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사이버 보안 교육·훈련 상호교류 협약

    지난 11일(월) KAIST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사이버 보안 교육·훈련 상호교류 협약관련 기사문 입니다. 본 협약은 KAIST 전산학부가 전담해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관련 협약 입니다.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221438

    ...Read more
  • 이주영, 김주호 교수 부임 안내

    *사진상 좌(김주호 교수), 우(이주영 교수) 우리 전산학부에 2016년 7월 1일부로 이주영, 김주호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이주영 교수님의 전공은 전공 암호론, 조합론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으며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36&kind=faculty&menu=160 김주호 교수님의 전공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HCI), 크라우드소싱, 온라인 교육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35&kind=faculty&menu=160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IT융합 및 응용에 대한 여성토크 콘서트 (IT Women Engineers Talk Co..

    지난 6월 22일 (수) N1 다목적홀에서 "IT융합 및 응용에 대한 여성토크 콘서트" 가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와 전자과 이현주 교수가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KWSE)로 부터 지원을 받아 KAIST 공과대학내 여교수님들의 연구내용을 서로 공유하며 IT와 비-IT 분야의 협력연구를 도모하고 더 나아가 대학원생들에 비전을 제시하고자 기획되었다. 전산학부에서는 IT분야 연사로 오혜연 교수의 "기계학습과 전산사회과학", 류석영 교수의 "야생 자바스크립트 웹 앱의 결함 검출을 향한 여정", 그리고 문수복 교수의 "What is my Beer?" 발표가 있었고, 비-IT분야로는 바이오 뇌공학과, 기계공학과, 생명과학과 그리고 나노과학기술대학원에서 참여하였다. WISET소장을 역임하신 이혜숙교수의 '젠더혁신과 여성연구자 역량강화'의 기조 강연과 패널토의도 함께 진행이 되었다.

    ...Read more
  • KAIST-TUIT Collaboration Program 수료식

    우즈베키스탄 Tashkent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연수생 교육 훈련 프로그램인 KAIST-TUIT Collaboration Program의 2016년도 봄학기 KAIST 방문 연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6월 20일 전산학부 교수회의실에서 수료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Read more
  • NRF 중견 핵심 연구에 선정

    우리 전산학부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증 연구실 (지도교수: 김문주)에서 제안한 "SW 품질 향상을 위한 테스팅 자동화 및 디버깅 자동화 기술" 과제가 NRF 중견 핵심 연구에 선정 되었습니다. (연 1억씩 2016년 6월부터 3년간 수행) 선정을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김문주 교수 STVR 저널 Editorial board 선임

    우리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가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우수 저널인 Journal of Software Testing,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STVR) 의 Editorial Board로 선임 되었습니다. 선임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Microsoft Research Japan-Korea Academic Day 2016 수..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님과 김효수 학생이, 지난 5월 20일 일본 동경에서 열린 Microsoft Research Japan-Korea Academic Day 2016에서 Poster & Demo 발표회 1st Prize를 수상하였습니다. 제목: I can hear your touch-screen taps: leveraging tapsound to infer tapstorkes on mobile touch-screen devices 개요 : 모바일 보안 분야 연구이며, 스마트폰 환경에서 소리 정보 등을 이용한 새로운 side-channel 해킹 공격 기법을 소개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Microsoft Research) 는 컴퓨터공학을 포함 다양한 융, 복합 분야에 대해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기관으로 전세계 여러 학술 기관 및 연구소들과 활발하게 협력해오고 있으며, Microsoft Research Japan-Korea Academic Day는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와 혁신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 석학들의 혁신 기술 교류 행사입니다. 수상을 진심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강성원 교수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 선출

    우리 전산학부의 강성원 교수는 2016년 3월부로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으로 선출되어 2018년 2월까지 그 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학문적, 교육적, 기술적 발전을 도모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1987년 설립되어, 대학, 연구소, 기업체, 정부기관에서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에 종사하는 회원들간 소프트웨어공학 관련 이론, 경험과 기술 공유의 장을 제공해 왔다.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는 매년 분기 별로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논문지를 발간하고 매년 한국소프트웨어공학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단기 강좌, 초청 세미나, 소프트웨어공학인의 밤 등 소프트웨어공학인들을 위한 다양한 교류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Read more
  • 한국정보과학회 제35회 학생논문경진대회 수상안내

    우리 학부 김윤호 박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김문주 교수)이 한국정보과학회 제35회 학생논문경진대회에서 ​"실제적인 유닛 컨텍스트 생성에 기반한 효과적인 자동 Concolic 유닛 테스팅" 논문으로 ​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참고: 최우수1명, 우수 2명,장려 3명)​

    ...Read more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16 - Com..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16 -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 QS 랭킹 컴퓨터과학 및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우리 학부가 전세계에서 36위 국내에서는 1위를 달성했습니다. 세부내용: ACADEMIC REPUTATION : 79.7 EMPLOYER REPUTATION : 88.9 CITATIONS PER PAPER : 87.1 H-index : 90.4

    ...Read more
  • KAIST-(주)엑셈 산학협력 협약 체결

    우리 전산학부에서는 지난 24일(수) 전산학부교수회의실에서 빅데이터 운영 관제 소프트웨어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KAIST-(주)엑셈 사 간의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Read more
  • 2016 KAIST 로봇 프로그래밍 IT 캠프

    우리 전산학부에서는 26일 오늘 전산학부 디지털실험실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필연적이고 전 세계적인 흐름에 맞춰서, 향후 국가 경쟁력을 책임지게 될 어린 중고등학생들이 로봇 이론과 실습 교육을 통해 소프트웨어가 지닌 중추적인 역할과 중요성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2016 KAIST 로봇 프로그래밍 IT 캠프' 를 개최했다. 본 캠프는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KAIST 전산학부 주관으로 진행되었고 한태숙 교수가 책임교수를 이준상 교수가 실무 책임자를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조성호 교수 및 이홍구(박사과정), 최봉재(박사과정), 유문원(석사과정), 배병욱(석사과정), 황진환(석사과정) 씨가 캠프 전반적인 교육을 담당 함으로써 성공적인 캠프를 진행하게 되었다.

    ...Read more
  • 2016년 개교 제45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2016년 개교 제45주년을 기념하여, KAIST 발전에 기여하고 공로가 큰 우수교원 수상에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학술상), 오혜연 교수(창의강의대상), 박진아 교수(공적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이진서 석사과정, 백경덕 학부생, KCSE 2016 최우수 및 우수 논문상 수상

    우리 전산학부의 이진서 석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고인영, 왼쪽 사진)과 백경덕 학부생(지도교수: 김광조, 개별연구 지도교수: 고인영, 오른쪽 사진)이 2016년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16)에서 최우수 논문상과 우수 논문상을 각각 수상 하였습니다. 논문 1: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그룹 사용자를 위한 그룹 구성 정보 기반 서비스 추천 방법 (저자: 이진서, 고인영) 논문 2: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지리적 응집도를 고려한 동적 서비스 검색방법 (저자: 백경덕, 김민협, 고인영)

    ...Read more
  • 기성회장상 수상

    2016년 학위수여식 학사과정 성적우수 졸업생 중 우리 전산학부 장윤석 씨과 기성회장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 전산학부 창업 동문, ‘릴레이 기부’로 1억 2천만 원 모교에 전달

    지난해 KAIST 재학생이 앱 매각 수익금을 모교에 기부한데 이어 이번에는 전산학부 창업 동문들이 앱 매각 수익금을 KAIST에 전달했다. 서울버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한 박영훈(25 ․ 전산학부)학생은 지난해 12월 전산학부 발전을 위해 써 달라며 1천만 원을 발전기금으로 내놨다. 박영훈 학생은 2014년 9월 서울버스 앱을 카카오에 매각하고 학교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그 수익금 중 일부를 전달했다. 이어 2015년 KAIST 전산학부를 졸업하고 카카오에서 근무 중인 김동우(29) 동문은 후배들을 위해 써 달라며 1천만 원을 지난해 12월 KAIST에 전달했다. 이들은 KAIST 전산학부 동문으로 소셜커머스 ‘로티플’에서 함께 일한 인연이 있었다. 후배들의 기부 소식은 ‘로티플’을 같이 창업했던 선배들의 기부로 이어졌다. ‘로티플’의 공동 창업자이자 전산학부 2002학번 동기인 구경렬(33), 김동주(34), 윤동희(34), 이준기(34), 이참솔(33), 이현종(34), 장성훈(33), 정주영(34) 동문 8명은 지난해 12월 말 학교 발전기금으로 총 1억 원을 전달했다. ‘로티플’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할인정보를 제공하는 소셜커머스 업체다. 국내 최초로 사용자 주변의 할인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모바일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프트뱅크벤처스로 부터 투자를 받아 주목을 끌었으며 2011년 말 카카오에 인수됐다. 장성훈 동문은 “로티플에서 함께 일했던 후배들이 먼저 학교에 기부를 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평소 기부에 대해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보기는 했으나 실천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었는데, 후배들이 먼저 행동하는 것을 보니 자랑스럽고 대견스러워 선배들도 기부에 동참했다”라고 기부 배경을 설명했다. 이참솔 동문은 “모두 로티플 공동창업자였고 평소에도 기부에 대한 관심이 있었기에 기부 이야기가 나왔을 때 모두 망설임 없이 동참하게 됐다”며 “졸업 후에도 여러모로 학교의 덕을 보고 있다고 생각했기에 이번 기부가 학교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로티플 창업 동문들은 회사가 카카오에 인수된 후 여러 팀에서 근무하며 카카오의 성장을 이끌었다. 지금은 대부분의 멤버가 퇴직하고 다음 사업을 준비 중이다. 이현종 동문은 “이번 기부가 다른 동문 및 재학생들에게도 귀감이 되어 더 많은 기부행렬로 이어지기를 바란다”며 “또 다시 창업을 준비 중에 있으니 더 크게 성공해서 더 많은 기부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웃었다. 강성모 총장은 “동문들의 관심과 투자는 KAIST를 이끄는 또 하나의 저력”이라며 “모교에 아낌없는 관심과 성원을 보여주는 동문들에게 진심으로 감사 드린다”라고 말했다. 로티플 동문에 대한 감사패 전달식은 1일(월) 오후 KAIST 교수회관에서 진행된다. 끝.

    ...Read more
  • 올해의 동문상 시상식 및 수상자와의 대화

    지난 24일 정보전자공학동(E3-1) 제1공동강의실에서는 공과대학에서 주최한 올해의 동문상에서 우리 전산학부 동문인 김정주 NXC대표이사가 선정되었다. 김정주 대표이사는 국내 디지털콘텐츠 분야를 선도하여, 정보서비스산업 발전에 크게 공헌한 인물로 그날 행사에는 총장, 부총장을 포함한 학생들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Read more
  • 차상길 교수님 부임을 축하드립니다.

    지난 11월 16일 우리 전산학부에 차상길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차상길 교수님은 2015년에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전공 분야는 Software Security, Program Analysis 이며, 연구실 위치는 N5, 2220, 전화번호는 T.3569입니다. 부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Read more
  • 최기선 교수, 한글 발전 및 보급 공로로 옥조근정훈장 수훈

    우리 대학 전산학부의 최기선 교수가 지난 10월 9일 금요일에 제569돌 한글날을 맞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한글 및 한국어의 발전과 보급을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옥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최기선 교수는 △ 한글과 한국어 문장의 정보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자연언어처리 분석기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 한글 및 한국어 자연언어처리 공유소프트웨어 또한 국제적으로 실용화하였으며, △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 컴퓨터용 사전 등을 개발하는 등, 한글의 정보화에 크게 기여해온 바 있다. 최기선 교수는 이러한 능력과 노력을 국∙내외에서 인정받아 다양한 학술대회와 표준화기구 등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관련 영상 : https://youtu.be/OYDGb9KsseM 관련 기사 :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4594&pMenuCD=0302000000&pCurrentPage=1&pTypeDept=&pSearchType=01&pSearchWord

    ...Read more
  • 송준화 교수, 미국컴퓨터협회 SenSys 학회 운영위원장 선임

    우리 대학 전산학부 송준화 교수가 세계컴퓨터학회(ACM) SenSys(Conference on Embedded Networked Sensor Systems)의 학회운영위원장(General Chair)에 선임됐다. 지난 2003년 시작된 SenSys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관한 다양한 시스템 연구를 다루는 핵심 학술대회로, 아시아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에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센싱, 사물인터넷, 스마트 기기 시스템, 보안 등을 소개하는 학술대회로 발전했다. SenSys는 이러한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센서 기술의 시대적 중요성으로 말미암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송 교수는 모바일 시스템 분야에 기여한 학술적 공로뿐 아니라 운영과 기획 능력을 인정받아 한국인 최초로 운영위원장을 맡았다. 올해 제13회 SenSys의 운영위원 20여명을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관련 전문가들로 직접 선발하고, 대회 운영 전반을 주관한다. 송 교수는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자이다. 세계컴퓨터학회 (ACM) MobiSys, SenSys 등의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분야 최정상 학술대회에서 한국 대학 교수 최초로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여러 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최우수 데모상 등 다수의 수상 경험이 있다. 작년에는 세계컴퓨터학회(ACM)의 유비쿼터스컴퓨팅 학술대회 (UbiComp) 학술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IEEE TMC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저널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제 13회 SenSys는 올해 11월 1일부터 4일까지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개최 되며 웹페이지 (http://sensys.acm.org/2015/)를 통해 등록할수 있다.

    ...Read more
  • KAIST - Oberthur Technologies(OT) MOU 체결

    2016년 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는 올해를 한국의 해로 제정하여 과학,문화, 예술등 다방면에서 양국간의 상호 교류를 한 단계 격상하여 더욱 친밀한 관계로 발전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황 교안 총리께서 한국정부를 대표하여 2015년 9월 18일 방불 중 Oberthur Technologies(OT)와 KAIST간에 모바일 보안 관련 공동 연구에 관한 양해 각서를 OT의 CTO Marc Bertin과 KAIST 전산학부 김 광조 교수가 황 교안 총리의 주재하여 (사진첨부) 체결하였다. 이로 인하여 KAIST는 모바일 보안 분야에 실용적인 국제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대학원생들의 OT에 인턴쉽을 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한편, OT는 세계적인 모바일 보안 기업으로 금년 7월 아시아에서 4번째로 서울에 한국 OT 연구 센터를 설립하여 전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삼성, LG 등 국내 스마트 폰 제작 기업과 스마트 폰 보안 제품에 관한 공동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Read more
  • Test-Of-Time 2006 Award 수상

    윤성의 교수가 참여한 아래 논문이 고성능 그래픽스 국제학회 (High-Performance Graphics)에서 올해 2015년에 선정한 "Test-Of-Time 2006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RT-DEFORM: Interactive Ray Tracing of Dynamic Scenes using BVHs Christian Lauterbach, Sung-eui Yoon, David Tuft, Dinesh Manocha IEEE Symp. on Interactive Ray Tracing, 2006 이 연구는 고화질 렌더링에 사용되는 광선추적기술(ray tracing)의 가속화 자료구조로 기존에 많이 쓰이는 kd-tree가 아닌 bounding volume hierarchies (BVHs)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kd-tree는 정적 모델에 주로 최적화된 자료구조이나, BVH를 이용하여 게임/영화에 흔히 사용되는 동적 모델도 효과적으로 다룰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기술을 개발한지 약 10년이 지난 현재, 제안한 BVH는 광선추적기법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속화 자료구조로 인식이 되고 있고, CPU 및 GPU 기반 기술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고성능 광선추적엔진 (Intel의 Embree 및 Nvidia의 Optix)에서도 차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5 현재 이 논문은 149회의 인용을 받고 있다.

    ...Read more
  • MLSS 2015, Spotlight Presenter 선정

    [사진상 중간이 임우상 박사과정생] 우리 전산학부 임우상 박사과정 학생 (지도교수: 배두환)이 지난 8/23-9/6에 일본 교토에서 열린 MLSS 2015에서 스포트라이트 발표자(Spotlight Presenter)로 선정되어 본인의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MLSS (Machine Learning Summer School)는 2002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매년마다 기계학습의 각 분야를 주도하는 전문가들이 모여서 자신의 연구 영역에 대해 강의 하는 여름 학교이다. 올해는 세계 각국에서 60명의 교수진, 60명의 업계 종사자, 150명의 박사과정 학생, 100명의 석사과정 학생, 50명의 학부과정 학생, 총 420명이 최종 선발되어 참여하였다. 이번 MLSS에서 포스터 발표로 선택된 180명의 연구 중에 ICML, NIPS, ICCV, ICDM 등등의 CS 분야에서의 S급 국제 학회에서 이미 발표 되었거나 공개 될 연구들이 다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 추가로 20명의 연구만이 스포트라이트로 선정되어 해당 발표자들이 14명의 초청 강연자와 함께 구두 발표할 기회를 가졌다. 임우상 학생은 기계학습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S급 국제 학회 중 하나인 ICM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015에서 본인이 주 저자로 발표한 “Double Nyström Method: An Efficient and Accurate Nyström Scheme for Large-Scale Data Sets”를 스포트라이트 세션에서 소개 하였다. 해당 논문은 기계 학습에서 자주 수반되는 PSD (Positive Semi-Definite) 행렬 분해의 새로운 이론적인 성질 및 에러 보장을 수학적으로 분석 및 제시하고, 이에 기반하여 대규모 데이터 크기의 PSD 행렬 고유분해 (Eigen-Decomposition)를 정확하고 최대 10배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의된 이론적 분석은 해당 주제의 10년간 막혔던 문제 “데이터 구조를 고려한 효율적 샘플링과 그의 행렬 분해 적용시 최적 에러 값의 이론적 보장”을 해결하는 독창적인 방법을 제안했다는 평가이며, 임우상 학생은 Intel의 후원을 통해 IMLS (International Machine Learning Society)로 부터 장학금을 수여 받았다. 참조: http://www.mlss.cc http://www.i.kyoto-u.ac.jp/mlss15/

    ...Read more
  • 학부생 박소연 URP(학부연구프로그램)에서 최우수상 수상

    우리 전산학부에 박소연 학생이 URP 프로그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URP와 더불어 본 연구는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acceptance rate: 18.5%)에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페이퍼 제목:Practical message-passing framework for large-scale combinatorial optimization º Research Title : Large-scale Parallel Combinatorial Optimization through Belief Propagation º Researchers : Soya Park (School of Computing), Inho Cho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º Advisory Professor : Dongsu Ha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Jinwoo Sh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º Teaching Assistant : Sejun Park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º Abstract (or Summary) : Graphical Model (GM) has provided a popular framework for big data analytics because it often lends itself to distributed and parallel processing by utilizing graph-based ‘local’ structures. It models correlated random variables wherein particular, the max-product Belief Propagation (BP) is the most popular heuristic to compute the most-likely assignment in GMs. In the past years, it has been proven that BP can solve a few classes of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under certain conditions. Motivated by this, we explore the prospect of using BP to solve generic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The challenge is that, in practice, BP may converge very slowly and even if it does converge, the BP decision often violates the constraints of the original problem. This research proposes a generic framework that enables us to apply BP-based algorithms to compute an approximate feasible solution for an arbitrary combinatorial optimization task. The main novel ingredients include (a) careful initialization of BP messages,(b) hybrid damping on BP updates, and (c) post-processing using BP beliefs. Utilizing the framework, we develop parallel algorithms for several large-scale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including maximum weight matching, traveling sales-man, vertex cover and independent set. We demonstrate that our framework delivers high approximation ratio, speeds up the process by parallelization, and allows large-scale processing involving billions of variables.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Google’s 2015 Global PhD Fellows 선정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우신애(지도교수 문수복) 학생이 2015 Google PhD Fellow로 선정되었다. Google PhD Fellowship program은 올해로 7년째 이어져오는 전산관련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박사과정 학생들을 선발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전 세계에서 44명의 박사과정 학생이 선발되었으며, 한국에서는 Networking and Distributed System 분야에서 KAIST의 우신애 학생과 Robotics 분야에서 서울대의 원정담 학생이 선발되었다. 우신애 학생은 KAIST 전산학과에서 학부 및 석사를 마쳤으며, 지난 2012년 3월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그동안 3년여에 걸친 박사과정 기간 동안, Mobisys, NSDI 등의 우수 학회에 논문을 출판한 바 있다. 참고홈페이지 http://googleresearch.blogspot.kr/2015/08/announcing-googles-2015-global-phd.html http://an.kaist.ac.kr/~shinae/

    ...Read more
  • 건물안까지 정보까지 훤히… '내시경 내비'등장건물안까지 정보까지 훤히… '내시경 내비'등장

    우리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실에서 방문자의 이름이나 건물 내 방 번호 등을 입력하면 도착할 때까지 실내외 길 안내 서비스를 해주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인 '캠퍼스 아틀라스'를 개발에 따른 기사문을 안내 드립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5090302109976731002

    ...Read more
  •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ed Sof..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증 연구실(지도교수 : 김문주)에서 정보과학회 최우수 학술대회/전산학과 S 등급 국제학회인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ed Software Engineering (ASE) 에 논문이 선정되었습니다. 세계적인 최우수 국제 학술대회에 선정되심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S. Hong, B. Lee, T. Kwak, Y. Jeon, B. Ko, Y. Kim, and M. Kim, Mutation-based Fault Localization for Real-world Multilingual Programs,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ed Software Engineering (ASE), Nov 9-13, 2015 (acceptance rate:21%)

    ...Read more
  • 논문(류석영 교수 연구실) Best Artifact Award 수상

    국제학회 CS S급 학회인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의 ECOOP (European Conference on Object-Oriented Programming) 학회에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 연구실에서 제출했던 논문이 Best Artifact Award를 수상했습니다. 논문 : Scalable and Precise Static Analysis of JavaScript Applications via Loop-Sensitivity 저자 : 박창희, 류석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Read more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