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신인식 교수, 스마트폰 전력소모를 절반으로 줄이는 기술 개발

    신인식 교수, 스마트폰 전력소모를 절반으로 줄이는 기술 개발 스마트폰 웹 브라우저의 소모 전력을 기존의 40% 수준까지 줄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기술이 개발됐다. 스마트폰 전력 소모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웹 브라우저 소모량을 줄여 배터리 사용 시간을 대폭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인식 전산학부 교수팀이 웹 페이지 출력 프레임 수를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저전력 모바일 브라우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1월 8일자 전자신문에 밝혔다. 신 교수는 “저전력 모바일 브라우징 기술을 적용하면 소프트웨어(SW)만으로 전체 스마트폰의 전력 성능을 높일 수 있다”면서 “소모 전력 최적화에 나서는 스마트폰 제조사 및 웹 브라우저 앱 개발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기사: http://www.etnews.com/20180105000383

    ...Read more
  • NLPCL*CGV팀 (김정호, 안영진, 양원석, Fistsum Gaim) ‘KSC2017 ..

    지난 12월 20일~2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KOREA Software Congress 2017 에서 ‘KSC2017 SW 구현/데모 경진대회’에 참가한 ‘NLPCL*CGV’ 팀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NLPCL*CGV 팀은 NLPCL연구실 (지도교수: 박종철)의 박사과정 김정호, 양원석, Fitsum Gaim 학생과 CGV연구실 (지도교수: 박진아)의 석사과정 안영진 학생으로 구성된 팀으로 가상현실(VR) 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개발한 ‘직업 환경 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훈련 시스템 및 모바일 피드백 시스템’ 을 시연하였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김주연 박사과정(지도교수: 오혜연교수) 집단지성을 통한 가짜뉴스 확대 최소화 알고리즘 개발

    KAIST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 연구실의 박사과정 김주연 학생이 독일 Max Planck Institute의 Manuel Gomez-Rodriguez 박사와 공동으로 연구한 가짜뉴스 확대 최소화 알고리즘이 연합뉴스, 매일경제, 전자신문 등의 기사에 게재되었다. 이 연구는 최근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진 가짜뉴스에 대한 연구 중 집단지성을 이용해 확대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모델링 기법에 대한 최초 연구로 2018년 2월 ACM WSDM 학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기사 링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22/0200000000AKR20171222067600033.HTML 매일경제 기사 링크: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849666 전자신문 기사 링크: http://www.etnews.com/20171224000028

    ...Read more
  • ICSE 2018 논문 채택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 세계 최고 학회인 ACM/IEEE ICSE (Intl. Conf. on Software Engineering)에 우리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의 논문이 채택되었습니다. 본 논문 "Precise Concolic Unit Testing of C Programs with Alarm Filtering Using Symbolic Calling Contexts" 은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와 박사후연구원 김윤호 박사가 경북대 최윤자 교수와 같이 작성한 연구논문으로, C 프로그램의 오류를 자동으로 찾으며 거짓 경보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유닛 테스트 기술을 연구한 연구논문입니다.

    ...Read more
  • 제 9회 머신러닝 아시아 컨퍼런스(ACML) 2017 개최

    우리 전산학부 김기응 교수가 General Chair로 참여한 제 9회 머신러닝 아시아 컨퍼런스(ACML) 2017이 11 월 15 일부터 17 일까지 연세대 학교 백양 홀에서 개최하였다. 본 행사에서는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머신러닝에 대한 연구 결과와 아이디어를 공유하였으며,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머신러닝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패러다임에 중심을 둔 제안도 함께 논의하였다. ACML은 2009년부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하고 있는 머신 러닝에 대해 연구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들을 공유해왔다. ACML은 2009 년부터 아시아 지역에서 시작돼 뉴질랜드, 홍콩, 베트남, 호주, 싱가포르, 대만, 일, 중국 등에서 진행됐다. 이 컨퍼런스는 과학자들이 머신러닝에 대한 지식을 폭넓게 이해하며 인사이트를 얻어 기술을 산업에 적용하는 데 기여해왔다.

    ...Read more
  • CAN '17 at ACM CoNEXT 2017, Best Paper Award 수상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신재민, 홍덕기(졸), 박사과정 우신애(졸) (지도교수 문수복) 학생이 지난 12/12일 인천 파라다이스 시티 호텔에서 열린 ‘Cloud-Assisted Networking Workshop at ACM CoNEXT 2017’ 국제학회에서 ‘고성능 컨테이너 기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배치에 관한 고찰(Considerations on Deploying High-Performance Container-based NFV)’에 관한 논문으로 ‘Best Paper Award’를 수상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신인식, 허재혁, 김민혁 교수 Microsoft Research Asia 공동 연구 프로그..

    신인식, 허재혁, 김민혁 교수 Microsoft Research Asia 공동 연구 프로그램에 선정 Microsoft Research Asia (MSRA) 공동 연구 프로그램은 상호 관심있는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MSRA 연구원과 함께 연구하는 아시아 대학 교수진을 위한 상호 공동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아시아에 재능 있는 인재들을 육성하고 고등 교육을 위한 가치 있는 연구 및 기술 파트너십을 확립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Microsoft에서 설립한 공동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KAIST는 Tsinghua, HKUST, USTC등과 같이 동일대학 가장 많은 연구과제가 선정된 기관이기도 합니다. 선정된 3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TouchSurface: Supporting Touch User Interface with Sound on Any Surface Insik Shin, KAIST Securing Key-Value Stores with Hardwar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s Jaehyuk Huh, KAIST Capturing Intrinsic Material Appearance via Spectro-Polarimetric 3D Imaging Min H. Kim, KAIST 7 월 중순에 제안 요청을 발표한 이후, MSRA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Committee에서 최첨단 및 공통 연구 관심 분야를 기반으로 신중하게 검토하였으며, 이중 총 62 개의 제안서를 선정하였습니다. 중국 본토, 홍콩, 대만, 일본, 한국 및 싱가포르 등의 35 개 대학교에서 선정되었으며, 저희 KAIST에서는 저희 전산학부에서만 신인식, 허재혁, 김민혁 교수님 세분이 선정되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관련정보] http://www.microsoft.com/en-us/research/lab/microsoft-research-asia/articles/msra-collaborative-research-2018-award-announcement/

    ...Read more
  • ˝가짜뉴스 점조직처럼 퍼져…인공지능으로 팩트체크 가능˝

    지난 11월 10일 연합뉴스에 게재된 차미영 교수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가짜뉴스 탐지기술이라는 주제로 가짜뉴스의 폐해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소개에 대한 기사입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10/0200000000AKR20171110035900063.HTML

    ...Read more
  • 한국콘텐츠진흥원과 SM Entertainment에서 주최한 '음악, 인공지능을 켜다'에서 ..

    KAIST 전산학부 석사과정 이자룡(지도교수 이흥규) 학생이 지난 11월 1일 서울 동대문구 KOCCA 콘텐츠시연장에서 열린 한국콘텐츠진흥원과 SM엔터테인먼트가 공동으로 진행한 음악과 인공지능 기술 협업 프로젝트 쇼케이스에서,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석사과정 박중배(지도교수 이상완) 학생과 만든 작곡 인공지능 “휴멜로(humelo)”를 통해 AI와 작곡가의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발표했다.

    ...Read more
  •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세계 최고 학회 ACM POPL2018에 두개 논문 채택

    프로그래밍 언어 세계 최고 학회인 ACM POPL 2018에 우리 전산학부에서 근무하는 이원열 연구원과 쓴 논문과 양홍석 교수가 쓴 논문이 채택되었다. 이원열 연구원이 쓴 논문은 “On Automatically Proving the Correctness of math.h Implementations“ 란 논문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와 스탠포드에서 일하는 동료들(Sharma, Aiken)과 작성한 연구논문이며, 양홍석 교수가 쓴 논문은 “Denotational Validation of Higher-Order Bayesian Inference“ 란 논문으로 옥스포드, 캠프릿지, 튜빙엔, 에딘버러에서 일하는 동료들(Scibior, Kammar, Vakar, Staton, Cai, Ostermann, Moss, Heunen, Ghahramani)과 작성한 연구논문이다.

    ...Read more
  • MDM 2017 개최

    지난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송준화 교수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Wang-Chien Lee 교수는 함께 '모바일 데이터 관리에 관한 국제학회'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Data Management, 이하 MDM)를 본교에서 4일간 개최했다. 올해로 18회를 맞는 MDM은 모바일 환경에서 새롭게 생겨난 데이터의 처리를 다루는 학회로, IoT, 자율 주행 자동차, 크라우드 소싱, 모바일 사용자의 행동 인식 등 학계와 산업계가 함께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13개국에서 온 105명의 연구자가 총 50회의 논문발표가 진행되었으며, 국내외 연구자뿐만 아니라 Google, IBM, Delta Electronics 등의 기업도 참여하여 향후 모바일 데이터의 가능성에 대해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본 학회는 IEEE, 카이스트 전산학부, IEEE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술 위원회 (TCDE), 미국 피츠버그 대학, 대전 마케팅 공사, 충남대학교 소프트웨어 연구 센터, 대전광역시의 지원으로 개최되었다.

    ...Read more
  • 백승환 박사과정, 박창현 박사과정 MSRA PhD Fellowship 2017 수상

    백승환 박사과정(지도교수: 김민혁), 박창현 박사과정(지도교수: 허재혁) MSRA PhD Fellowship 2017 수상 [link] 지난 6월 마이크로소프트연구소아시아 (Microsoft Research Asia, MSRA) 장학생 선발 관련하여 KAIST 전산학부에서 지원한 김민혁 교수님의 지도학생, 백승환 군과 허재혁 교수님의 지도학생, 박창현 군이 마이크로소프트연구소아시아 (MSRA) 최종 Fellowship Winner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아시아 전역 38개의 유수 연구 중심 대학에서 107명이 경쟁을 하였는데 그 중 최종 장학생 10명으로 선정이 된 것입니다. 중국 7명, 홍콩 1명, 한국 2명입니다. 2명 모두 KAIST 전산학부 지원자입니다. 백승환군(Microsoft Research Asia Internship 수행중)과 Fellowship Winner인 박창현군(Microsoft Research Asia Internship 수행)에게는 원할 경우 추가적으로 3개월 인턴쉽이 제공되고, 연구와 학술활동을 위해 USD1만불의 상금이 지급됩니다. 시상식은 10월 19일 중국, 하얼빈에서 진행되는 21세기 컴퓨팅 컨퍼런스 (2000여명 참석)에서 진행이 되었으며, Turing Award Winner인 John Hopcroft 박사님과 점심 미팅도 참석하였습니다. 1999년부터 본 MSRA Fellowship 프로그램은 아시아-퍼시픽 지역의 약 40여개 대학교로부터 약 1,100명의 박사과정생들이 지원하였으며, 이중 396명의 실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MSRA Fellowship 장학금을 지원해 왔습니다. 지금까지 수상자들은 각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자 되어왔습니다. 다시한번 백승환 군과 박창현 군의 펠로우십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박창현 박사과정(사진 왼쪽), 백승환 박사과정(사진 오른쪽)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선정

    지난 9월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차세대정보컴퓨팅 기술개발사업(이하 차세정)에 우리 KAIST 전산학부에서 지원한 3개 과제가 모두 선정되었다. 차세정 사업은 "장기적인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IT분야 R&D와 차별되는 SW 분야 기초․원천기술 개발 중점 지원" 을 그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우리 전산학부에서 선정된 세부 과제는 다음과 같다. - SuggestBot: 컨텍스트 기반 스마트 인터랙션 원천 기술 개발 연구목표: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In-situ, Intelligent, In-time 스마트 인터랙션을 실현하기 위하여 인터랙션 빅데이터, 상황 추론 및 행동 제시 엔진, 웨어리블 UI 및 컴퓨팅 서브시스템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 개발 총괄과제 책임자: 이기혁 교수 전산학부 참여교수: 김주호 교수, 맹성현 교수, 오혜연 교수, 송준화 교수 타학과 참여교수: 이의진 교수(산업및시스템공학과) - 신뢰적인 지능형 CPS 복합체계 개발 및 On-the-fly 검증 기술 연구목표: Vehicle to Everything(V2X), 스마트 공장 등의 Cyber-Physical System(CPS) 환경에서의 신뢰적이고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공학 기술 개발 총괄과제 책임자: 고인영 교수 전산학부 참여교수: 배두환 교수, 강성원 교수, 송준화 교수, 백종문 교수 타기관 참여교수: 홍장의 교수(충북대), 유준범 교수(건국대), 강승우 교수(한국과학기술교육대) - 지능형 자동화를 통한 풀스택 SW의 다중언어 검증 및 디버깅: 김문주 교수 연구목표: 스마트디바이스나 IoT 등에 널리 쓰이는 풀스택 SW의 높은 복잡도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디버깅하는, 기술집약적 지능형 자동화 알고리즘 연구 총괄과제 책임자: 김문주 교수 전산학부 참여교수: 류석영 교수, 유신 교수 타기관 참여교수: 최윤자 교수(경북대), 배경민 교수(POSTECH), 홍신 교수(한동대) 본 사업의 기간은 2017년 9월 1일~2020년 12월 31일 (3년 4개월) 이며 사업기간 동안 총 95억 3천 여 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Read more
  • 2017 Google PhD Fellowship 오상은 박사과정 학생 선정

    지난 9월 12일,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오상은(지도교수 신인식) 학생은 “다중 기기 간의 손쉬운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모바일 컴퓨팅 (Mobile Computing) 분야에서 2017 Google PhD Fellowship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Google PhD Fellowship program은 전산학 관련 연구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박사과정 학생들을 발굴하기 위해 Google이 2009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장학 프로그램이다. 여기 선정된 학생들은 1만 달러 (한화 약 1100만원)의 장학금을 수여 받고, Google의 각 분야 전문가 멘토들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연구 토의 및 피드백을 받게 된다. 올해에는 전 세계에서 47명의 박사과정 학생들이 선발되었으며, 그 중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총 6명이 선발되었다. 오상은 학생은 박사 과정 동안 스마트 기기들 간에 로그인, 결제, 센서 등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여 이전 모바일 플랫폼에서는 쉽게 제공할 수 없었던 여러 사용자 경험들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이 연구는 지난 6월 21일 미국에서 열린 모바일 컴퓨팅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 ACM(국제컴퓨터학회) MobiSys에 발표되었다.

    ...Read more
  • 이성주교수의 SCAN, 오혜연교수의 Eliph 시스템 KAIST Breakthroughs에..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의 모바일 SCAN 시스템과 오혜연 교수님의 연구실의 Eliph 시스템이 KAIST Breakthroughs에 선정 소개되었습니다. 이성주 교수님 연구실의 모바일 SCAN 시스템 (http://breakthroughs.kaist.ac.kr/?post_no=913) 오혜연 교수님의 연구실의 Eliph 시스템 (http://breakthroughs.kaist.ac.kr/?post_no=908)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양홍석교수, QONFEST '17에서 초청강연자로 기조연설

    KAIST 전산학부 교수 양홍석, QONFEST’17에서 CONCUR, QUEST, FORMATS 통합 초청강연자로 기조연설 KAIST 전산학부 양홍석교수가 QONFEST’17에서 CONCUR, QUEST, FORMATS의 통합 초청강연자로 “probabilistic programming”에 대해 기조연설을 하였습니다. QONFEST’17는 CONCUR, QUEST, FORMATS, EPEW라는 네개의 국제학회로 이루어진 행사인데, 주로 엄밀하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시스템을 기술하고 그들의 성질이나 성능을 분석하는 연구가 논의되는 곳입니다. QONFEST’17는 9월 4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습니다.

    ...Read more
  • 학부생 조경제(지도교수 김주호) URP 최우수상 수상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조경제 학생이 8월 24일 개최된 2017 겨울/봄학기 URP(학부연구프로그램)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지도교수: 김주호, 조교: 박사과정 장민석). 더불어 본 연구는 GroupSight 2017 워크샵(Second Workshop on Human Computation for Image and Video Analysis)에 논문으로 채택 되었습니다. 제목: “Exprgram: A Video-based Language Learning Interface Powered by Learnersourced Video Annotations” 저자: Kyung Je Jo, John Joon Young Chung, Juho Kim (School of Computing, KAIST) Abstract: Foreign language learners are challenged to master pragmatic competence, the ability to use language in a contextually appropriate way. While a large number of language learning materials are accessible, they are often optimized for developing linguistic components (e.g., vocabulary and grammar). In this research, we turn to videos in foreign language as an underutilized source of real-life situations with rich contexts. To efficiently learn from diverse situations through videos, learners should be able to access relevant videos that share a context or an expression. We introduce Exprgram, a language learning interface that utilizes videos at scale to enable context- and expression-based browsing. To enable such browsing, contexts or semantically related expressions in videos should be annotated at scale. Exprgram combines crowdsourcing and machine learning to acquire the needed annotations. Specifically, we introduce a learnersourcing workflow that harvests and organizes video annotations of highly contextual data and relevant expressions to improve our browsing system. Results of a pilot study show that Exprgram helps participants learn diverse expressions in a given context and generate reliable artifacts for future learners.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0Y9tzJ-8xY

    ...Read more
  • 소프트웨어 엔지니링 분야 세계 최고 학회 IEEE/ACM ASE2017에 차상길 교수 논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세계 최고 학회로 인정하는 IEEE/ACM ASE 2017(Automated Software Engineering)에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논문이 채택 되었습니다. 본 논문(Testing Intermediate Representations for Binary Analysis)은 정보보호대학원 차상길 교수와 김수민 학생 및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연구원 등이 참여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차상길교수가 2016년부터 수행중인 미래부 R&D 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KIA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와 협업 하고 있는 내용으로, 바이너리 분석을 위한 기존 중간언어들간의 표현력 비교 등을 다룬 내용입니다. 본 논문은 올해 미국 일리노이 IEEE/ACM ASE 2017 학회(10.30~11.3일)에서 발표 예정입니다. 참고 : http://ase2017.org

    ...Read more
  • 이동만 교수, 『장소성(Placeness) 데이터 마이닝 및 추론API』 공개

    □ KAIST 이동만, 이원재, 박주용, 차미영 교수 및 연구팀은 ‘스마트 공간에서의 실시간 지능형 정보 추천서비스를 위한 장소성 기반 데이터 마이닝 핵심기술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장소성(Placeness) 데이터 마이닝 및 추론』를 공개하였다고 밝혔다. ㅇ API 웹주소는 placeness.kaist.ac.kr:8080/ 이며, 관련 정보는 WIKI:placeness.kaist.ac.kr/wiki 에서 얻을 수 있다. ㅇ ‘스마트 공간에서의 실시간 지능형 정보 추천서비스를 위한 장소성 기반 데이터 마이닝 핵심기술 개발’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2015년 7월~2017년 8월 수행되었다. ㅇ 본 연구는 특정 상업 공간에 방문하는 방문자들의 방문 목적과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대량 생산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및 문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회적 행위, 감성, 장소-사용자간 관계 등을 추론한다. ㅇ 연구진이 공개하는 API는, 현재 연구개발 대상으로 지정한 주요 상위장소(e.g. COEX, IPark Mall) 및 각 상위장소 내 다수의 세부장소들에 대한 소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간별 맥락을 다양한 관점(행위, 방문자, 시간, 분위기 등)에 따라 제공한다. API는 REST API로 공개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HTTP request를 통해 주요 공간에 대한 장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API는 장소성 추론 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연구 이슈에 따라 크게 4개의 세부 분야별 정보를 제공한다: 1) 상위장소의 장소성 추론, 2) 상위장소 내에 있는 세부장소의 장소성 추론, 3) 감성분석 기반의 세부장소 및 상위장소의 분위기(ambience) 추론, 4) 사용자-장소성 간 연관성(relationship) 제공. ㅇ 위의 세부 분야별 정보는 다음 사항들을 포함한다: - 공간 내 사용자들의 사회적 맥락 파악을 통한 공간의 실시간 장소성 매칭 원천기술 - 정형화 된 자료구조를 적용한 세부장소의 장소성 추론 원천기술 - 사용자의 통시적/즉시적 맥락 반영을 위한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관련도 추론 원천기술 - 실시간 장소 추천을 위한 감성 추론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맞춤형 장소 감성 스코어 출력 원천기술 ㅇ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개발자는 추천 장소의 정확도 및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소셜 데이터로부터 사회적 맥락에 따른 대중의 장소 방문 패턴과 선호도 변화를 파악하여 이에 따라 특정 장소를 추천하거나 장소 내의 특정 콘텐츠 소비를 촉진하는 쿠폰 발행 등의 광고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커머스 및 위치기반 쿠폰 발행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사업 분야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 이동만 교수 (과제책임자)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API를 통하여 기존의 위치기반 장소 검색 및 추천 서비스의 검색 수준을 향상시키고, 도시공간에서 방문자들의 장소 방문 트렌드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된 장소 추천을 할 수 있다. 기존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의 한계를극복하기 위해 사진과 텍스트를 동시에 고려하여 공간에 대한 사회적 정보를 추론하여 현재의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가 인공지능형 개인 비서 서비스로 도약하는데에 핵심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장소성(Placeness) 데이터 마이닝 및 추론 기술은 위치기반 정보 검색 및 추천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위치 기반 소셜 커머스 서비스 등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업체들은 정보검색 업체와 모바일 쿠폰 제공 업체에서 지능형 정보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Read more
  • CCA((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bility and..

    전산학부 마틴 지글러 교수는 지난 7월 24일부터 28일까지 본교에서 '해석학에서의 계산가능성과 계산복잡도에 대한 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bility and Complexity in Analysis, 이하 CCA) 를 개최하였다. CCA는 실수 연산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학회이며, 이번 해에는 13개국에서 온 48명의 연구자, 실무자가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은 5일간 총 33회의 논문 발표를 통해 실수연산에서의 연구 근황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건설적인 토론을 진행하였다. 학회에는 한국 이론전산의 신진 연구자들도 다수 참가하였고, 이에 따라 본 학회를 통해서 국내 이론전산 학계에서 실수 연산 분야의 연구가 촉진되리라 기대된다. 본 학회는 카이스트 전산학부, 국제협력팀, 그리고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하에 개최되었다

    ...Read more
  • KAIST·국보연 논문 3편, 세계 유수 보안학회 ACM CCS 채택 ‘경사’

    보안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4대 학회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ACM CCS(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2017에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차상길 교수와 KAIST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한형석 씨가 연구한 ‘IMF: Inferred Model-based Fuzzer’논문과 차상길 교수팀과 함께 김용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한 ‘Be Selfish and Avoid Dilemmas: Fork After Withholding (FAW) Attacks on Bitcoin’논문이며 관련 기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보안뉴스 8월 8일자: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6157&kind=0

    ...Read more
  •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 알림 조절해주는 앱 나온다…KAIST, 인공지능 활용 SCAN 기술 ..

    SCAN 기술 개발에 참여한 KAIST 인력. 왼쪽부터 이성주·이동만·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박천종 박사과정, 임준성 현 삼성전자 SW센터 연구원 우리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팀과 김주호·이동만 교수팀이 함께 스마트폰 사용자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서 알림 내용 고지 시점을 조절해 주는 '알림해방(SCAN) 기술'을 개발과 관련된 8월 7일자 iPnomics 기사입니다. http://www.ipnomics.co.kr/?p=63868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부교수 박진아, 21st Medical Image Understandi..

    KAIST 전산학부 박진아교수는 지난 7월 11~13일 John McIntyre Centre, Pollock Halls, Edinburgh, UK 에서 개최된 제21회 Medial Image Understanding and Analysis (MIUA 2017) 학술대회에서 “Model-based approach to 3D shape recovery and analysis” 라는 주제로 기조강연 (Keynote Lecture)을 하였다. Medical Image Understanding and Analysis (MIUA) 2017은 올해 21번째로 개최된 학술대회 행사로 매년 영국(UK)에서 개최되는 의료영상분석 전문가들을 위한 포럼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뿐만 아니라 미국과 호주, 아시아에서도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 참여한 150여 기관 중 46개는 영국 외의 기관이었고, 접수된 105편의 학술논문과 22편의 임상초록 중 82편이 영국 외 논문이었다고 한다. Honorary Guest Speaker로 Oxford 대학의 Sir Michael Brady 교수, 그리고 기조연설자로 Uppsala 대학의 Ingela Nyström 교수, KAIST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 Imperial College London의 Daniel Rueckert 교수가 초청되었다. 박진아 교수는 20여년 동안 연구해 온 의료영상데이터로부터 임상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3차원 모델링 기법에 대해 강연을 하였다.

    ...Read more
  • 국제고등로봇학회(ICAR) 2017, Robotic planning 분야 Best pape..

    KAIST 전산학부 박사 졸업생 이정환, 석사과정 신희찬(지도교수 윤성의) 학생이 지난 7/10~12일 홍콩에서 열린 ‘국제 고등로봇 학회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Robotics 2017’ 에서 ‘데이터 기반 Kinodynamic RRT(Data-driven Kinodynamic RRT)’에 관한 논문으로 ‘로봇 경로 계획(Robotic planning)’ 분야 Best paper를 수상하였다. 이번 연구는 Kinodynamic 성질을 가지는 로봇의 움직임을 계획할 때, 로봇이 가질 수 있는 상태와 입력값들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둔 후, 필요 시에 검색하여 사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산해야 하는 계산량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움직임 계획의 연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이정환 박사는 박사 기간 동안 IEEE Transaction on Robotics(TR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IC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ics and Systems(IROS) 등 우수 국제 저널 및 학회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지도 교수 : 윤성의 교수, 제 1저자 : 이정환), 제 2저자 : 신희찬] ICAR 2017 홈페이지 : http://www.ee.cuhk.edu.hk/~qhmeng/icar2017/index.htm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 IEEE/ACM ASONAM 학술대회 기조연설 초청

    KAIST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는 이번달(8월1-3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Social Networks Analysis and Mining (ASONAM, 국제 소셜네트워크 분석과 마이닝 첨단기술 학술대회)에서 ‘루머와 가짜 뉴스의 전파‘에 대한 기조연설을 하고 학회에서 감사패를 수상했다. 기조연설에서는 사회학 이론 검증과 전산학 기반 인공지능에 기반한 온라인 가짜 뉴스 검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휴대폰과 소셜미디어로 손안에서 이뤄지는 간편한 정보 소비가 일상이 된 배경에서, 소셜미디어의 정보 전파는 검증 단계가 없이 가짜 정보가 사실 정보처럼 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목한다. 연구팀은 이런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다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해 인간 개입 없이 온라인 정보의 신용 등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는 ICDM, IJCAI, PLoS One을 비롯한 저명 학술대회와 학회지에 게재되었다.

    ...Read more
  • 스마트기기 앱기능 공유 모바일 플랫폼 개발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스마트기기 간 앱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또한 본 연구 논문은 ACM MobiSys 에 게재 되었습니다. 2017년 7일 28일자 세계일보 기사: http://www.segye.com/newsView/20170726003462 2017년 7월 26일자 서울경제 기사: http://www.sedaily.com/NewsView/1OIMI5D8UD 2017년 7월 26일자 헤럴드경제 기사: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0726000233

    ...Read more
  • ACM GECCO HUMIES 은메달 수상

    카이스트 전산학부 유신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ACM SIGEVO가 주최하는 Genetic and Evolutionary Computation Conference (GECCO) 학회에서 진화연산을 이용해 인간과 대등한 성취를 이룬 연구 결과에 수여하는 Human Competitiveness Award (HUMIES) 은메달을 수상했다. 유신 교수의 수상은 본인이 연구한 기계학습 기반의 결함 위치 식별 기술(소프트웨어 테스팅 중 발견된 결함의 코드 내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술)의 정확도가 기존에 인간이 연구한 기법과 동일할 뿐 아니라, 현재까지 기계학습을 통해 밝혀진 것보다 더 정확한 기술은 존재할 수 없음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유 교수는 이번 수상의 핵심 요소인 이론적 증명의 뼈대를 제공함은 물론, 이론과 실험 양면에 걸친 결과가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에 게재되기까지 중국의 우한 대학(Wuhan University), 호주의 스윈번 대학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그리고 영국의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 (University College London) 소속 연구자들로 구성된 국제 연구팀을 이끈 뒤 해당 논문을 HUMIES 경쟁 트랙에 제출하여 금번 성과를 이루었다. 이번 HUMIES 경쟁 트랙에는 14팀이 참가했으며, 그 중 아홉 팀이 본선에서 발표를 통해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받았다. 금메달은 최근 양자 얽힘에 대한 실험 결과를 인과모델로 설명하는 데에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최적화를 사용한 시드니 대학 연구팀에게 돌아갔으며, 건축물의 트러스(truss) 구조 최적화 기술과 웹페이지 방문객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A/B 테스팅 최적화 기술이 동메달을 공동 수상하였다. ACM GECCO는 2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전 및 진화 연산 연구 분야 최대 규모의 학회이다. 13개 트랙에 걸쳐 유전 및 진화 연산, 인공 생명, 인공 면역 시스템 등의 이론과 응용을 모두 다룬다. HUMIES Award는 올해로 14회째를 맞는 경쟁 트랙으로, 유전 프로그래밍 연구에 큰 공헌을 한 전 스탠포드대학 교수 존 코자(John Koza)에 의해 만들어졌다. 참가자는 어떤 분야에서건 진화 연산 기법이 인간과 동등한 성능을 보였다는 증거를 논문을 통해 제출해야 한다. 유 교수는 진화 연산 기법을 소프트웨어 공학 문제에 접목하는 이른바 검색 기반 소프트웨어 공학(Search Based Software Engineering) 분야에서 세계적인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Read more
  • 인공지능으로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한다...KAIST, 감정 파악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으로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한다...KAIST, 감정 파악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2017년 7월 12일 전자신문에 게시된 조성호 교수 기사입니다. 기사원문: http://www.etnews.com/20170712000212

    ...Read more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