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s
배두환 교수 SW 산업 발전 유공자로 근정 포장 수상
2019년 12월 2일 개최된 소프트웨어 산업의 날 기념식에서 우리 전산학부 배두환 교수가 SW 산업 발전 유공자로 근정 포장을 수상하였다. 배두환 교수는 KAIST 부임후 약 25년 동안, 인재 양성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R&D 에 힘써 왔으며, 최근에는 과학기술정통부의 SW 스타랩 협의회장으로 국내 최고의 교수진이 참여하는 SW 연구실(현재 29개)들과 연구 개발 및 인재 양성에 일조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KAIST의 SW 교육 센터장으로 부임하여 SW 중심 대학 사업을 맡고 있으며 KAIST 내의 SW/AI 교육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영예로운 근정포장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Read more전동킥보드·공유차 해킹 무방비…암호화된 ‘비번’도 빼간다
http://me2.do/FNi187ea 2019년 11월 15일 KBS 뉴스에 보도된 전산학부 기사 입니다. "전동킥보드·공유차 해킹 무방비…암호화된 ‘비번’도 빼간다"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님께서 KBS뉴스와 인터뷰 하신 내용이 소개됩니다.
...Read moreKAIST, 전시회에 IT 기술 접목한 새로운 전시기법 소개
KAIST, 전시회에 IT 기술 접목한 새로운 전시기법 소개 - KAIST 포함 15개의 연구팀 참여하는 스마트과학관 전시연구단 성과 발표 - 과학 문화 콘텐츠를 가상현실·증강현실·미디어 아트 등의 작품으로 전시 KAIST(총장 신성철)는 스마트과학관 전시연구단(단장, 전산학부 한동수) 사업의 일환으로 동영상이 연계된 AR 사진 제작 기법·과학 청진기·로봇 안내 시스템 등의 기술을 11월 7일과 8일 양일에 걸쳐 대전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정병선)에서 전시하였다. KAIST 지능형서비스 연구실(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원더랩(산업디자인학과 이우훈 교수), HCI 연구실(전산학부 이기혁 교수), 컴퓨터 그래픽스 및 가시화 연구실(전산학부 박진아 교수) 등이 참여하는 이번 행사에는 전시콘텐츠·전시운영기술·전시기반기술 분야에서 15개의 연구팀이 성과물을 선보였다. 분야 전시명 연구 기관 전시콘텐츠 VR/AR/홀로그램 과학문화 콘텐츠 연세대, 전자부품연구원, 목포대 과학문화유산 미디어아트 콘텐츠 광주과기원, 공주대 창의과학체험 교육 콘텐츠 이화여대, 교통대 O2O 기반 실감형 버츄얼 과학관 서울교대, KAIST 전시운영기술 동영상이 연계된 AR 사진 제작 기법 KAIST 로봇 안내시스템 KAIST 과학관 빅데이터 분석 기술 부산대 전시기반기술 과학문화 전시콘텐츠 공유플랫폼 한남대 과학문화전시 큐레이션 기술과 오감자극 전시 디자인 기술 KAIST, 한양대, 가평 천문대 'VR/AR/홀로그램 과학문화 콘텐츠', ‘O2O 기반 실감형 버츄얼 과학관', '동영상이 연계된 AR 사진 제작 기법', '과학문화전시 큐레이션 기술과 오감자극 전시 디자인 기술' 등이 출품되어 8일에는 각 연구팀의 발표도 진행되었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과학문화전시서비스 역량강화지원사업은 전국 과학관·박물관·미술관 등에 실내 위치 인식 기술·증강현실(AR)·가상현실(VR)·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의 최신 IT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도입해 관람객을 위한 새로운 전시 체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참여 연구팀은 각 지역의 과학관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이 곧 실험실이 되는 '리빙랩(Living Lab, 생활실험실)을 운영하며 연구와 개발을 진행 중이다. 한동수 스마트과학관 전시연구단장은 "국제과학심포지움과 함께 진행되는이번 전시는 체험하는 과학, 실감하는 과학·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과학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ˮ고 강조했다. 이어, 한 단장은 "실내 위치인식·로봇·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 -computer interaction)·AR/VR과 같은 최신 IT 기술을 접목시킨 연구팀의 땀과 노력이 관람객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사진설명) 사진1: 동영상이 연결된 AR 사진 제작 및 상영 시스템(지능형 서비스 연구실) 사진2: 과학 청진기(원더랩, HCI 연구실) 사진3: 한국 미라 체험(컴퓨터 그래픽스 및 가시화 연구실) 각 1부, 끝.
...Read more김주호 교수, '정말 내 생각일까?'…SBS D포럼, 한국 사회 점검 / SBS / 주영진..
...Read more
신인식 교수, ACM MobiCom 2019 Best Paper Award 수상
KAIST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팀, ACM MobiCom 2019 국제학회에서 Best Paper Award 수상 KAIST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팀은 10월 21-25일 멕시코 로스 카보스에 열린 ACM MobiCom (The 2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2019 국제학회에서 “FLUID: Flexible User Interface Distribution for Ubiquitous Multi-device Interaction” 논문으로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KAIST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팀은 10월 21-25일 멕시코 로스 카보스에 열린 ACM MobiCom (The 2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2019 국제학회에서 “FLUID: Flexible User Interface Distribution for Ubiquitous Multi-device Interaction” 논문으로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ACM MobiCom 국제학회는 모바일 통신 및 컴퓨팅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이며, 이 학회의 25년 역사 사상으로 처음으로 한국 주관기관에서 수상했다. 최근 모바일 및 IoT 트렌드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등장이다. 초고속 5G 등장 뿐만 아니라, 듀얼스크린폰 및 폴더블폰 등 새로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출현, 그리고,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및 스마트 자동차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모바일 앱 개발 및 사용은 단일 기기 (single-device) 모델에 국한되어 있어, 새로운 트렌드가 제공하는 다중 기기 (multi-device) 잠재성을 제한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고정 관념 및 기술적 한계를 타파하며, 새로운 다중 기기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모바일 SW 플랫폼 기술 “FLUID”를 개발하였다. 이 논문의 제1저자인 오상은 박사과정 학생은 단일 기기 가상화 (virtualization) 기술을 핵심 기반 기술로 소개하며, FLUID를 통해 개별 앱의 UI(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요소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여러 기기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미 시판중인 기존 모바일 앱을 수정하거나 재개발하지 않아도 다중 기기 환경에서 새로운 형태로 앱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버팔로 대학교 Steve Ko 교수와 공동 연구로 진행된 이 연구는 10월 22일 ACM MobiCom 2019 국제 학회에서 발표되었으며, 현장 기술 시연을 통해 다양한 다중 기기 사용 시나리오들을 선보였다. 신인식 교수는 "제안하는 FLUID 플랫폼이 가지는 높은 유연성과 범용성은 현재 단일 기기 패러다임에서 새로운 다중 기기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은 지금껏 생각할 수도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앱 활용을 가능케 할 것이다"고 밝혔다.
...Read more김민혁 교수, CAD/Graphics 2019에서 기조강연
김민혁 교수, CAD/Graphics 2019에서 기조강연 KAIST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는 지난 5월 5~6일 중국 청도에서 개최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 Graphics (CAD/Graphics) 2019에서 “Beyond Human Vision - Seeing More with Camera”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였다. 김민혁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압축 초분광 이미징의 기초에 대해서 설명하고 정확하면서도 실용적인 소형의 초분광 이미징 카메라 연구와 관련해서도 이야기했다.
...Read more신성용 교수,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
신성용 명예교수님, AsiaGraphic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 KAIST 전산학부 명예교수 신성용 교수님께서 그래픽스 분야에서 뛰어난 리더십과 기여로 이번 Pacific Graphics 2019에서 AsiaGraphic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수상하셨습니다. 신성용 교수님는 서울대학교의 김명수 교수님과 함께 Pacific Graphics의 창립자이기도 합니다. 축하드립니다!
...Read moreKHC 우수시연상
지난 8월 30~31일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 컨벤션 대강당 제11회 한국 햅틱스 워크샵에서 우리 전산학부 장재현 박사과정(지도교수 : 박진아)이 '비접촉식 햅틱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 유체의 촉각 렌더링 기법’을 발표하여 우수 시연상을 수상하였다. 본 워크샵을 주관하는 한국 햅틱스 연구회 (Korea Haptics Community; KHC)는 2007년 겨울에 햅틱스를 활발하게 연구하는 몇몇 그룹의 주도로 결성되었으며, 다양한 연구 및 교류 활동을 통해 국내 햅틱스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김성진 박사 제주한라대 조교수로 임용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김성진 박사 (지도교수: 강병훈)가 2019년 9월부로 제주한라대 시스템지능형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박사는 2019년 2월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에 관한 위험분석 모델”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으며, 웹 상에 숨어있는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를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통해 정상네트워크와 악성네트워크 사이의 차이점을 연구해왔다. 연구결과는 실제 구현되어 사용 중이며, computers & security, computer networks, ETRI journal 과 SecureComm에 발표되었다.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악성코드탐지시스템을 상용화하였고, IoT sensor 개발과 수집 로그에 대해 딥러닝을 이용한 anomaly 탐지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Read more학부생 김연수 (지도교수 이성주) URP 우수상 수상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김연수 학생이 8월 28일 개최된 2019 겨울/봄학기 URP(학부연구프로그램)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도교수: 이성주, 조교: 공태식 박사과정). 본 연구는 ACM SenSys 라는 국제 저명 학술지에 채택 되었다. Taesik Gong, Yeonsu Kim, Jinwoo Shin, and Sung-Ju Lee, "MetaSense: Few-Shot Adaptation to Untrained Conditions in Deep Mobile Sensing", In Proceedings of ACM SenSys 2019. (acceptance rate: 19.4%) 전기 및 전자공학부 신진우 교수와 협업한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의 센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이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환경에서도 잘 동작 하도록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딥러닝의 발전에 힘입어 모바일 기기의 센서를 이용해 심정지를 탐지하는 등의 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개인 모바일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딥러닝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경우, 개발 과정에서 수집하고 딥러닝에 학습된 사람과 기기에 대해서는 잘 동작하지만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사람과 기기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은 수의 데이터로도 새로운 사람과 기기에서 잘 동작하도록 하는 meta-learning 방법을 제시하여, 다양한 모바일 센싱 어플리케이션 연구들이 실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박성준 씨, Google AI Ph.D. Fellowship ..
https://ai.googleblog.com/2019/09/announcement-of-2019-fellowship.html KAIST 전산학부 박성준 학생(지도교수 오혜연)이 2019년 Google Ph.D. Fellowship 중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부문에 선정되었다. Google Ph.D. Fellowship 프로그램은 2009년부터 매년 컴퓨터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훌륭하고 미래가 유망한 박사과정 학생들을 뽑아 장학금과 Fellowship Summit 참여, 인턴십 기회, 구글 각 분야의 전문가 멘토의 연구 토의 및 피드백 등을 제공한다. 올해는 북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대학에서 50여명의 박사과정 학생들이 선발되었으며, 아시아에서는 한국 대학 학생 3명을 포함해서 10명의 학생들이 선발되었다. 박성준 학생은 기계학습 기반 자연어처리 기법을 활용한 전산심리치료(Computational Psychotherapy) 관련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구글 PhD Fellowship에 선정되었다. 그는 기계학습 기반 자연어 처리에서 널리 사용 되는 어휘의 분산표상 학습 기법을 한국어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학습된 분산표상을 해석하는 방법을 2017, 2018년에 각각 자연어처리 분야 최고수준의 국제학술대회인 ACL(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EMNLP(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이를 확장하여, 심리상담 대화록에서 내담자 발화를 내담자 요인에 따라 분류하는 기준 및 기계학습 모델을 제안하여 자연어처리 분야 최고수준의 국제학술대회인 NAACL(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에서 발표하였다. 또한 인공신경망 기반 대화 생성 모델 개발, 텍스트에서 복합적인 감정 추출 및 예측, 전산심리치료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또한 현재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Read more중앙대, 김진형 前인공지능연구원장 석좌교수 초빙
우리 전산학부 김진형 명예교수의 중앙대 석좌교수 초빙관련 기사입니다. 연합뉴스 (2019.09.04) 에듀인뉴스(2019.09.04)
...Read more카이스트, 독일 사이버 보안 분야와 MOU 체결
KAIST(총장 신성철)는 8월 28일 수요일(현지시각) 오전 9시에 독일 자르브 뤼켄에서 독일 정보보안센터(CISPA(Helmholtz Center for Information Security))와 KIST 유럽연구소와 같이 국내 대학 중 최초로 정보보호 관련 협력과 공동 목표에 관해서 MOU를 체결했다. KAIST, CISPA, 그리고 KIST 유럽은 이날 협약체결을 통해 ▲공동 프로젝트 추진 ▲시스템 보안, 웹 보안, 암호학 등 분야 관련 협력 ▲ KIST 유 럽의 테스트베드 플랫폼 공동사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독일의 CISPA는 2018년 헬름홀츠(Helmholtz) 연구협회 연구센터로 선정되 었다. 헬름홀츠 연구협회는 독일 최대의 연구기관이며 연간 439억 유로 예 산을 투입하고 있다. 2018년 2월 헬름홀츠 연구협회는 CISPA를 협회 최초 로 IT분야를 수행하는 대형연구센터로 출범, 2026년 최소 500에서 800명 연구인력을 지닌 대형연구센터를 목표로 발돋움 중이다. 현재, CISPA는 최 근 4년동안 정보보호 분야의 TOP 4 국제학회에서 세계 최고의 연구 실적 을 올렸고(csrankings.org 기준 세계 1위), 매년 500억원(원화 기준)이 넘는 연구비를 헬름홀츠 연구협회에서 지원을 받고 있다. 28일(현지시각) MOU 행사와 더불어, 독일 대사관에서 개최한 한독 사이버 보안 세미나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 분야 기술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오후에 개최된 “데이터 보호, 웹 보안, 시스템 보안을 위한 연구자들(워크숍)”에서는 신인식, 강병훈, 손수엘 교수 등이 KAIST를 대표 해서 각각 시스템 보안 및 웹 보안 내용을 발표하며, CISPA와 공동 협업 주제를 구체화하였다. 향후, KAIST 정보보안대학원은 이번 MOU 참여 기관들과 같이 공동 프로 젝트, 세미나 및 인턴십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하여 공동 기술개 발, 인력양성 및 산학협력 등에 이바지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원으로 거듭 발전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KAIST 정보보호대학원 신인식 책임교수, CISPA 마이클 벡 키스 소장, 김준경 KIST 유럽연구소장 등이 참석해서 MOU에 서명했다.
...Read more정보보호대학원 사이버안보(보안) 논문 공모전 수상
지난 8월 23일(금) 제주 메종글래드에서는 2019 사이버안보(보안) 논문 공모전 시상식에 시행되었다. 본 시상식 기술 부분에서 카이스트 정보보호대학원 학생들이 제출한 7편의 논문이 (대상 1 최우수 2 우수 1 장려 3) 수상하였다. 해당 공모전은 국가정보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의 후원하에 한국정보보호학회 및 한국국제정치학회 주관으로 열리는 공모전으로 올해는 WISA 2019와 함께 열렸으며 총 100여 편의 논문이 제출되었다. 김용대 교수가 이끄는 시스템 보안 연구실 (SysSec)의 양호준 학생은 Hiding in Plain Signal: Physical Signal Overshadowing Attack on LTE 논문으로 총 100여 편의 출품작 중 최상위작인 대상에 선정되어 500만 원의 상금을 획득했다. [수상 목록] 대상 1: 양호준 (김용대 교수) 최우수상 2: 박선녀 (손수엘 교수), 이승현 (신승원 교수) 우수상 1: 이택진 (손수엘 교수) 장려상 3: 유수연 (강병훈 교수), 강희도 (손수엘, 신승원 교수), 이수영 (차상길, 손수엘 교수)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졸업 허성국박사, 미 버지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Vir..
KAIST 전산학부에서 2017년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토론토 대학교 (University of Toronto) 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허성국박사(지도교수 이기혁)가 2019년 8월 12일부로 미 버지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Virginia) 전산학과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허성국박사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입출력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며, CHI, UIST, CSCW 등 HCI 분야의 최고 학회와 IEEE Transactions on Haptics 등의 학술지에 연구 결과를 발표해 왔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허성국박사는 2016년 네이버 Ph. D. 펠로우십도 수상하였다.
...Read moreKAIST, 개발기간 줄여줄 새로운 프로그래밍 방법론 도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의 자바(Java) 개발을 주도한 가이 L 스틸 주니어 미국 오라클 랩 박사와 프로그래밍 언어 '포트리스' '스칼라'의 새로운 '타입 시스템'을 정의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하는데 성공한 기사입니다. 기사보기
...Read more개방형 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 연구단 설립
우리 대학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한국연구재단 과제에 선정되어 지난 6월 20일 “개방형 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 연구센터 / Center for OECP”를 설치하였다. 총 4 총괄 분야로 구성이 되어 있고, 카이스트의 전산학부, 산업 및 시스템 공학과, 기계공학과, 전기 및 전자공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의 교수진들과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구책임자 등, 총 17인으로 구성되어 미래에너지 기술을 위한 차세대 복합형 에너지 서버 기반 에너지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선정된 각 과제에는 올해 20억 원(2020년 22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연차 평가를 통해 최대 5년간 162억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연구 분야는 1총괄 : 빅데이터 기반 최적 운영 및 관리기술의 개발, 2총괄 : 에너지 클라우드용 고신뢰 분산 플랫폼 보안 기술개발, 3총괄 : 개방형 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을 위한 고효율 에너지 서버 개발, 4총괄 : 에너지 클라우드를 위한 빅 에너지 데이터 생성 및 서버 요소의 개발 등으로 나누어진다. 1총괄은 다양한 네트워크 여건변화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기술개발로 에너지 클라우드 운영/관리 비용의 획기적인 감소를 전략적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 그리드 디지털 트윈 및 에너지 클라우드 운영/관리 전략 수집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개, 분산 에너지 자원 최적 운영 및 관리 원천기술 지적 재산권 확보, 에너지 기술 기본계획 수립에 반영 가능한 가치평가시스템 개발과 함께 SCI급 저널 혹은 최우수/우수 학술대회 논문 게재와 학술 발표를 성과 목표로 잡고 있다. 2총괄은 고신뢰 분산 플랫폼 보안을 통하여 안전하고 고성능의 에너지 클라우드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의 구현을 전략목표로 삼고 있으며, 신뢰성 있고 보안성 있는 수십 테라바이트급 개방형 분산 메모리 데이터 처리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개와 에너지 클라우드의 주요 자원 식별 및 분류 체계 개발, 블록체인기반 에너지 위변조 방지기술 특허 및 오픈소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보안 연구를 목표로 한다. 3총괄에서는 재생 에너지의 다양한 부하 추종이 가능한 고효율 에너지 서버 테스트 베드 구현을 전략목표로 하며, 슈퍼커패시터, 이차전지, 수소-연료전지를 통합한 복합형 에너지 서버의 20kW급 테스트 베드 제작, 에너지 클라우드의 여러 요소별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에너지 서버의 효율성 안정성 향상, 급격한 전력 수요 변동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변환 회로 및 전력변환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 및 에너지 저장장치 소재 평가를 고려한 에너지 클라우드 최적 디자인, 운전 및 운영 전략 개발, 시스템 설계, 최적화 알고리즘, 전력 변환 회로 등 에너지 서버 설계 기술 6건 이상의 지적 재산권 확보 및 1건 이상의 기술이전과 함께 저널에 논문게재와 학술 발표를 성과 목표로 연구중에 있다. 4총괄은 에너지 클라우드 시스템 공정 모사를 위한 빅 에너지 저장 소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테스트 베드 시스템 위한 에너지 서버 개발을 전략적 목표로 하며, 시뮬레이션 데이터/텍스트 마이닝 데이터/실험 데이터 융합 에너지 저장 소재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환경 및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체 수소 저장 소재 라이브러리 구축 및 에너지 클라우드 테스트 베드 시스템을 통한 고체 수소 저장 소재 상용화 연구, 다양한 동적변화에 대응 가능한 연료전지 실험 데이터 라이브러리 구축 및 확보와 에너지 클라우드 테스트베드 시스템을 통한 전력 수요에 유연한 연료전지 시스템 최적화, 다양한 운전 조건 및 전해질 유송특성에 따른 셀 데이터와 임피던스를 활용한 전기화학적 데이터 확보를 성과 목표로 한다. 에너지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종류의 신재생 에너지원이 필수적이고, 무엇보다도 다양한 시간, 장소, 기후 조건 등에 따라 유연하게 해당 에너지원을 생산 및 저장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각 에너지원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소 에너지의 실절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변화되는 구동 조건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소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수소를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단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종류의 고체 수소 저장 물질(금속수소화물, 착수소화물, 다공성 물질)들이 각각의 물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조건에서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수소 저장 소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고체 수소 저장 소재 종류에 따른 온도 및 압력 등의 구동 조건과 수소 저장 밀도의 수소 저장 성질 변수를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할 것임. 변화하는 조건에 따라 저장된 수소를 에너지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추후에 연료 전지 및 에너지 저장 세부 그룹들과 협업하여 에너지 클라우드 시스템의 테스트 베드 구축 마련의 초석이 될 것이다. 우리 연구센터은 이번 개방형 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 연구센터의 개설을 통해 총 5년간의 연구과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업화 또는 기술이전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에너지 산업계에서 정보보호 플랫폼으로서 글로벌 수준의 연구 및 융합형 인재양성의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19th Intl. Conf. on Runtime Ver..
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가 2019년 10월 8-11일에 열리는 19th Intl. Conf. on Runtime Verification (RV) 에서 Test of Time Award를 수상했다. https://www.react.uni-saarland.de/rv2019/ Test of Time Award는 10년 이상 과거 Runtime Verification 학회 논문 중, 연구 커뮤니티에 큰 영향력을 끼친 논문에 주는 상으로써, 2001년 Runtime Verification 학회에 김문주 교수가 제1저자로 발표한 Java-MaC: A Run-time Assurance Tool for Java Programs 논문이, runtime verification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과거 18년간 관련 연구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점을 인정받았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부교수 유신,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
KAIST 전산학부 유신 교수가 2019년 7월자로 ACM이 발행하는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 (TOSEM)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선출되었다. ACM TOSEM은 IEEE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TSE)과 함께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유일하게 SCI에 등재되어 있는 저명 학술지이다. JCR 2017 기준 IF 2.516의 높은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Google Scholar 기준 Software Systems 분야의 학회 및 학술지 순위에서 18위에 랭크되어 있다.
...Read more박사과정 김수지, ICWE 2019 Distinguished Paper Award 수상
우리 전산학부 박사과정 김수지(지도교수: 최성희) 학생이 지난 6월 11~14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Engineering (ICWE 2019) 국제학회에서 ‘DotCHA: A 3D Text-based Scatter-type CAPTCHA’ 논문으로 Distinguished Paper Award를 수상했다. 본 논문은 기존 2D 텍스트로 구현되었던 CAPTCHA를 3차원 모델 형태로 변환해 CAPTCHA 시스템에서 중요한 usability와 security를 동시에 보완하는 방안을 제안한 논문이다.
...Read more정보보호대학원 손수엘 교수 국제우수학회 WWW 2019 논문 게재및 발표
정보보호대학원 손수엘, 김용대, 신승원 교수 연구팀은 지난 5/14-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The Web Conference 2019 학회(Previously WWW)에서 'Doppelgängers on the Dark Web: A Large-scale Assessment on Phishing Hidden Web Services’ 논문을 발표하였다. 손수엘 교수가 이끈 해당 연구에서는 다크웹의 내재된 속성 중 하나인 익명성을 악용하는 피싱 웹사이트가 상당수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피싱 웹사이트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크웹 상의 피싱 웹 사이트들이 가지는 특징들을 조사하고 이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담아낸 논문은 제시한 접근 방법의 기여도를 인정받아 전체 제출된 1247여편의 논문 가운데 225개의 논문 중 한 편으로 채택이 되었다. 또한 보안 트랙에서 Oral 발표된 5개의 논문 중에 하나로 선정되었다.
...Read more백형부 박사 인천대학교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졸업생인 백형부 박사(지도교수: 윤현수)가 2019년 3월 1일부로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백형부 박사는 2012년, 2016년에 KAIST 전산학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성균관대학교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재직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실시간 시스템으로 실시간성 보장 및 효율적인 자원 관리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IEEE RTSS, IEEE RTAS, IEEE TPDS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2년 IEEE RTSS에서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을 수상하였다. https://sites.google.com/view/hyeongboobaek
...Read more전산학부 석사과정 양세린 학생, 관정 장학생 선정
전산학부 석사과정 양세린(지도교수: 김주호) 씨가 2019년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 국내대학 대학원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관정교육재단은 지난 2002년부터 삼영화학그룹 이종환 회장이 전 재산을 기부해 국내·외 장학사업을 벌이고 있는 아시아 최대 장학재단으로, 대한민국의 최우수 인재들을 선발하여 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인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국내대학 대학원 장학생은 전국 대학의 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 박사과정 대학원생 가운데 학업 능력 및 연구 활동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추천되어 서류, 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되었으며 이번에 선정된 양세린 씨는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에서 장학금 총 2,200만원을 받게된다.
...Read more문수복 교수 대통령표창 수상
지난 22일 오후 3시경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알림2관에서 개최된 2019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우리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초고성능 네트워크 시스템, 소셜네트워크 분야의 세계적 연구(총피인용 17,000회 이상) 및 최상위급 국제학술대회 등을 통해 국내 ICT학계 위상 제고에 기여함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관련기사: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90422010014727
...Read more김효수 박사 중앙대 조교수 임용
카이스트 전산학부 졸업생인 김효수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가 2019년 3월 1일부로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효수 박사는 2012년, 2018년에 KAIST 전산학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6개월간 KAIST 전산학부에서 연구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모바일,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지금까지 모바일,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 및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ACM SenSys, ACM UbiComp, IEEE RTSS, ACM EMSOFT, ACM MobiCom 등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8년 ACM SenSys에서 Best Paper Runner-up Award을 수상하였다.
...Read more이동만, 최성희 교수 연구실 2019년도「SW스타랩」 선정
[사진상 좌측 최성희 교수, 우측 이동만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센터장 석제범, 이하 IITP)는 지난 4.3(수) 2019년도「SW스타랩」지원 대상에 우리 전산학부 - 이동만 교수 연구실이 SW기초·원천기술 연구의 장, SW스타랩 지능형 SW분야에 - 최성희 교수 연구실이 알고리즘 분야에 선정되었다. SW 스타랩은 빅데이터/데이터베이스, 지능형 소프트웨어, 분산컴퓨팅, 알고리즘, 사용자인터페이스 등 5대 전략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초‧원천기술 확보와 글로벌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주도할 석‧박사급 인재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금번 선정된 「SW스타랩」7개의 연구실 중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실 3곳, 서울대 연구실 2곳,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실 1곳, 경희대 연구실 1곳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실은 향후 최장 8년 (4+4년), 연 3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세계적인 수준의 결과물을 개발하게 되며 이를 대중에 공개해 사용, 복제, 수정을 허용하는 공개SW 방식을 채택해 결과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이동만 교수 연구실에서는 스마트 공간에서 존재하는 IoT 기기들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상황을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협업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 요소 기술들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는 연구를 진행하게된다. 나아가 개발한 원천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오픈 소스화하여 학계와 산업계에 공개할 예정이며 최성희 교수 연구실에서는 3차원 기하모델 프로세싱 알고리즘과 프레임워크를 연구 개발하게 된다.
...Read moreKAIST 전산학부, 우수 외국인 대학생 대상 KAIST SoC Camp 진행
KAIST 전산학부가 지난 1월 8일에 우수 외국인 대학생들 대상으로 3박 4일 동안 KAIST SoC Camp를 본원에서 진행했다. 이기혁 (총괄), 현순주, 오혜연, 황성주, 배두환, 최호진 교수가 함께 캠프를 기획하고 진행했다. 캠프 참가자는 세계 곳곳에서 지원한 4000명이 넘는 지원자 중 아시아권 10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캄보디아, 미얀마, 카자흐스탄)에서 학부생(3, 4학년) 30명을 선발했다. 인도의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IITB)와 같이 QS Asia University Rankings에서 높이 평가되는 대학 소속 지원자들 위주로 뽑았고, 전공, 학점, 자기소개서 등을 추가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캠프 프로그램은 크게 5가지(팀 프로젝트, 초청 강연, 연구실 포스터 세션, ETRI, Golfzon 방문, 서울 투어)로 구성되었고, 참가자들이 카이스트와 한국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참가자들은 팀 프로젝트 시간에 배정된 팀원들과 함께 주도적으로 스타트업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발표했다. 초청 강연 때는 초청받은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 5명(김민혁, 권영진, 황성주, 김주호, 차미영 교수)의 특별 강연을 들을 수 있었다. 연구실 포스터 세션은 카이스트 전산학부에서 진행되는 연구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각 연구실의 대표 대학원생이 포스터와 함께 연구실과 진행되고 있는 연구를 소개했다. ETRI에서는 정보통신체험관 견학을 했고, Golfzon에서는 조이마루 견학 및 시뮬레이션 골프 체험을 했다. 마지막 날 진행된 서울 투어에서는 경복궁, 인사동, N서울타워를 방문했다. 2019 KAIST SoC Camp는 크게 두 가지를 목적 삼아 진행됐다. 첫째는 상대적으로 교육/연구 인프라가 낙후됐으나 우수한 인력을 보유하고 잠재력이 큰 외국 대학들과의 협력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대학 연구실 간 공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미래 연구를 선도하는 국제적 리더십 구실을 하는 것이다. 둘째는 국내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같은 수준의 우수 대학원생들을 모두 국내에서 선발하기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는 상황을 고려하여, 우수 외국인 학생을 영입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캠프를 통해 카이스트의 생활, 교육, 연구 시설을 체험한 참가자가 본교로 돌아가 카이스트 대학원을 직간접적으로 홍보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올해 처음 진행된 캠프가 카이스트 전산학부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자리잡혀 외국인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프로그램으로 성장하길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대학원 입시 정보를 공유받은 캠프 참가자 중 카이스트 대학원 진학을 새롭게 계획하게 된 학생들이 여러 명 확인됐다. 그림 1. 개회식 (김명호 학부장) 그림 2. 팀 프로젝트 시상식 그림 3. 초청 강연 (차미영 교수) 그림 4. 연구실 포스터 세션 그림 5. ETRI, Golfzon 방문 그림 6. 서울 투어 캠프 홈페이지: http://soccamp.kaist.ac.kr/ 캠프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KAIST.SoC.Camp/
...Read moreAI로 감정까지 읽는다...KAIST, 행동과 생체신호로 감정 인과관계 읽는 알고리즘 개발
<조성호 KAIST 전산학부 교수(사진 왼쪽), 김병형 연구교수> 우리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와 김병형 연구교수 팀의 "생체 신호를 딥러닝 기술로 분석하는 감정 파악 시스템, 감정과 행동을 연계해서 사람 감정과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수식화 알고리즘을 개발"과 관련한 전자신문 3월 27일자 기사입니다. 기사 원문보기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