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 알림 조절해주는 앱 나온다…KAIST, 인공지능 활용 SCAN 기술 ..

    SCAN 기술 개발에 참여한 KAIST 인력. 왼쪽부터 이성주·이동만·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박천종 박사과정, 임준성 현 삼성전자 SW센터 연구원 우리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팀과 김주호·이동만 교수팀이 함께 스마트폰 사용자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서 알림 내용 고지 시점을 조절해 주는 '알림해방(SCAN) 기술'을 개발과 관련된 8월 7일자 iPnomics 기사입니다. http://www.ipnomics.co.kr/?p=63868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부교수 박진아, 21st Medical Image Understandi..

    KAIST 전산학부 박진아교수는 지난 7월 11~13일 John McIntyre Centre, Pollock Halls, Edinburgh, UK 에서 개최된 제21회 Medial Image Understanding and Analysis (MIUA 2017) 학술대회에서 “Model-based approach to 3D shape recovery and analysis” 라는 주제로 기조강연 (Keynote Lecture)을 하였다. Medical Image Understanding and Analysis (MIUA) 2017은 올해 21번째로 개최된 학술대회 행사로 매년 영국(UK)에서 개최되는 의료영상분석 전문가들을 위한 포럼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뿐만 아니라 미국과 호주, 아시아에서도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 참여한 150여 기관 중 46개는 영국 외의 기관이었고, 접수된 105편의 학술논문과 22편의 임상초록 중 82편이 영국 외 논문이었다고 한다. Honorary Guest Speaker로 Oxford 대학의 Sir Michael Brady 교수, 그리고 기조연설자로 Uppsala 대학의 Ingela Nyström 교수, KAIST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 Imperial College London의 Daniel Rueckert 교수가 초청되었다. 박진아 교수는 20여년 동안 연구해 온 의료영상데이터로부터 임상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3차원 모델링 기법에 대해 강연을 하였다.

    ...Read more
  • 국제고등로봇학회(ICAR) 2017, Robotic planning 분야 Best pape..

    KAIST 전산학부 박사 졸업생 이정환, 석사과정 신희찬(지도교수 윤성의) 학생이 지난 7/10~12일 홍콩에서 열린 ‘국제 고등로봇 학회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Robotics 2017’ 에서 ‘데이터 기반 Kinodynamic RRT(Data-driven Kinodynamic RRT)’에 관한 논문으로 ‘로봇 경로 계획(Robotic planning)’ 분야 Best paper를 수상하였다. 이번 연구는 Kinodynamic 성질을 가지는 로봇의 움직임을 계획할 때, 로봇이 가질 수 있는 상태와 입력값들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둔 후, 필요 시에 검색하여 사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산해야 하는 계산량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움직임 계획의 연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이정환 박사는 박사 기간 동안 IEEE Transaction on Robotics(TR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IC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ics and Systems(IROS) 등 우수 국제 저널 및 학회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지도 교수 : 윤성의 교수, 제 1저자 : 이정환), 제 2저자 : 신희찬] ICAR 2017 홈페이지 : http://www.ee.cuhk.edu.hk/~qhmeng/icar2017/index.htm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 IEEE/ACM ASONAM 학술대회 기조연설 초청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는 이번달(8월1-3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Social Networks Analysis and Mining (ASONAM, 국제 소셜네트워크 분석과 마이닝 첨단기술 학술대회)에서 ‘루머와 가짜 뉴스의 전파‘에 대한 기조연설을 하고 학회에서 감사패를 수상했다. 기조연설에서는 사회학 이론 검증과 전산학 기반 인공지능에 기반한 온라인 가짜 뉴스 검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휴대폰과 소셜미디어로 손안에서 이뤄지는 간편한 정보 소비가 일상이 된 배경에서, 소셜미디어의 정보 전파는 검증 단계가 없이 가짜 정보가 사실 정보처럼 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목한다. 연구팀은 이런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다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해 인간 개입 없이 온라인 정보의 신용 등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는 ICDM, IJCAI, PLoS One을 비롯한 저명 학술대회와 학회지에 게재되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양홍석, 차미영, 손수엘 교수 부임 안내

    ※ 사진상 양홍석, 차미영, 손수엘 교수 우리 전산학부에 양홍석, 차미영, 손수엘 교수가 부임해 오셨습니다. □ 양홍석 교수는 7월 24일자 전산학부로 교수로 부임했으며 전공은 Programming Languages. Machine Learning.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52&kind=faculty&menu=160 □ 차미영 교수는 8월 1일자 전산학부 부교수로 부임했으며 전공은 Network Science,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Statistical Inference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418&kind=faculty&menu=160 □ 손수엘 교수는 8월 1일자 전산학부 조교수로 부임했으며 전공은 Web security/privacy, Web authentication 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53&kind=faculty&menu=16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스마트기기 앱기능 공유 모바일 플랫폼 개발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스마트기기 간 앱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또한 본 연구 논문은 ACM MobiSys 에 게재 되었습니다. 2017년 7일 28일자 세계일보 기사: http://www.segye.com/newsView/20170726003462 2017년 7월 26일자 서울경제 기사: http://www.sedaily.com/NewsView/1OIMI5D8UD 2017년 7월 26일자 헤럴드경제 기사: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0726000233

    ...Read more
  • ACM GECCO HUMIES 은메달 수상

    카이스트 전산학부 유신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ACM SIGEVO가 주최하는 Genetic and Evolutionary Computation Conference (GECCO) 학회에서 진화연산을 이용해 인간과 대등한 성취를 이룬 연구 결과에 수여하는 Human Competitiveness Award (HUMIES) 은메달을 수상했다. 유신 교수의 수상은 본인이 연구한 기계학습 기반의 결함 위치 식별 기술(소프트웨어 테스팅 중 발견된 결함의 코드 내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술)의 정확도가 기존에 인간이 연구한 기법과 동일할 뿐 아니라, 현재까지 기계학습을 통해 밝혀진 것보다 더 정확한 기술은 존재할 수 없음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유 교수는 이번 수상의 핵심 요소인 이론적 증명의 뼈대를 제공함은 물론, 이론과 실험 양면에 걸친 결과가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에 게재되기까지 중국의 우한 대학(Wuhan University), 호주의 스윈번 대학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그리고 영국의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 (University College London) 소속 연구자들로 구성된 국제 연구팀을 이끈 뒤 해당 논문을 HUMIES 경쟁 트랙에 제출하여 금번 성과를 이루었다. 이번 HUMIES 경쟁 트랙에는 14팀이 참가했으며, 그 중 아홉 팀이 본선에서 발표를 통해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받았다. 금메달은 최근 양자 얽힘에 대한 실험 결과를 인과모델로 설명하는 데에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최적화를 사용한 시드니 대학 연구팀에게 돌아갔으며, 건축물의 트러스(truss) 구조 최적화 기술과 웹페이지 방문객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A/B 테스팅 최적화 기술이 동메달을 공동 수상하였다. ACM GECCO는 2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전 및 진화 연산 연구 분야 최대 규모의 학회이다. 13개 트랙에 걸쳐 유전 및 진화 연산, 인공 생명, 인공 면역 시스템 등의 이론과 응용을 모두 다룬다. HUMIES Award는 올해로 14회째를 맞는 경쟁 트랙으로, 유전 프로그래밍 연구에 큰 공헌을 한 전 스탠포드대학 교수 존 코자(John Koza)에 의해 만들어졌다. 참가자는 어떤 분야에서건 진화 연산 기법이 인간과 동등한 성능을 보였다는 증거를 논문을 통해 제출해야 한다. 유 교수는 진화 연산 기법을 소프트웨어 공학 문제에 접목하는 이른바 검색 기반 소프트웨어 공학(Search Based Software Engineering) 분야에서 세계적인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Read more
  • 제7회 TOPCIT 정기평가 은상 수상

    우리 전산학부 백승근 학생(학사과정, 지도교수: 김문주) 이 미래부와 IITP가 주관하는 제7회 TOPCIT 정기평가에서 은상을 수상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http://www.newsta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908

    ...Read more
  • KAIST 컴퓨터그래픽스 전세계 TOP 20위권 진입

    KAIST 컴퓨터그래픽스 전세계 TOP 20위권 진입 KAIST 컴퓨터그래픽스 분야가 국내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전세계 TOP 20위 대학에 선정(최근 2년간 그래픽스 3대 TOP학회 논문 실적 기준)되어, KAIST 전산학과 학부 그래픽스 교과목(CS380, 담당교수: 김민혁, 박진아, 윤성의 교수님)에 대한 설문조사에 참여했습니다. 본 내용은 그래픽스 분야 3대 TOP 학회(ACM SIGGRAPH, SIGGRAPH Asia, Eurographics) 중 하나인 Eurographics 2017에 소개되었습니다. 설문조사에 포함된 김민혁 교수님 학부강의 내용: http://vclab.kaist.ac.kr/cs380/ . 축하드립니다. [Reference]​ “What we are teaching in Introduction to Computer Graphics”, Balreira, Dennis G.; Walter, Marcelo; Fellner, Dieter W., Proc. Eurographics 2017, The Eurographics Association, http://diglib.eg.org/handle/10.2312/eged20171019 [Eurographics 발표자료]​ http://wiki.inf.ufrgs.br/What_we_are_Teaching_in_Introduction_to_Computer_Graphics

    ...Read more
  •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KCC) 2017 SW구현 경진대회 Microsoft Research..

    우리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권용선, 김태영(지도교수 윤성의) 학생이 지난 6월 20일 제주도에서 열린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2017’ SW 구현/데모 경진대회에서 ‘실시간 점유맵 업데이트 기술(Real-time updates for occupancy maps)’과 ‘주성분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한 조명 불변의 색 공간 계산’에 관한 발표로 각각 ‘Microsoft Research Award’와 우수상을 수상했다. MS Research Award를 수상한 권용선 씨는 Robotics-SGLab 팀으로 참가해 부상으로 200만원 및 MS Research 인턴 채용 기회를 제공 받았으며 우수상을 수상한 김태영 씨는 SGLAB 이미지/비전팀 으로 참가해 부상으로 100만원을 받게 되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황규영 특훈교수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우리 전산학부 특훈교수인 황규영 교수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기사 입니다. http://www.yonhapnews.co.kr/it/2017/07/03/2408000000AKR20170703049900017.HTML 이 상은 한국을 대표할 만한 세계적인 연구개발(R&D) 업적이나 기술혁신을 성취한 과학기술인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황규영 교수는 적합한 데이터를 빠르게 얻는 방법인 '확률적 집계'와 정보검색과 공간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엔진 깊이 내장해 높은 성능을 얻는 '밀결합' 등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분야에서 획기적인 이론을 제시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해 우리나라 컴퓨터공학·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정보문화 확산에 공헌 한 점 등이 인정 되었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HCI@KAIST 연구회 리셉션 (CHI 2017)

    HCI@KAIST 연구회는 지난 5월 10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린 HCI 분야 대표 학회인 ACM CHI 2017 학술대회에서 HCI 연구자 교류를 위한 리셉션 이벤트를 열었다. 이번 이벤트는 전산학부의 지원을 받아 국제 HCI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HCI 분야 우수 교원 유치, 학생 인턴십 기회 확대 등을 목적으로 HCI@KAIST 연구회가 준비했다. MIT, CMU, Stanford University를 비롯한 13개 이상의 해외 대학 HCI 연구자들과 Microsoft Research, Apple, Google 등 기업 HCI 연구자들을 포함하여 약 180명이 참석하여 늦은 시간까지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한편 HCI@KAIST 연구회는 이번 CHI 2017 학회에서 구두 발표 7건, 포스터 발표 8건, 전시 6건의 훌륭한 실적을 거두었다.

    ...Read more
  • 전산학부 배두환 교수 ICSE 2020 유치 확정

    전산학부의 배두환 교수는 지난 5월 20일부터 28일까지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개최된 제 39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ICSE) 국제 학술대회의 Steering Committee 에 참여하여 2020년 서울에서 제 42회 ICSE 개최를 확정지었다. 42회 ICSE는 2020년 5월 하순에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과거의 ICSE와는 다르게, ACM/IEEE 외에 한국 정보과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로 개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의 소프트웨어공학 연구 및 실무자들의 연구 및 개발 역량을 국제화하는데 일조 할 것으로 예상된다. ICSE는 보통 약 1400 - 1500명의 연구자, 실무자들이 참석하는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최대 최고의 학회로 인정 받고 있으며, main conference 외에 7개의 co-located 학술 행사와 20여개의 워크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 1000편 이상의 논문이 제출 된다. Main Conference의 research track 의 경우, 약 500-600편이 제출되어 이 들 중 약70편 정도가 발표된다. *SE분야의 최대학회인 ICSE 2020 학회 유치를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카이스트 전산학부 출신의 교육 플랫폼 스타트업 엘리스가 매일경제 등 언론에 소개

    전산학부 김재원(지도교수: 오혜연) 박사과정생이 스타트업 회사인 엘리스 사에 대한 언론 보도자료 입니다. 매일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9&aid=0003940349&sid1=001& TJB: https://youtu.be/zVr_TjTnLKg

    ...Read more
  • 제41회 ACM ICPC World Final 대회 동메달 수상

    지난 5월 25일 현지시간 기준 오전 9시 부터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래피드 시티에서 치뤄진 제41회 ACM ICPC World Final 대회에서 KAIST 대표팀이 9위를 차지하여 동메달과 전 참가팀중에서 처음으로 문제를 풀어 수상하는 First Problem Solver상을 수상했다. ACM-ICPC 대회는 IBM이 주 스폰서로 개최하는 세계 단위의 대학생 코딩 경진대회로 대전 지역 예선, 한국 대표 선발전을 거쳐 국제대회 본선에 나가게 될 사람을 선정해 진행된다. 대회 방식은 3명이 한팀이 되어 12문제를 푸는 형태로 진행되며 우리 KAIST 에서는 신성용 교수(전산학부 명예교수)가 코치를 한태숙 교수(전산학부)가 On-site 코치를 맡았으며 전산학부 학부생 고지훈, 강한필 학생과 수리과학과 이종원 학생이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차지하였다. 자세한 스코어 정보는 https://icpc.baylor.edu/worldfinals/results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ad more
  • 김민혁 교수 KAIST 대표 R&D 연구 10선 선정

    오늘 오전 KI빌딩 퓨전홀에서 있었던 KAIST RESEARCH DAY 에서 우리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가 "복굴절을 이용한 3차원 깊이 측정 기술 개발" 이란 연구로 2016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되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KAIST, 양자컴퓨터도 뚫지 못하는 '완전 준동형 암호화 서명' 기술 개발한다.

    양자컴퓨터 시대에도 활용할 수 있는 '완전 준동형 암호화 서명' 개발과 관련하여 우리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의 기사문 내용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509000056

    ...Read more
  • 국내 첫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 된 김광조 KAIST 교수

    국내 첫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이 된 김광조 교수의 전자신문 기사 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501000100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 ‘제50회 과학의날’ 기념 정부포상자로 선정, 국무총리..

    2017년 4월 2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된 2017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가 표창장과 국무총리표창수장(Prime Minister’s Citation Ribbon)을 받았다. '2017 과학·정보통신의 날'은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한 기념식으로, 본 행사에서는 산학연을 비롯해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국가정보화, ICT융합 분야 발전에 공헌한 자를 대상으로 상이 수여되었다. 각 부문의 포상자 선정은 관련 기관·단체 및 추천위원회로부터 추천을 받아 공적 사항에 대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진행되었다. 박진아 교수는 전산학을 의료분야에 접목하여 임상에 유용한 3차원 모델링기법을 제안하고 가상현실 기반 의료시뮬레이션을 연구하여 융합학문 발전에 기여함을 주요 공적으로 인정받았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신인식 교수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ICT 창의과제 부분 선정˝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ICT 창의과제 부분에 선정되었습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에 시작해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의 3개 연구분야에 10년 간 총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국가 미래기술 육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신인식 교수는 ICT창의과제 부분에 "SecureBox: 클라우드 및 머신러닝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 정보 보호를 위한 TEE 기반 보안시스템 개발" 로 선정 되었습니다. 과제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관련기사: http://www.ebn.co.kr/news/view/885637

    ...Read more
  • Otfried Cheong was elected an ACM Distinguished Sc..

    전산학부 정지원 교수가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의 Distinguished Scientist로 선정되었다. ACM의 Distinguished Member는 Distinguished Engineer, Distinguished Educator, Distinguished Scientist 로 구분되며 Distinguished Scientist는 15년 이상의 전문 경력과 5년 이상의 꾸준한 ACM 활동 경력을 가진 전문가 가운데 의미있는 공적을 쌓거나 컴퓨팅 분야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 회원에게 주어지는 자격으로 최상의 10% 미만 회원들에게 주어지는 자격이다. ACM은 올해 45명의 우수 회원들을 선정하였으며 정지원 교수는 이번에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Distinguished Scientist로 선정되었다. 참조: http://awards.acm.org/distinguished_member/year.cfm 정지원 교수는 1992년 Freie Universitaet Berlin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Utrecht, 포스텍, HKUST, TU Eindhoven을 차례로 거친 후 2005년부터 KAIST에서 교수로 임용되어 이산 기하 및 계산 기하를 연구하는 그룹을 이끌고 있다.

    ...Read more
  • 허재혁 교수 연구실 스타랩 선정

    우리 학부 허재혁 교수 연구실 SW스타랩 지원 대상 연구실 선정과 관련된 기사 입니다.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2396402

    ...Read more
  • 김광조 교수,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 선정

    우리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암호학회(IACR) 석학회원에 선정된 기사문 입니다. 세계암호학회는 2004년부터 매년 암호 연구에 지대한 공헌과 학술 활동 진흥에 기여한 회원 중 2~6명을 석학회원으로 선정하며 한국에서는 김광조 교수가 최초로 선정되었습니다.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원문보기: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313102345&type=det&re=#csidx2f36e03266f76a9bcd32fe513302471

    ...Read more
  • 전산학부 허재필 박사 성균관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박사 졸업생 (2015) 허재필 박사(지도교수: 윤성의)가 성균관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허재필 박사는 대용량 이미지 검색을 위한 이미지 표현자 압축 및 검색 기술을 연구하였고, Adobe 인턴 및 ETRI 연구원 역임했다. 허박사의 주용 관심 연구분야는 Large-scale image search, Scalable nearest neighbor search, Compact data representation for high dimensional data Collision detection, Geometric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이며 대표 연구실적은 아래와 같다. Shortlist Selection with Residual-Aware Distance Estimator for K-Nearest Neighbor Search Jae-Pil Heo, Zhe Lin, Xiaohui Shen, Jonathan Brandt, and Sung-eui Yoon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6 Distance Encoded Product Quantization Jae-Pil Heo, Zhe Lin, and Sung-Eui Yoon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4 VLSH: Voronoi-based Locality Sensitive Hashing Tieu Lin Loi, Jae-Pil Heo, Junghwan Lee, and Sung-Eui Yoon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IROS), 2013 성균관대 조교수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이일구 박사 성신여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1호 박사인 이일구 박사 (지도교수: 김명철) 가 2017년 3월부로 성신여자대학교 지식서비스공과대학 융합보안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박사는 2016년 2월 "무선랜을 위한 간섭 인지 보안 통신"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9년 동안 5G 기가 통신 시스템과 무선랜 기술을 연구했으며, 최근 3년 동안은 연구소 창업 벤처 뉴라텍에서 무선랜 기반 저전력 장거리 IoT 칩셋을 연구 개발해왔다. 이일구 박사는 KAIST 석박사 과정 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 성능, 전력 소비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국제저명학술지와 국제저명학술대회에서 발표한바 있고, 향후에도 IoT 통신/센서의 융합 보안 분야의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Read more
  • 2017년 개교 4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오늘 오전 KAIST 대강강당에서 진행된 2017년 개교 46주년 기념식에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가 우수강의상을 학사과정 박소연(지도교수: 배두환) 학생이 창의활동상을 전산학부행정팀 김미경 선생이 기여상을 수상했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김대영 교수, EU와 글로벌 IoT 농식품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

    우리 전산학부 김대영 교수 연구팀과 유럽연합(EU)이 사물인터넷(IoT) 개방형 표준 및 아키텍쳐를 통한 글로벌 농식품 비즈니스 통합 에코시스템 개발 공동연구(The Internet of Food & Farm 2020, IoF2020)과 관련한 언론사 기사문 입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OAURXDKKL

    ...Read more
  • 전산학부 정영섭 박사 순천향대학교 조교수 임용

    전산학부 졸업생 정영섭 박사(지도교수: 최호진)가 2017년 1월 2일부로 순천향대학교 빅데이터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정박사는 2016년 2월 “한국어 문서로부터의 시간 정보 추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은 후, ㈜ Naver Labs에서 인공지능형 대화시스템 관련 연구를 수행하여 왔고, 올해부터는 순천향대학교 빅데이터공학과에서 인공지능 및 데이터마이닝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하게 되었다. 카이스트 전산학부 석/박사 시절부터 현재까지 토픽모델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 요약, 시간에 따른 연구 트렌드 분석, 스마트폰 사용자 행동 분석,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시간 정보 추출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Soft Computing, Sensors, IET Compuer Vision 등의 국제저명학술지와 AAAI, CoNLL, COLING, PAKDD 등의 국제저명학술대회에 다수의 연구논문을 발표한 바 있고, 향후에도 토픽모델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행동 분석, 텍스트로부터의 정보 추출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