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황규영 특훈교수, PAKDD 국제학술대회 최고 공로상 수상

    우리 전산학과 황규영 특훈교수가 지난 13일∼16일 대만 Tainan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권위 데이터마이닝 학술대회인 PAKDD(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에서 2014년도 최고 공로상(Distinguished Contributions Award)을 수상했다. 황교수는 PAKDD Steering Committee 의 종신(life) member로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데이터마이닝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세계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마이닝 분야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PAKDD 최고공로상은 현재까지 황 교수를 포함해 6명이 수상했으며 한국인중에서는 최초다. 황교수는 2011년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권위 데이터베이스 학술대회인 DASFAA에서도 최고 공로상(Outstanding Contributions Award)을 수상한 바 있다. 20여년 전 황무지였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마이닝 분야는 황교수를 포함한 여러 연구자들의 노력과 공헌에 힘입어 최근에는 북미/유럽 지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실제로 현재 세계 데이터베이스 학계의 3대 학술조직중 IEEE TCDE는 황교수가, VLDB Endowment는 국립싱가폴대학(NUS)의 Beng Chin Ooi 교수가, ACM SIGMOD는 ETH의 Don Kossmann교수가 이끌고 있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데이터베이스 연구의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Read more
  • 김광조 교수 국제정보처리연합에 한국대표로 임명

    우리 전산학과 김광조 교수가 과거 30년간 국제적인 정보보호와 암호에 관한 연구 및 학문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제정보처리연합(IFIP,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TC-11의 한국대표로 임명됐다. 국제정보처리연합은 1960년 UN 등의 후원으로 설립되었으며 정보처리에 관한 비영리 단체로 전 세계 56개국에서 약 50여만명이 참가하고 있다. 김 교수가 한국대표를 맡게 된 국제정보처리연합 산하 정보보호 위원회(TC-11, Technical committee 11)는 정보처리시스템의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연구 및 표준 개발을 담당한다. 김 교수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우수한 정보통신 보안기술을 국제적으로 적극 홍보하여 우리나라가 정보보호 선진국임을 알리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김 교수는 세계암호학회 이사, 아시아크립트 조정위원장, 한국정보보호학회장, MIT 방문교수, UAE의 KUSTAR 방문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금년 9월에 부산에서 개최되는 암호 하드웨어와 임베디스 시스템에 관한 세계 최고의 국제 학술대회인 CHES2014의 운영위원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Read more
  • 대한민국 인터넷의 대부(代父)

    [전길남 교수] 美 이어 세계 2번째로 인터넷 기술 개발한 전길남 박사 'IT 코리아' 초석을 놓다...해외 과학자 유치에 부응해 NASA에서 가난한 조국으로 먼저 성공한 건 인터넷 연결, 이어 컴퓨터 개발까지… '청출어람' 제자들 키우다...카이스트의 호랑이 선생님, 학문보다 벤처를 권했다 큰 스승 밑에서 자란 제자들이 넥슨 김정주·리니지 송재경… "제자들 공부만큼 山 타게 했지… 몸이 받쳐줘야 머리도 되니까" 美서 공부 재일교포의 한국行, NASA 동료들이 미쳤나며 모두 말렸지만… 제가 아는 걸 조국을 위해 쓸 때라고 생각했다 1982년, 인터넷 연결의 순간...전자기술硏∼서울大 통할때 환호성 지르고 난리였지 해외 논문 실시간 받으며 인터넷의 眞價 드러나더라 인터넷의 빛과 그림자 "악플 고통받던 최진실씨가 자살했을때 충격 받았죠" 인터넷 도입 너무 빨랐나… 마음이 무거워질 때 많다 아내는 조한혜정 교수, 인터넷 개발 자랑했을 때 사회학자인 아내가 묻더라 "우리 사회에 좋은 거예요?" 평생 저의 든든한 조언자 1982년 5월 15일 경북 구미 한국전자기술연구소의 한 연구실. 재일교포 출신의 한 과학자가 침을 '꿀꺽' 삼키고 컴퓨터 앞에 섰다. 연구실은 팽팽한 긴장감으로 가득 찼다. 서울에 있는 컴퓨터에 원격 로그인을 시도하려던 참이었다. 간헐적으로 컴퓨터에서 "삐익 삐이익" 날카로운 기계음이 흘러나오길 여러 번. '$ rlogin snucom' 구미 연구소 컴퓨터 모니터에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컴퓨터로 원격 접속됐음을 알리는 문구가 떴다. 독자 기술로 '정보통신 강국' 한국의 초석을 놓는 순간이었다. 지켜보던 연구원들은 서로 얼싸안고 환호성을 질렀다. 컴퓨터 앞에 서 있던 과학자는 감격에 겨워 주먹을 불끈 쥐었다. 한국 인터넷 역사의 첫 페이지는 이렇게 시작됐다. 세계에서 인터넷을 가장 먼저 개발한 나라는 미국이다. 1969년 미국은 UCLA와 스탠퍼드대학 등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두 번째는 어느 나라일까. 놀랍게도 한국이다. 전길남(71)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그 주인공이었다. 한국 인터넷의 역사가 시작된 그날 이후 전길남은 '대한민국 인터넷의 대부(代父)'라 불린다.

    ...Read more
  • 2014년 제43주년 개교기념일 학과 수상자

    2014년 개교 43주년을 맞이하여 학교의 기념 포상에 우리학과 수상자 입니다∼ - 학술상: 문수복 교수 - 우수 강의상: 박진아 교수 - 장기근속표창: 20년근속: 정진완 교수, 행정팀 박은영 - 10년근속: 고인영, 문수복, 맹성현, 최성희 교수 - 공로부분 직원 표창(공적상) : 행정팀 손승목 팀장

    ...Read more
  •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학술상)

    우리 전산학과 허재혁 교수가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학술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2-15 • 수상명: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학술상) • 주관기관: KAIST

    ...Read more
  • 2013년 대한민국 창조경제 대상 (국무총리상)

    우리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가 2013년 대한민국 창조경제 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11-21 • 수상명: 2013년 대한민국 창조경제 대상 (국무총리상) • 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Read more
  • KAIST 우수 강의상

    우리 전산학과 한태숙 교수가 우수강의상을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2-15 • 주관기관: KAIST • 수상명: 우수 강의상

    ...Read more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

    우리 전산학과 이윤준 교수가 클라우드산업 발전을 통한 국가사회발전에 기여한 공으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상에 선정 되었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6-27 • 주관기관: 미래창조과학부

    ...Read more
  • 제 40회 한국정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우리 전산학과 김문주 교수와 연구교수 문영주 박사의 연구논문이 제 40회 한국정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11-15 • 수상명: 제 40회 한국정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 주관기관: 한국정보과학회 • 논문명: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 모델링 언어 개발

    ...Read more
  •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공로상

    우리 전산학과 김문주 교수가 2013년 1월 31일, 한국정보과학회가 주관하는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공로상을 수상 했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Microsoft New Faculty Award in Korea

    우리 학과 김민혁 교수가 Microsoft New Faculty Award 를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4-10 • 수상명: Microsoft New Faculty Award in Korea • 주관기관: Microsoft Research Asia • 수상내역: Microsoft New Faculty Award Winner (마이크로소프트 신임 교원상 수상)

    ...Read more
  • Recognition of Service Awards

    우리 학과 윤성의 교수가 Recognition of Service Awards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6-01 • 수상명: Recognition of Service Awards • 주관기관: ACM • 수상내역: In Appreciation for Contributions to ACM, Paper Co-Chair, I3D '13

    ...Read more
  • 국제저작권기술어워드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

    우리 학과 이흥규 교수가 2013 국제저작권기술어워드 대상을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수상일: 2013-11-05 • 수상명: 국제저작권기술어워드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 • 주관기관: 한국저작권위원회

    ...Read more
  • ACM SIGMOD Best Paper Award

    우리 학과 정진완 교수가 ACM SIGMOD Best Paper Award 를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7-08 • 수상명: ACM SIGMOD Best Paper Award • 논문명: Massive Graph Triangulation

    ...Read more
  • Google Faculty Research Awards

    우리 학과 류석영 교수가 Google Faculty Research Awards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제 목: "SAFE WApp: Scalable Analysis Framework for ECMAScript in Web Applications" •수상일: 2013. 8. 13. • 공 지: http://googleresearch.blogspot.kr

    ...Read more
  •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 (국제협력상)

    우리 학과 문수복 교수가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 (국제협력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구분: 국내 • 수상일: 2013년 2월 15일 • 수상명: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국제협력상) • 주관기관: KAIST

    ...Read more
  • 김순태 교수 IEEE TCAD associate editor 선임

    우리 학과 김순태 교수가 IEEE Transactions on Computer-Aided Design of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TCAD)의 associate editor로 선임되었다. TCAD는 IEEE에서 발행하는 저명한 저널로 집적회로와 컴퓨터 시스템 설계를 자동화하기 위한 방법론, 알고리즘, 도구 등과 관련된 논문들을 출판하고 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 임기의 40명으로 구성된 편집진의 일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System-Level Design 분과에서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와 관련된 논문들의 심사를 책임지게 된다. IEEE TCAD associate editor 에 선임 되심을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정진완 교수 2013년 기술혁신 우수상 수상

    우리학과 정진완 교수가 2013년도 기술혁신 우수상에 선정 되었습니다. 기술혁신상은 창의적인 연구성과로 기술혁신에 기여하고 KAIST의 위상을 크게 높인 교원에 대해 포상하는 제도로 세계적인 신기술 개발, 기술혁신성과로 산학협동에 기여, 탁월한 연구성과로 대내외적으로 KAIST의 위상을 높인 교원으로 대상으로 선정됩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김진형 교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임명

    우리 전산학과 김진형 교수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임명 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소프트웨어·콘텐츠 산업 육성 전략, 범 국가적 데이타 활용 전략, 스마트 정부 관련 국가의 미래전략을 연구하는 주요 신설 기관으로 초대소장에 김진형 교수가 임명 되었으며 연구소장 임기는 3년이며 1년 단위로 연임이 가능합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소프트웨어 정책연구, 통계, 정보 분석·제공·공유, 신사업 발굴·기획 등을 추진하게 됩니다. 초대 소장으로 부임하심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한동수 교수, 2013 대한민국 창조경제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대한민국 창조경제대상’은 창의적인 신기술을 개발해 창조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기업이나 개인을 발굴해 포상하는 상으로, 우리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가 12일 오전 11시 20분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2013 대한민국 창조경제대상’에서 개인으로는 1위에 해당하는 국무총리상을 수상했습니다. 한동수 교수는 △실내 GPS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 △실내외 통합 내비게이션 시스템 △특허서적 발간 등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는 창조경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이와 함께 실내위치인식분야와 스마트폰 응용 서비스 분야에서 50여 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30여 건을 등록, 국내외 실내위치인식분야 기술 발전에 폭 넓게 기여한 점도 인정받았습니다. 한동수 교수가 개발한 실내 GPS 구축 지원 시스템과 실내외 통합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12일부터 4일 동안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창조경제 박람회에서 전시됩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CCI Professor Il-­Yeol Song Named 2013 ACM Disting..

    우리 학과 겸직 교수이시고 국내 학계에도 공헌이 많으신 송일열 교수님이 ACM Distinguished Scientist 에 선임되셨습니다.세계적인 저명 학술기관에 선임 되심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http://www.acm.org/press-room/news-releases/2013/distinguished-2013

    ...Read more
  • 국제저작권기술어워드 대상 수상

    우리학과 이흥규 교수는 11월 4일 개최된 문화체육관광부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주최하고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주관하는 국제저작권기술컨퍼런스(ICOTEC)에서 국제저작권기술어워드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 하였습니다. 이흥규 교수는 혁신적인 연구개발로 저작권 기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고 특히 연구실에서 개발한 워터마킹 엔진을 사용한 '실시간 HD 워터마킹 시스템 제조 기술'은 2007년 8월 국무총리가 주재한 산업기술보호위원회에서 국가핵심기술 40개중 하나로 선정된 바가 있으며 해당 엔진은 국내에서 사용중인 대다수 동영상워터마킹 소프트웨어의 기술원형이다. 2012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기관 자격으로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개인으로는 처음으로 본 대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대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한동수 교수 ˝특허 무한도전˝ 출간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는 일반인에게 어렵게만 느껴지는 특허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한 특허 입문서 ‘특허 무한도전’을 출간했다. 그 동안 발명과 특허를 주제로 출판된 책은 많았지만 변리사 또는 특허 심판관 등에 의해서 특허법이나 특허제도를 소개하거나 타인의 성공적인 특허나 발명을 제3자가 저자가 돼 사례로 묶어 소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허 무한도전’은 한동수 교수가 발명이 이루어진 계기와 순간을 회상하며 쓴 책으로, 특허의 바다에서 발명자가 좌충우돌하며 경험한 실패와 성공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다. 따라서 발명자에게는 영감을 일반인에게는 특허에 입문할 수 있는 강한 동기를 제공한다. 새로운 지식과 서비스의 끊임없는 창출이 요구되는 창조경제 시대에 누구나 발명과 특허의 주역이 돼 창조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시대적 흐름에 잘 어울리는 책이기도 하다. 매년 수조원의 기술 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이 특허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근원적인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도 커다란 의미가 있다. 이 책에는 △저자가 특허에 입문해 전문가가 되기까지의 과정과 다양한 비유를 통한 특허에 대한 소개 △향후 기대되는 특허 분야 △발명의 원리에 대한 소개 △특허 기술을 고안하고 출원·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소개 등 포괄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그러면서도 독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한 숨에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쉬운 이야기 형식으로 기술돼 있다. ‘특허 무한도전’의 저자 카이스트 한동수 교수는 최근 5년 동안 스마트폰 응용과 실내위치인식 분야에서 50여 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20여 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2013년 1월 4일 발명과학 웹 사이트 Gizmag(http://www.gizwig.com)에 그가 고안한 실내 스마트폰 위치인식 특허 기술이 소개돼 세계적인 발명가로 인정받고 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과 류석영 교수 Google Faculty Research Awards 수..

    KAIST 전산학과 류석영 교수 Google Faculty Research Awards 수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 제목: "SAFE WApp: Scalable Analysis Framework for ECMAScript in Web Applications" • 수상일: 2013. 8. 13. • 공지: http://googleresearch.blogspot.kr

    ...Read more
  • 황규영 특훈교수­ 서울대 차상균 교수팀, IEEE ICDE 2015 서울 유치

    우리학교 황규영 특훈교수와 서울대학교 차상균 교수팀이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Engineering (IEEE ICDE)을 2015년에 유치했다. IEEE ICDE는 VLDB, ACM SIGMOD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분야 3대 국제학술대회로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전 세계 최고의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해 이 분야를 선도해 나가는 학술대회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황 교수가 General Chair로 유치해 개최한 VLDB 2006 학술대회에 이어 9년 만에 이 분야 최고의 학술대회를 또 다시 개최, 그 동안 VLDB 개최로 한 단계 격상되었던 우리나라 데이터베이스 분야를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대회에서 황규영 교수는 Honorary General Chair를, 차상균 교수는 IBM Almaden 연구소의 저명 연구자 Guy Lohman 박사와 함께 General Co-Chair를 맡는다. 대회 조직에는 KAIST, 서울대, 포항공대, 경북대 등 국내 주요 대학 연구자들이 다수 참여하며 세계 굴지의 소프트웨어 기업인 SAP 등이 후원한다. IEEE ICDE 2015는 G-20 정상회담이 열린 서울 COEX에서 개최된다. 황규영 특훈교수는 현재 IEEE ICDE 학술대회를 관장하는 IEEE Technical Committee on Data Engineering의 회장직을 맡고 있다.

    ...Read more
  •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문수복, 한태숙, 허재혁 교수님)

    2013년 개교 제 42주년을 기념하여 우리학과 한태숙, 문수복, 허재혁 교수님이 아래와 같이 상을 받으실 예정입니다. - 학술상: 허재혁 교수 - 우수강의상: 한태숙 교수 - 국제협력상: 문수복 교수 *시상식: 2월 15일(금) 11:00 / 대강당 수상하시는 교수님 다시한번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2012년 기술혁신우수상 수상(이기혁 교수님)

    2012년 기술혁신우수상에 우리학과 이기혁 교수님께서 선정 되셨습니다 선정을 축하합니다.

    ...Read more
  • 신인식 교수님 아시아 첫 IEEE RTSS 최우수 논문상 수상

    신인식 교수 연구팀이 지난 6일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실시간 컴퓨터 시스템 분야(RTSS)에서 발표한 논문이 전체 157개 논문 가운데 1위를 차지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 학회 33년 역사상 실시간 컴퓨터시스템 분야(RTSS)에서 아시아지역 연구기관 소속 교수나 연구원 자격으로 최우수 논문상을 차지한 것은 신인식 교수가 처음이다. 신 교수는 이에 앞서 미국 펜실베니아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2003년 이 학회에서 펜실베니아대 소속 연구원 자격으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따라서 신 교수는 전 세계에서 국제전기전자학회 실시간 컴퓨터 시스템분야의 최우수 논문상을 두 번씩이나 차지한 유일한 과학자라는 영예를 안았다. 신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자동차, 항공기와 같이 안정성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실시간 시스템 분야에서 십여 년이 넘게 난제로 여겨지던 멀티코어 프로세서에 대한 스케줄링 기법을 체계적으로 밝혀 낸 성과를 인정받았다. 실시간 시스템은 작업이 마감시한 내에 실행을 종료하는 실시간성 보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2개 이상의 코어를 탑재한 멀티코어 프로세서에서 다수 작업들의 병렬 수행은 성능 향상에는 유리하지만, 실시간성 보장을 매우 어렵게 한다. 신 교수는 멀티코어 환경에서 실시간 작업들의 병렬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 기존 스케줄링 기법들의 범주를 뛰어넘는 새로운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멀티코어 프로세서로 진화하는 실시간 시스템 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학계는 기대하고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