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조경현 뉴욕대 교수, 전산학부에 1억 원 기부​

    <KAIST 전산학부 동문 조경현 교수> 우리 전산학부 동문인 조경현 교수의 기부기사 전문입니다. :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14790 "과학계를 포함한 우리 사회의 각 분야에서 다양성과 대표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ˮ 지난 24일 조경현(36) 뉴욕대 교수의 발전기금 약정식이 개최됐다. 조 교수가 올해 삼성호암상의 공학상 수상자로 선정돼 받은 상금 중 1억 원을 모교 후배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쾌척한 것이다. 전산학부 학사과정 여학생 중 지원이 필요하거나 리더십을 발휘한 학생이 이 장학금의 수혜자가 되며, 매 학기당 5명을 선발해 1인당 1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눈에 띄는 점은 조경현 교수가 이 장학금의 이름을 ʻ전산학부 임미숙 장학금ʼ으로 지정했다는 점이다. 임미숙은 조 교수 어머니의 이름이다. AI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 어머니 이름을 딴 장학금을 신설한 데에는 컴퓨터 공학 분야의 여성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고민이 담겨있다. 조 교수는 "저의 어머니는 대학을 졸업해 고등학교 교사가 되었지만, 출산과 육아로 인해 자연스럽게 일을 그만두게 되었다ˮ라고 전했다.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남성과 여성이 만나 가정을 이룬 뒤 ʻ출산과 육아ʼ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면, 부부 중 여성이 직업을 포기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던 것이 1980년대의 사회적 인식이었다. 성별에 따른 고유의 역할을 기대하는 사회적인 분위기는 2000년대 초반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당시, 학부에서 전산학을 공부했던 조 교수는 "남학생은 전산학을 전공하고 여학생들은 생물학을 선택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했다ˮ라고 전했다. 이어, 조교수는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전산학 분야에는 이러한 성(性) 불균형 및 고정관념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ˮ라고 지적했다. "미처 깨닫지 못한 문제였는데 여러 사람과 교류하며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를 듣기 시작했을 때에야 비로소 다양한 계층이 각 분야나 조직에서 동등한 접근성·형평성 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ˮ라고 조 교수는 말했다. 이어, "최근 AI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는 다양성(diversity)과 대표성(representation)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되었다ˮ라고 이번 기부의 배경을 밝혔다. 조 교수는 "정말 작은 액수의 장학금이지만 이 장학금을 받는 여학생들이 추후 어머니와 비슷한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에는 우리 사회의 분위기가 전과는 달라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어머니의 성함을 딴 장학금을 만들게 되었다ˮ라고 설명했다. 장학금을 받은 여학생들이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학업을 계속 이어나가 좋은 본보기를 만들고 그 모습에서 동기부여를 받은 다른 여학생들이 모여들어 보다 더 다양한 컴퓨터 과학자들의 공동체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은 것이 조 교수의 바람이다. 조 교수는 "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이슈에 대해 누군가가 구체적으로 꼬집어내어 쉬지 않고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엇이 어떻게 문제가 되는지 절대 인식하지 못할 것 같다ˮ라며, 이어 "이번 기부를 통해 작게는 KAIST 크게는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성과 대표성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ˮ라고 전했다. 류석영 전산학부장은 "조 교수가 장학금을 기탁하며 매 학기 선정된 장학생들과 부모님의 식사 자리를 마련해달라고 부탁해왔다ˮ라고 전했다. 이어, 류 학부장은 "세대와 환경이 다른 기부자와 수혜자가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는 자리를 마련해 임미숙 장학금에 담긴 뜻이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도록 장학기금을 운영해 나갈 계획ˮ이라고 밝혔다. 24일 대전 본원에서 열린 기부 약정식에는 미국에 체류 중인 조경현 교수를 대신해 부친 조규익 씨(64)와 모친 임미숙 씨(65)가 참석했다. 임미숙 씨는 "아들은 삼성호암상이 개인이 아닌 자기 연구 분야 전체에게 주어진 상이기 때문에 상금을 사회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ˮ라고 전하며, "아들의 마음이 담긴 전산학부 장학금 기부에 동참할 수 있게 되어 큰 기쁨으로 생각한다ˮ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조경현 교수는 KAIST 전산학부를 2009년에 졸업한 뒤 핀란드 알토대에서 석사(2011)와 박사(2014) 학위를 취득하고 2015년부터 미국 뉴욕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계 학습과 AI 응용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문장의 전후 맥락까지 파악해 번역할 수 있는 ʻ신경망 기계 번역 알고리즘ʼ을 개발했다.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대다수 번역 엔진이 조 교수가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어 인공지능 번역 및 관련 산업계에 혁신을 가져온 공을 인정받아 지난 4월 ʻ2021 삼성호암상 공학상ʼ 수상자로 선정돼 6월 1일 시상식이 열렸다. 총 상금 3억 원 중 KAIST에 기부한 ʻ전산학부 임미숙 장학금ʼ 외에도 핀란드 알토 대학이 운영하는 마카다미아 프로그램 참가자 중 EU 이외의 국가에서 온 여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 장학금에 4천만 원을, 아버지의 전공 분야인 한국 고전문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지원하는 ʻ백규고전학술상ʼ 신설을 위해 1억 원을 기부했다. 조 교수는 지난해 처음 제정된 삼성 인공지능(AI) 연구자상의 첫 번째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당시 받은 상금은 캐나다의 인공지능 연구 기관인 밀라(Mila)에서 활동하는 라틴아메리카·아프리카·남아시아·동남아시아·한국 출신의 신임 연구원들을 위해 기부했다. 또한, 각종 강연을 통해 얻은 수익을 ʻKAIST AI 대학원 여학생 학회 참석 지원금ʼ, ʻ다문화 가정 엄마와 자녀의 교육을 돕는 한마음교육봉사단 지원금ʼ 등으로 기부한 바 있다. 조 교수는 "전산학 분야에서부터라도 시작하여 다양성과 대표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은 행동이라도 우선 실천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꾸준하고 적극적인 기부에 참여하고 있다ˮ라고 소신을 밝혔다

    ...Read more
  • 데브시스터즈의 전산학부 동문 11분 기부

    KAIST 데브시스터즈에 계신 KAIST 전산학부 동문 11분이 전산학부 건물 증축을 위한 기부에 동참해주셨습니다! 06학번부터 16학번까지, CTO부터 엔지니어까지, 너무나 따뜻하고 반가운 메세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61Bbhq3vLU 명노준 09학번 쿠키런 플러스 리드 홍성진 06학번 CTO 이창원 11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이준수 15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원대영 10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최낙현 11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황태현 14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마재의 12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황재영 16학번 게임서버엔지니어 정성윤 14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이준성 10학번 데브옵스엔지니어 "저는 ‘기부’하면 창업해서 성공하신 분들만 하는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듣고 생각해보니까 “오, 나도 못할 것 없겠다”싶어가지고 냉큼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최적 루트는 최고로 성공하는 루트가 아니고 적은 리스크에 대비해서 적당한 보상을 얻는 게 최적 루트예요. 최적 루트를 벗어난다고 해서 불안해할 필요없이 원하는 게 있으면, 리스크를 많이 걸고 그 쪽으로 가라고 하고싶어요." "본인이 하고 싶은 일들을 찾아서 아주 재밌고, 열정적으로 일을 하면 우리 사회를 바꿔나갈 수 있는 주역이 되실 수 있다고 생각해요."

    ...Read more
  • 전산학부 동문 서하연, 한동훈 부부 기부

    KAIST 전산학과 학부 95학번 (Techno-MBA 2010) 서하연, 96학번 한동훈 동문 부부가 KAIST 전산학부를 위해 귀한 기부를 해주셨습니다. 두 분의 기부는 지난 4월 김범준 동문의 기부에 영향을 받아 결정한 것이라서, 더욱 뜻깊은 기부라고 생각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Q1) 두 분에 대해서 간간하게 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서하연, 한동훈입니다. 저희는 KAIST 전산학과 졸업생 부부입니다. 둘 다 전공을 살려서 데이터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서하연: 카카오 데이터전략 담당 상무 https://www.facebook.com/alex01.suh 한동훈: 우아한 형제들 데이터서비스실 리더 https://www.facebook.com/Steven77Kr Q2) KAIST 전산학부를 위해 뜻깊은 기부를 하시게 된 계기가 무엇일까요? 올 해가 학부 졸업한 지 20년이 되는 해입니다. 20년 간 꾸준히 회사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했고, 이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자리 잡고 나름의 의미있는 역할을 해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성장하는데 학교에서 보낸 시간이 중요한 자양분이 되었고, 동문들의 도움도 컸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순환해서 되돌려드리고 학교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평소에 많이 합니다. 요즘은 재테크에 다들 열심이라 주식 투자도 하고 코인에도 투자 하는데요, 저희는 우리 후배들에게 투자 하는 것이 가장 미래 가치가 큰 일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Q3) KAIST 전산학부 후배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우리 후배님들, 학교 졸업하고 사회 진출 할 생각하면 불안하고 겁도 날 것 같아요.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어떤 회사를 선택할지 고민도 많이 되죠. 저희도 그랬었고요. 그런데 삶에 영향을 미치는 건 선택 그 자체가 아니라 선택 이후의 시간인 것 같아요.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여러분들이 잘 해나갈 거니까 스스로를 믿고 자신감을 가지라고,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괜찮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거라고, 곳곳에 포진해 있는 동문 선배들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드릴 거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Read more
  • 전산학부 동문 김범준 우아한 형제들 대표 1억 기부

    KAIST 전산학과 학부 93학번 석사 97학번, 배달의 민족을 서비스하는 우아한 형제들 대표 김범준 동문이 KAIST 전산학부를 위해 1억원의 뜻깊은 기부를 해주셨습니다. 김범준 동문은 한국에서 처음 참가한 제4회 국제정보올림피아드(IOI)에서 고등학교 2학년으로서 세계 1위 금메달을 수상하고 세계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까지 휩쓸던 분입니다. "Pay It Forward” 본인이 받은 것을 도움받았던 분들께 돌려드리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부해주신 김범준 대표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김범준 대표 인터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tYiOF9xOg0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이끄는 시대에 KAIST 전산학부가 새로운 도약을 위해 공간 확장 중입니다. 2016년에 450여명이었던 전산학부 학부생이 2021년 현재 900명을 넘었습니다. 인간 중심의 컴퓨팅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 개발하기 위해, 더 많은 학생을 교육하고 더 많은 교원을 초빙하고 더 많은 분야와 융합하고 산업계와 함께 할 공간이 절실합니다. 김범준 대표님의 뜻깊은 기부도 전산학부 공간 확장을 위해 소중하게 사용하겠습니다. 관심있는 동문 여러분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연락주시면 전산학부장이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박건우 박사 숭실대학교 AI융합학부 임용

    KAIST 전산학부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실 졸업생 박건우 박사(지도교수: 차미영)는 2021년 3월부로 숭실대학교 AI 융합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박건우 박사는 2012년 2월 카이스트 전산학부 웹사이언스대학원 석사과정을 입학 후 2018년 2월 박사학위 취득하고, 미국 UCLA 대학, 카타르 QCRI연구소, 및 카이스트 전산학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연구 분야는 딥러닝/자연어처리 기반 계산 사회 과학으로 WWW, AAAI, ICWSM, CSCW 등 해외 저명 학회와 우수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앞으로 오정보, 정보 편향 등 온라인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방법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졸업생 박건우 박사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park.kunw

    ...Read more
  • 박창현 박사 웁살라 대학 (Uppsala University) IT학과 임용

    KAIST 전산학부 컴퓨터구조 및 시스템 연구실 졸업생 박창현 박사 (지도교수: 허재혁)는 2021년 1월부로 스웨덴 웁살라 대학 (Uppsala University) IT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웁살라 대학은 1477년에 설립된 스웨덴의 가장 오래된 명문 학교이다. 박창현 박사의 주 연구 분야는 컴퓨터 구조와 시스템으로 해당 분야 최고 학회인 IEEE/ACM ISCA, MICRO 그리고 ACM EuroSys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의 박사 학위 기간 동안의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네이버 그리고 Miscrosoft Research Asia의 PhD Fellowship 상을 수상하였다. 박창현 박사는 2019년 8월에 KAIST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한 후 웁살라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이어서 조교수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Read more
  • 전산학부 오상은 박사 아주대학교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오상은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가 2020년 9월 1일부로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소프트웨어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오상은 박사는 2020년 KAIST 전산학부 박사학위 취득 이후, 6개월간 KAIST 전산학부에서 연구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모바일 IoT 시스템으로, 현재까지 모바일 컴퓨팅 및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인 ACM MobiCom, ACM MobiSys, IEEE RTSS 등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2017년 Google Ph.D. Fellowship에 선정되었으며, ACM MobiCom 2019 및 IEEE MDM 2017에서 각각 Best Paper Award와 Best Ph.D. Forum presenta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또한 2020년에는 전산학부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박진영 박사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신임교원 임용

    KAIST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 연구실에서 대화 모델링 연구로 2020년 박사학위를 받은 박진영 박사가, 2020년 9월부로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었다. 박진영 박사는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분야 top 국제학회인 ACL, EMNLP 등에 다수의 우수 연구 성과를 발표했으며, Microsoft Research Asia에서 research intern으로 United Nations Global Pulse Lab에서 junior data scientist로 활동하였다. 박진영 박사는 KAIST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동안 국내외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KAIST 전산학부의 탁월한 연구 수준을 나타내었다.

    ...Read more
  • 전산학부 홍성은 박사 인하대 정보통신공학과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홍성은 박사 (지도교수: 양현승)가 2020년 9월 1일부로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홍성은 박사는 2018년 KAIST 전산학부 박사학위 취득 이후, 2년간 SK텔레콤 AI센터 T-Brain에서 Research Scientist로 근무하였다. 홍성은 박사는 딥러닝 기반의 컴퓨터비전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ECCV, CVPR, ICCV, TIP 등 컴퓨터비전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 및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해왔다. 박사과정 동안의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2017년 네이버 Ph.D. 펠로우십을 수상하였고, SK텔레콤 최고기술전문가 그룹인 SKT TEB(Tech Expert Board)로 활동하여 대상을 수여받은 바 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김윤호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신임교원 임용

    KAIST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에서 SW 테스팅 자동화 연구로 2017년 박사학위를 받은 김윤호 연구 교수가, 2020년 9월 부로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신임교원으로 임용되었다. 김윤호 박사는 SW 공학분야 top 국제학회인 ICSE, FSE, ASE 및 top 저널인 IEEE TSE, ACM TOSEM 등에 다수의 우수 연구성과를 발표했고, ICST 2018 국제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김윤호 박사는, 해외 연구 경력 없이, KAIST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 및 KAIST 연구교수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인정받아, KAIST 전산학부의 높은 연구 수준을 다시 한번 입증받았다.

    ...Read more
  • 전산학부 이길호 박사 숭실대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 졸업생인 이길호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 가 2020년 3월 1일부로 숭실대학교 IT대학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길호 박사는 2019년 KAIST 전산학부 박사학위 취득 이후, 1년간 KAIST 전산학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현재까지 컴퓨터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IEEE RTSS, IEEE RTAS, ACM MobiCom, ACM EMSOFT, IEEE IoT-Journal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 및 게재하였다. 또한, ACM MobiCom 2019 및 IEEE CPSNA 2014 에서 각각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으며, 2019년 전산학부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https://sites.google.com/view/khlee

    ...Read more
  • 전산학부 김선준 박사,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조교수 임용

    KAIST 전산학부에서 2017년 박사학위를 받고 핀란드 알토 대학교 (Aalto University) 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김선준 박사(지도교수 이기혁)가 2020년 2월 24일부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선준박사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입출력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며, CHI, UIST 등 HCI 분야의 최고 학회에 연구 결과를 발표해 왔다. 박사과정 동안의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2016년 네이버 Ph. D. 펠로우십을 수상하였고, HCI 분야 우수 학술대회에서 논문상도 수회 (CHI-2013, CHI-2018, ISS-2018) 수상하였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석사 졸업생 고경민씨 Amazon 입사

    KAIST 전산학부 석사 졸업생 고경민(지도교수 : 강성원)씨가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인 Amazon에 입사하였다. 고경민씨는 강성원 교수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랩에서 소프트웨어 공학을 공부하며,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개발에서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자동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바인딩 적용 기법"을 주제로 학위연구를 하여 2015년 8월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졸업 후 고경민씨는 국내에서 쎄트렉아이와 카카오에서 근무하였고, 2019년 12월 15일부로 캐나다 밴쿠버 소재 Amazon의 Seller Listing Tools Technology 부서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를 시작하였다.

    ...Read more
  •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김성진 박사 제주한라대 조교수로 임용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김성진 박사 (지도교수: 강병훈)가 2019년 9월부로 제주한라대 시스템지능형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박사는 2019년 2월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에 관한 위험분석 모델”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으며, 웹 상에 숨어있는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를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통해 정상네트워크와 악성네트워크 사이의 차이점을 연구해왔다. 연구결과는 실제 구현되어 사용 중이며, computers & security, computer networks, ETRI journal 과 SecureComm에 발표되었다.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악성코드탐지시스템을 상용화하였고, IoT sensor 개발과 수집 로그에 대해 딥러닝을 이용한 anomaly 탐지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Read more
  • 백형부 박사 인천대학교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졸업생인 백형부 박사(지도교수: 윤현수)가 2019년 3월 1일부로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백형부 박사는 2012년, 2016년에 KAIST 전산학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성균관대학교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재직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실시간 시스템으로 실시간성 보장 및 효율적인 자원 관리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IEEE RTSS, IEEE RTAS, IEEE TPDS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2년 IEEE RTSS에서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을 수상하였다. https://sites.google.com/view/hyeongboobaek

    ...Read more
  • 김효수 박사 중앙대 조교수 임용

    카이스트 전산학부 졸업생인 김효수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가 2019년 3월 1일부로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효수 박사는 2012년, 2018년에 KAIST 전산학부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6개월간 KAIST 전산학부에서 연구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모바일,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지금까지 모바일,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 및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ACM SenSys, ACM UbiComp, IEEE RTSS, ACM EMSOFT, ACM MobiCom 등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8년 ACM SenSys에서 Best Paper Runner-up Award을 수상하였다.

    ...Read more
  • Amazon AWS AI Startup 챌린지 수상 및 데이터 사이언스 인재 배출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이 모여 창업한 프로그래밍 교육 스타트업 엘리스가 지난해 아마존에서 주관하는 AWS AI Startup Challenge에서 수상하고 데이터 사이언스 교육 운영을 통해 관련 분야 인재 80여 명을 배출하는 등 주요 성과를 내며 에듀테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엘리스는 기업이나 교육기관에서 대규모 전산교육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육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별도의 ide없이 온라인에서 바로 코딩 가능한 환경과 교수자가 의도한 채점 코드를 적용한 자유자재의 코드 평가 시스템, 부정행위(cheating) 방지 시스템, 페어 프로그래밍(pair-programming) 등을 도입한 온라인 코딩 플랫폼을 주요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인공지능 딥러닝 분야의 선도적인 기술 및 서비스를 운영하는 국내 스타트업을 겨루는 대회인 AWS AI Startup Challenge에 참가하여 수상하였다. 또한 2017년부터 운영해온 인공지능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인재 집중 양성 프로그램 통해 지난해 80여 명의 관련 분야 인재를 배출해냈다. 이 프로그램의 교수진은 KAIST 및 국내 인공지능 분야 최고의 석학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데모데이에는 카카오, 네이버,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주요 IT 기업과 배달의민족, 크몽, 레이니스트 등 유수의 스타트업을 초빙하여 네트워킹 장을 마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삼성전자 박진우 엔지니어는 “생각보다 학생들의 결과물이 뛰어났으며 채용으로 연결된다면 회사에도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으며 한 수료생은 “기업 실무자와 인터뷰를 통해 진로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 있어서 뜻깊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역대 수료생들이 네이버, 엔씨소프트, 카카오, PUBG 등의 주요 IT 기업에 취업한 사례를 만들어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증가한 빅데이터 분야 인재에 대한 니즈(Needs)를 채우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엘리스 관계자는 더욱 더 원활한 프로그래밍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기술 개발에 힘쓸 것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원하는 누구나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고 테크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에 힘쓸 것이라며 추후 계획을 밝혔다. 엘리스는 현재 KAIST, SK텔레콤, 삼성 등 국내 주요 대학 및 기업에서 활발히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알토스벤처스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참고] 데이터 사이언스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 프로젝트 내용 홍보 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Tok20p3EzAjTJWV8SJM9Gw/videos 엘리스 아카데미 웹사이트 - https://academy.elice.io/ 엘리스 소개 웹사이트 - https://elice.io/ [관련 기사] <데이터 사이언스 프로그램> 전자신문 - http://www.etnews.com/20180925000025 이뉴스투데이 -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3222 뉴스웍스 -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042 <투자 유치> 아시아 경제 -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81309264279730 한국 경제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35770j

    ...Read more
  • 좌훈승 박사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조교수로 임용

    우리 전산학부 출신의 좌훈승 박사 (지도교수: 신인식)가 2018년 8월6일부로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좌훈승 교수는 2009년, 2011년, 2016년에 KAIST 전산학부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2016년 10월부터 1년 10개월간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research fellow로 근무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및 실시간 시스템으로 실시간성 보장 및 효율적인 자원 관리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실시간 시스템 분야의 최우수 학술대회/학술지인 IEEE RTSS, IEEE RTAS, ACM EMSOFT, IEEE TPDS 등에 15여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2년 IEEE RTSS와 2014년 IEEE CPSNA에서 각각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을 수상하였다.

    ...Read more
  • 이영기 박사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출신의 이영기 박사(지도교수: 송준화)가 2018년 9월부로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영기 박사는 우리 학부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이후 2013년부터 싱가포르 경영대학 교수로 일하였고 이번 9월에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 부임하게 되었다. 이영기 교수는 Mobile and ubiquitous systems, OS support for mobile/IoT/wearable devices, large-scale data analytics and experimentation platform,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최고 학회인 ACM MobiSys, ACM SenSys, ACM/IEEE IPSN, ACM UbiComp, ACM CSCW, ACM CHI 등에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학회 프로그램위원회와 조직위원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2018년 ACM UbiComp program co-chair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Read more
  • 홍정규 박사 영남대학교 조교수 임용

    카이스트 전산학부 졸업생인 홍정규 박사 (지도교수: 김순태)가 영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홍정규 박사는 박사학위 후 1년 간 임베디드 컴퓨팅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신뢰성 및 저전력 메모리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였다.

    ...Read more
  • 류덕산 박사 전북대학교 조교수 임용

    전산학부 졸업생 류덕산 박사(지도 교수 백종문)가 전북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류덕산 박사는 졸업 후 우리 전산학부에서 2년간 연구 조교수로 근무하였다. 류덕산 박사는 학위 과정 중에는, 소프트웨어 결함 예측 분야를 연구하며 네이버 박사 펠로우십과 전산학부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고, 졸업 후에는 본교에서 프로그래밍 기초, 자료 구조론을 강의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졸업생 김재일 박사 경북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졸업생 김재일 박사(지도교수: 박진아, 2015년 2월 졸업)가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재일 박사는 박사학위 취득 이후 삼성종합기술원 (Samsung Electronics) 에서 Senior Engineer로 근무하였고 2016년 6월부터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에서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로 활동하며 전산학과 의료영상분야의 연구를 활발히 수행했다. 주요 연구내용 Diffusion-weighted atlas construction & learning-based missing image prediction Ultrasound image fusion 3D foot bone modeling for foot joint analysis Surface-based shape analysis for subcortical structures and brain ventricles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안정섭 박사 아주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박사 졸업생 (2015) 안정섭 박사(지도교수: 허재혁)가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의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안정섭 박사는 졸업 후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실리콘밸리 소재의 Oracle Labs에서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안정섭 박사는 박사 과정 중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 기술인 가상화와 컴퓨터 아키텍처의 융합 기술을 연구하였으며, Oracle Labs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 SW 및 HW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컴퓨터 구조 분야의 톱 학회인 ISCA 및 MICRO에 다수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안정섭 박사의 경력 및 주요 연구 성과: https://jeongseob.github.io/

    ...Read more
  • 전산학부 허재필 박사 성균관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박사 졸업생 (2015) 허재필 박사(지도교수: 윤성의)가 성균관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허재필 박사는 대용량 이미지 검색을 위한 이미지 표현자 압축 및 검색 기술을 연구하였고, Adobe 인턴 및 ETRI 연구원 역임했다. 허박사의 주용 관심 연구분야는 Large-scale image search, Scalable nearest neighbor search, Compact data representation for high dimensional data Collision detection, Geometric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이며 대표 연구실적은 아래와 같다. Shortlist Selection with Residual-Aware Distance Estimator for K-Nearest Neighbor Search Jae-Pil Heo, Zhe Lin, Xiaohui Shen, Jonathan Brandt, and Sung-eui Yoon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6 Distance Encoded Product Quantization Jae-Pil Heo, Zhe Lin, and Sung-Eui Yoon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4 VLSH: Voronoi-based Locality Sensitive Hashing Tieu Lin Loi, Jae-Pil Heo, Junghwan Lee, and Sung-Eui Yoon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IROS), 2013 성균관대 조교수 임용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이일구 박사 성신여대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1호 박사인 이일구 박사 (지도교수: 김명철) 가 2017년 3월부로 성신여자대학교 지식서비스공과대학 융합보안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박사는 2016년 2월 "무선랜을 위한 간섭 인지 보안 통신"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9년 동안 5G 기가 통신 시스템과 무선랜 기술을 연구했으며, 최근 3년 동안은 연구소 창업 벤처 뉴라텍에서 무선랜 기반 저전력 장거리 IoT 칩셋을 연구 개발해왔다. 이일구 박사는 KAIST 석박사 과정 중,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 성능, 전력 소비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국제저명학술지와 국제저명학술대회에서 발표한바 있고, 향후에도 IoT 통신/센서의 융합 보안 분야의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Read more
  • KAIST 컨버전스 AMP 대전 본교 방문해 산학협력 논의

    지난 10월 8일 KAIST 컨버전스 AMP 과정 원우들이 본원에 방문하여 산학협력 논의와 관련된 신문 기사 입니다. http://www.etnews.com/20161011000352

    ...Read more
  • 황규영 교수 정년 기념식 개최

    지난 8월 30일(화), 원내 교수회관 3층 영빈관에서 황규영 교수 정년 기념식이 개최되었다. 이 자리는 26년 6개월간 헌신적인 후학 양성 및 연구에 공헌하신 황규영 교수의 명예로운 퇴임을 기념하는 행사로 전산학부장을 비롯해 전산학부 교수 및 명예교수, 외부 인사 등 60여명이 참석해 개식, 약력소개 및 명예교수 추대 설명, 감사패 증정, 황규영 교수 강의, 기념사진 촬영 등 뜻깊은 기념식이 진행되었다.

    ...Read more
  • 네이버 펠로우쉽 선정 및 수상 안내

    오는 7월 25일(월) 우리 전산학부 Duc Hoang Bui(박사과정, 지도교수: 신인식), 김수인(박사과정, 지도교수: 오혜연), 류덕산(박사과정, 지도교수: 백종문), 박건우(박사과정, 지도교수: 차미영), 박창희(박사과정, 지도교수: 류석영), 김선준(박사과정, 지도교수: 이기혁) 학생이 NAVER Phd Fellow에 선정되었고 이에 따른 Fellowship award를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이 상은 네이버에서 연구하고 있는 컴퓨터 사이언스 분야의 세계 top-tier컨퍼런스 및 저널에서 제 1저자로 우수한 논문을 발표하신 박사 과정 연구원 분들을 네이버에서 인정해 드리고자 수여하는 상 입니다. 선정과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사진상 Duc Hoang Bui, 김수인 류덕산, 박건우 박창희, 김선준

    ...Read mor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