관 전시관을 안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스마트 과학관 전시 연구단을 출범시켰다. 연구단은 전시기반기술, 전시운영기술 전시컨텐츠 분야에서 카이스트(전산학부 한동수, 박진아, 이기혁, 산업디자인학과 이우훈), 연세대, 한양대 등 9개의 대학과 전자부품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등 6개의 연구기관이 총 15개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2018년 하반기부터 2022년도까지 4년 동안, 약 130억 원의 정부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그간 과학관 전시 안내는 자격증을 갖춘 전문적인 전시 안내자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시 안내의 효율화도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연구단이 목표로 하는 실내 위치기반 전시 안내 시스템이 출시되면 관람객들은 위치에 따라 AR/VR기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시물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시 안내자의 설명을 듣는 것과 유사한 서비스를 스마트폰을 통해서 제공 받게 된다. 관람자의 다양한 피드백이 과학관에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전시 개선에 활용하는 리빙랩 기법도 적용할 계획이다. 실내 위치는 카이스트에서 오랜 기간 개발해 온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KAIST Indoor Locating System (KAILOS)를 활용할 예정이다. 배정회 국립중앙과학관 전시단장은 "매년 수십만 명의 청소년이 과학관을 방문하고 있다. 이들에게 과학이 우리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다양한 사례를 전시를 통해 보여주고 과학을 통한 꿈과 영감을 심어 주어야 한다. 과학관 전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발전해야 하는 이유이다. 전시물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과 연계되어 변화되고 전시 안내도 최신 IT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라고 말했다. 연구단장을 맡은 카이스트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는 "과학관 전시기술과 전시 컨텐츠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스마트 과학관 전시플랫폼에 담아낼 계획이다. 전시 안내 시스템이 유연해지고 확장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R/VR 기술과 실내위치인식 기술이 전시 안내에 본격적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연구단이 개발한 전시 안내 시스템은 중앙과학관에 우선 적용하고, 전국 167개 과학관에도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과학관처럼 전시물을 안내하는 각 지역의 박물관, 미술관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그림] 주요 서비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한영훈 학생, 문재인대통령께서 주재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한영훈(지도교수 강성원) 학생이 지난 7/26(목) 청와대에서 진행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전원회의’에 KAIST 학생대표로 참석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의장인 문재인대통령이 주재한 본 회의에서 1)국가 R&D 혁신방안과 2)대학연구인력 권익강화 및 연구여건 개선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회의 전, 사전행사로 대학총장, 출연(연)원장 및 학생대표들과 함께 ‘청년과학자 성장을 위한 다짐식’ 행사도 함께 진행되었다. [관련기사]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photos/1990000000.html?cid=PYH20180726109200013&input=1196m MBC http://imnews.imbc.com/news/2018/econo/article/4719081_22671.html 청와대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heBlueHouseKR/videos/2149093512045544/
...Read more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ERC) 유치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은 MARS(Massive, Automated, Reliable, Secure) 인공지능 통합연구센터가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ERC) 신규과제로 선정되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총 98.75억의 지원을 받게 된다. MARS 센터는 인공지능의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작동 환경과 기반 시스템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실 세계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ARS 센터에는 전산학부의 오혜연, 신인식, 유신, 양은호, 양홍석, 황성주 교수와 더불어 KAIST 전자공학부,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가 참여한다. 연구재단 공지 링크: http://nrf.re.kr/biz/notice/view?nts_no=106413&menu_no=44&biz_no=&search_type=&search_keyword=&
...Read more류덕산 박사 전북대학교 조교수 임용
전산학부 졸업생 류덕산 박사(지도 교수 백종문)가 전북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류덕산 박사는 졸업 후 우리 전산학부에서 2년간 연구 조교수로 근무하였다. 류덕산 박사는 학위 과정 중에는, 소프트웨어 결함 예측 분야를 연구하며 네이버 박사 펠로우십과 전산학부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고, 졸업 후에는 본교에서 프로그래밍 기초, 자료 구조론을 강의했다.
...Read more제9회 TOPCIT 정기평가 대상, 특별상 수상
*사진상 왼쪽 류형욱 학생, 오른쪽 권오찬 학생 KAIST 전산학부 석사과정 류형욱 학생(지도교수: 최성희)과 권오찬 학생(지도교수: 최광무)이 지난 5월19일(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IITP 주관으로 실시한 '제9회 TOPCIT 정기평가'에서 각각 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과 특별상(해군참모총장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오는 2018.7.13.(금),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 로얄볼룸(1층)에 진행될 예정이다. TOPCIT은 ICT 산업 종사자 및 SW 개발자가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요구사항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여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기본적인 핵심 지식 · 스킬 · 태도의 종합적인 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제도이다.
...Read more제목만으로 ‘낚시성 기사’ 알 수 있는 기술 나왔다.
우리 전산학부 웹사이언스 졸업생인 박건우 박사(지도교수: 차미영) 와 김태균 학사과정(지도교수: 허재혁)생이 개발한 '낚시성 기사 판독 프로그램'에 대한 기사 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22600687
...Read more김진형 명예교수 ˝21세기 대상˝ 기술부문 선정
지난 4월 12일 전산학부 명예교수인 김진형 교수가 21세기 대상 기술부문에 선정되었다. 21세기 대상은 신산업경영원이 1986년 21세기 경영인클럽 창립을 기념해 제정한 상으로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경영인들을 기리는 ‘재계의 노벨상’으로 평가받는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이종민 박사 원광대학교 조교수 임용
전산학부 졸업생 이종민 박사(지도교수 김순태)가 원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의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종민 박사는 졸업 후 삼성전자에서 3년 간 책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이종민 박사는 학위 과정 중에는 저전력 컴퓨터 아키텍처를 연구하였으며, 졸업 후 삼성전자에서는 DRAM 설계 및 테스트에 관련한 도구 개발을 수행하였다. 임용을 다시한번 축하드립니다.
...Read more김주호 교수 연구팀, ACM CHI 2018 학회 Honorable Mention Awar..
KAIST 전산학부 김주호 교수 연구팀이 지난 4월 21~26일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 2018) 국제학회에서Honorable Men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CHI 학회는 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로, Honorable Mention Award는 전체 논문 중 상위 5%의 논문에 주어지는 상이다. 본 연구는 국제 협력의 결과로, 대만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석사과정이자 KAIST 전산학부 교환학생 Ching Liu 학생, UC Davis의 Hao-Chuan Wang 교수가 함께 하였다. 논문 제목: ‘ConceptScape: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for Video Learning’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강의 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들이 협력하여 컨셉트 맵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컨셉트 맵을 통해 학습자들이 강의의 내용을 보다 쉽게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음을 보였다. 논문 링크: https://dl.acm.org/citation.cfm?id=3173961 논문 관련 정보: https://kixlab.org/publications/
...Read more김덕수 박사 한국기술교육대 (KOREATEC) 조교수로 임용
우리 전산학부 출신 김덕수 박사(2010학번 지도교수: 윤성의)가 올 해 한국기술교육대 (KOREATEC) 에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김덕수 박사는 윤성의 교수 연구실에서 CPU 및 GPU 모두를 활용하는 이종병렬기술을 연구하였고, 졸업후 KISTI에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중에 학계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습니다. 조교수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https://sglab.kaist.ac.kr/bluekds/
...Read more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 ICST 2018에서 우수논문상 수상
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에서 발표한 "Invasive Software Testing: Mutating a Target Program to Diversify Test Exploration for High Test Coverage" 논문이 CORE Rank A급 우수학회인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Testing, Verification and Validation (ICST) 2018 (acceptance rate:25%) 에서 Distinguished Paper Award 를 수상했습니다. 해당 논문은, 기존의 SW 테스팅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새로운 기술인 Invasive Software Testing을 제안한 논문이다. Invasive Software Testing은 대상 SW 프로그램을 변형한 수많은 변이체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여, 기존의 SW 테스팅이 분석하지 못하는 영역의 오류를 효과적으로 검출한다. 본 논문은 Invasive Software Testing 패러다임을 구현한 DeMiner (guiDEed test generation using MutatIoN ExploRation) 프레임워크를 통해, 최신 테스팅 기술대비 SW 분석 효과가 비약적으로 상승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류석영 교수, <Programming> 2018에서 초청강연자로 기조연설
류석영 교수, 2018에서 초청강연자로 기조연설 KAIST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가 2018에서 초청강연자로 “Static Analysis of Android Applications for Finding Bugs and Security Vulnerabilities”에 대해 기조연설을 하였습니다. 2018은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rt, Science, and Engineering of Programming으로, 프로그래밍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험적, 공학적 연구 결과를 논의하는 곳입니다. 2018은 4월 9일부터 12일까지 프랑스 니스에서 열렸습니다.
...Read moreKAIST '순차 지식' 정리해 주는 알고리즘 플랫폼 개발
<왼쪽부터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마니쉬 아그라왈라 스탠포드대 교수, 장민석 박사과정> 전산학부 김주호 교수팀과 마네시 아그라왈라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 스위스 로잔공대 연구팀과 함께 각종 순차 지식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플랫폼에 관한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com/20180409000376 본 연구는 오는 4월 26일 HCI 최고권위 분야 학회인 ACM SIGCHI 2018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프로젝트 웹사이트: https://recipescape.kixlab.org/
...Read moreKAIST 개발 농식품 유통 관리 플랫폼, 완주로컬푸드 적용
전산학부 김대영 교수의 주도로 개발한 '올리옷(Oliot) 플랫폼'이 국내 최대 규모의 농식품 협동조합인 완주로컬푸드에 적용돼 5일부터 운용에 돌입한다는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com/20180403000333 http://www.kaist.ac.kr/_prog/_board/?mode=V&no=79062&code=kaist_news&site_dvs_cd=kr&menu_dvs_cd=0601&list_typ=B&skey=&sval=&smonth=&site_dvs=&GotoPage=1
...Read moreACM IUI 2018, Best Student Paper Award Honorable M..
KAIST 전산학부 김주호 교수와 University of Michigan 박사과정이자 KAIST 전산학부 방문연구원인 송진영(Jean Y. Song) 학생이 지난 3/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ACM 2018 Conference on Intelligent User Interface (IUI) 국제학회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 Honorable Mention’ 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Two Tools are Better Than One: Tool Diversity as a Means of Improving Aggregate Crowd Performance’ 본 논문은 기존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연구로, 참여자에게 다양한 툴(tool)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단일 툴을 사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도구의 한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 하여, 총합된 결과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논문 링크: https://dl.acm.org/authorize?N43044
...Read more전산학부 졸업생 김재일 박사 경북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졸업생 김재일 박사(지도교수: 박진아, 2015년 2월 졸업)가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재일 박사는 박사학위 취득 이후 삼성종합기술원 (Samsung Electronics) 에서 Senior Engineer로 근무하였고 2016년 6월부터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에서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로 활동하며 전산학과 의료영상분야의 연구를 활발히 수행했다. 주요 연구내용 Diffusion-weighted atlas construction & learning-based missing image prediction Ultrasound image fusion 3D foot bone modeling for foot joint analysis Surface-based shape analysis for subcortical structures and brain ventricles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전산학부 석사과정 류형욱 TOPCIT 최고득점
우리 전산학부 석사과정 류형욱씨가 TOPCIT 최고득점자와 관련된 기사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22411058
...Read more유신 교수, Empirical Software Engineering 저널 편집위원 선임
KAIST 전산학부 유신 교수는 2018년 2월자로 Springer에서 발행하는 Empirical Software Engineering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선임되었다. Springer의 Empirical Software Engineering은 경험적, 실증적 접근 방법의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를 다루는 SCIE 학술지이다. 2016년 기준 IF 3.275, 5년 누적 IF 3.759의 높은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Google Scholar 기준 Software Systems 분야의 학회 및 학술지 순위에서 12위에 랭크되어 있다.
...Read more박진아 교수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우리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가 "점진적 가변형 모델에 기반한 해마 형태학 연구" 란 주제로 2017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에 선정되었습니다.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은 - KAIST R&D 우수성과 발굴·홍보를 통한 연구자의 연구의욕 고취 - 지속적인 Annual Report 발간과 동영상 제작을 통한 우수성과 및 핵심기술 정보 축적 - 체계적인 성과사례 관리를 통한 성과관리체계의 발전적 진화 유도 에 그 취지를 두고 있으며, 수상은 2018년 5월 중 Research Day 행사 시 시행됩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김효수 박사과정, 휴먼테크 논문대상 동상 수상
지난 2월 7일 지난 2월 7일, 삼성전자 휴먼테크논문대상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부분에서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학생이 동상을 수상했습니다. 전산학부 박사과정 김효수·조병길 학생 (지도교수 신인식)과 CMU 박사과정 김대혁 학생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모바일 환경에서 touch sound를 활용하여 사용자 touch 위치를 찾는 기술을 개발하여 '동상'을 수상했습니다. 연구팀은 사운드 기반의 새로운 해킹 기법 및 모바일 HCI 기술을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논문 제목 - TapSnoop: Leveraging Tap Sound to Infer Tapstrokes on Mobile Touch-screen Devices 저자 - 김효수 (KAIST), 김대혁 (CMU), 조병길 (KAIST) 삼성전자 휴먼테크논문상은 미래 과학한국을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젊은이들을 발굴하고 학교 내 연구 분위기 활성화와 기술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1994년에 제정된 상 입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https://humantech.samsung.com/saitext/board.do
...Read more문수복 교수 2018년도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 선정
지난 1월 3일 발표된 2018년도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권오경)정회원 관문인 일반회원에 우리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선정된 기사입니다.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기사보기: http://www.etnews.com/20180103000240
...Read more2018년 개교 47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사진상(최기선, 한동수, 고인영 교수) 2018년 개교 47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에 우리 전산학부 최기선 교수가 국제협력상 한동수 교수가 이노베이션상 고인영 교수가 우수강의상에 선정되었습니다. 국제협력상은 국제협력 분야에서 실적이 탁월하거나 학교의 국제협력 발전에 크게 공헌한 우수교원, 이노베이션상은 기술이전·사업화를 통하여 관련 산업분야 혁신에 기여하고, KAIST의 우수한 연구 성과물의 공유와 확산에 기여한 교원, 우수강의상은 최근 1년간 강의평가 결과가 탁월한 교원 을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수상식은 오는 2018. 2. 12.(월) 오후 2시, 개교 47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진행됩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