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KAIST SoC International Workshop for Education and..

    지난 7월 4일에 우리 전산학부에서는 아시아 지역 5개 대학(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of Indonesia, Hanoi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Vietnam Vational University, Hanoi, University of Philippines, Los Banos)의 학부장 및 부학부장 9명을 대상으로 KAIST SoC International Workshop for Education and Research Collaboration을 진행했다. KAIST SoC IWERC는 2018년 가을에 방문한 아시아 지역 5개 대학의 전산학 전공 학과장 또는 학부장을 초청하여 향후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하고 구체적인 연구 및 교육 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하였다.

    ...Read more
  • KAIST, ACM MobiSys 2019 개최

    KAIST 전산학부 송준화 교수는 컴퓨팅 분야 최정상급 학술대회인 ACM MobiSy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Systems, Applications, and Services) 2019 컨퍼런스의 공동 학술대회장을 맡아 6월 17일 - 21일 간 서울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호텔에서 이를 개최했다.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등 24개국에서 역대 최다 인원인 45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세계 각국의 모바일 및 IoT 분야 정상급 연구자들이 Mobile systems, AI-powered IoT, CPS 등에 관한 최신 연구를 발표하고 연구 협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올해 대회에서는 총 39편의 정규 논문과 103개의 포스터·데모·비디오가 발표되었으며, 첫날 진행된 ACM Open IoT Day에서는 Feng Zhao (CTO, Haier), Sean Ding (CTO, Alibaba IoT), Lucy Cherkasova (ARM Research) 등 글로벌 선두 기업의 임원 및 대표 연구원들이 참석하여 산업계가 당면한 IoT 기술의 과제와 비전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 MobiSys에는 KAIST 전산학부의 권영진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의 한동수, 김성민 교수님이 학회 조직위원으로서 참여하였다. 또한 이번 학술대의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학술위원 33명 중 3명이 KAIST 전산학부 박사 출신이다. (IBM 황인석 박사, Nokia Bell Labs 민철홍 박사, 서울대학교 이영기 교수) . 이와 같이 출신 대학이 같은 3명이 동시에 학술위원으로 뽑힌 경우는 학회 역사상 극히 드문 사례이다. ACM MobiSys는 ACM에서 주관하는 모바일 컴퓨팅 분야 '최정상 국제학술대회'이며 모바일연구분과회(SIGMOBILE)의 플래그십 학회이다. ACM MobiSys 2019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다음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igmobile.org/mobisys/2019/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부교수 유신,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

    KAIST 전산학부 유신 교수가 2019년 7월자로 ACM이 발행하는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 (TOSEM)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선출되었다. ACM TOSEM은 IEEE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TSE)과 함께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유일하게 SCI에 등재되어 있는 저명 학술지이다. JCR 2017 기준 IF 2.516의 높은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Google Scholar 기준 Software Systems 분야의 학회 및 학술지 순위에서 18위에 랭크되어 있다.

    ...Read more
  • 유 신 교수, 한-미 양국 한림원 주최 Kavli Frontiers of Science 심..

    전산학부 유 신 교수가 지난 6월 18일부터 20일까지 인천에서 열린 Kavli Frontiers of Science 심포지움에서 전산 및 응용수학 분야 발제자로 초청받아 강연을 하였다. Kavli Frontiers of Science (KFoS) 심포지움은 한국 과학 기술 한림원과 미국 National Academy of Science가 다양한 연구 분야에 종사하는 양국의 젋은 과학자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장을 열기 위해 2년마다 공동 개최하는 심포지움이며, 매년 분야별로 선정된 연구 주제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젊은 과학자를 초대해 다양한 과학 분과의 최신 연구 동향을 보고하는 강연으로 구성된다. 유 신 교수는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가? (Can software write software?)”라는 주제에 대해 유전 프로그래밍 분야의 최신 응용 기술을 소개하였다.

    ...Read more
  • 윤성의 교수 ICRA 2019 워크샵 진행

    윤성의 교수가 최대 로보틱스 학회인 ICRA 19에서 소리 위치 추적에 관한 워크샵을 조직해 진행했다. https://sglab.kaist.ac.kr/SSL_ICRA19/index.html 해당 연구 분야는 많은 연구자들이 있지 않은 작은 분야지만, 향후에 크게 성장할 수 있는 분야이기에 관련 연구자들끼리 교류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Read more
  • ESEC/FSE 2019 논문 채택

    ESEC/FSE 에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 논문이 채택되었다. ESEC/FSE 2019 학회는 Acceptace Rate 24.4% 인 SE 분야 최우수 학회로 https://www.conference-publishing.com/list.php?Event=FSE19 본 논문 "Target-driven Compositional Concolic Testing with Function Summary Refinement for Effective Bug Detection"은 전산학부 김윤호 연구 교수, 김문주 교수, 그리고 한동대 홍신 교수가 함께 작성한 연구논문으로, SW 시스템의 오류를 거짓 경보 없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본 논문의 핵심기술인 FOCAL을 적용하여, SIR 벤치마크 대상으로 cutting-edge 오류 검출 기술인 AFL-fast, KATCH 등보다 우월한 71% 의 대상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하였고, 널리 쓰이는 C 파싱 프로그램 12개에서, 13개의 새로운 크래쉬 오류 를 검출하여 보고했다

    ...Read more
  • ICSE 2019에서 우수논문상 수상

    Univ. of Pennsylvania 허기홍 박사, 고려대학교 오학주 교수, KAIST 전산학부 양홍석 교수가 ICSE 2019에 공동 출간한 “Resource-aware Program Analysis via Online Abstraction Coarsening”이라는 논문으로, ACM SIGSOFT Distinguished Paper Award를 수상했다. ICSE는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가장 저명한 학회이다.

    ...Read more
  • 스마트시티를 위한 크라우드소싱 실내 위치인식 기법 개발

    카이스트(총장, 신성철)는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통합 연구실(교수, 한동수)에서 스마트시티에 적용 가능한 크라우드소싱 실내 위치인식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공표하였다. 개발된 기술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서 수집된 신호를 기반으로 무선랜 신호(일명 핑거프린트)의 수집 위치를 자동으로 라벨링하는 인공지능(AI) 기법이다. 도시를 커버하는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의 구축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무선랜 신호가 존재하고 스마트폰이 사용되는 건물이라면 전 세계 어느 건물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도시, 국가 수준의 대규모 영역에서 정밀한 무선 라디오맵을 단기간 내에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건물 단위로 접근하던 기존 방식과 차이가 있다. 건물의 층을 정확하게 구분한다는 점에서도 기존의 기술에서 진일보한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수집된 무선신호를 층별로 구분하는 기법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원격지에 위치한 지하 2층, 지상 6층, 총 12만평 규모의 실내 쇼핑몰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라디오맵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5-10미터 수준의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층 분해율도 95% 이상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사람이 수작업을 통해서 구축한 라디오맵 상에서 얻어진 정확도와 비슷한 결과이다. 도시 전체의 건물에 대해서 동일한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그 동안 구글, 애플을 비롯한 주요 IT 글로벌 기업은 실내 환경에서 정확도 높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그렇지만 정확도 높은 라디오맵 구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글, 애플이 제공하는 Wi-Fi Positioning System (WPS)는 건물의 층을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이들 기업에서 도입하여 활용하면 그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의 통신사, 포탈사, 온라인 쇼핑사가 카이스트가 개발한 크라우드소싱 기술을 활용하여 라디오맵을 구축하면 해당 국가의 실내 위치인식 인프라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한동수 교수는 “대규모 무선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기업이 개발된 기술을 도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면 가까운 장래에 전 세계 대부분의 실내 공간에서도 실외처럼 5-10미터 수준의 정확도 높은 위치인식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실내 GPS가 완성된다.”라고 전망하였다. 한동수 교수는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여 정확도 높은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이 구축되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도시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실내에서 위치정보 서비스가 제공되면 실내,외 통합 내비게이션 서비스, 응급 호출 서비스와 같은 스마트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위치기반 안전 및 편의 서비스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용어 설명 크라우드소싱 불특정 다수의 사람 혹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대량으로 모으는 행위 또는 방법. 무선랜 핑거프린트 무선랜 핑거프린트는 특정 지점에서 수신된 무선랜 신호의 강도에 대한 정보로써 보통 해당 지점에 위치한 스마트폰에서 수신된 AP 신호 ID (BSSID)와 신호강호 (RSSI) 쌍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라디오맵 라디오맵은 특정 지역이나 건물의 신호 특성을 나타내는 모델로서 해당 지역이나 건물의 여러 지점에서 얻어진 무선랜 핑거프린트와 수집위치 정보로 표현된다. 무선신호 수집위치 라벨링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없이 수집된 무선신호(혹은 핑거프린트)가 수집된 위치를 태깅하는 것. 무선신호의 수집위치가 라벨링된 데이터는 라디오맵 생성에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이다. KAIST Indoor Locating System (KAILOS) 카이스트에서 개발한 개방형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 라디오맵과, 위치엔진 등이 주요 구성 요소임. 전 세계 누구든 KAILOS를 활용하여 건물의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음. 이번에 개발된 수집 위치라벨링 AI 기술은 KAILOS에 통합됨.

    ...Read more
  • HCI@KAIST 연구회, ACM CHI 2019 학회에서 다양한 활동

    KAIST 교내 Human-Computer Interaction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 커뮤니티인 HCI@KAIST의 연구자들이 HCI 분야 최고의 학술대회인 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 2019)에서 연구, 학회활동, 학술교류 등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HCI@KAIST는 전산학부가 주축이 되어 운영 중인 교내 HCI 연구 커뮤니티로, 현재 5개 학과의 20개 정도의 연구실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 5월 4~9일에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HI 2019 학회에는 3,800명이 넘는 전세계 연구자가 참석하여 700개가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HCI@KAIST연구회는 총 14개의 논문을 발표해 전세계 대학 및 연구기관 중 논문 수 기준 Top 10 내에 드는 우수한 실적을 보였다. 북미와 유럽을 제외한 대학 및 기관 중에는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논문 이외에도 6개의 포스터와 3개의 워크샵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HCI@KAIST는 연례행사로 5월 7일 저녁 KAIST Hospitality Night 행사를 개최하였다. KAIST Hospitality Night은 국제 HCI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국제 연구 협력 촉진, HCI 분야 우수 교원 유치, 학생 인턴십 기회 확대 등을 목적으로 마련한 자리이다. 전산학부와 산업디자인학과가 공동주최한 올해 행사에는 총 340명이 넘는 많은 연구자들이 참석하여 늦은 시간까지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MIT, CMU, Stanford University를 비롯한 60개 이상의 해외 대학 HCI 연구자들과 Google, Facebook, Adobe 등 기업 HCI 연구자들이 참석하였다. HCI@KAIST의 CHI 2019 학회 활동 요약은 아래의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https://sites.google.com/site/hcikaist/chi2019 HCI@KAIST의 다양한 활동은 Twitter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twitter.com/hcikaist

    ...Read more
  • 정보보호대학원 손수엘 교수 국제우수학회 WWW 2019 논문 게재및 발표

    정보보호대학원 손수엘, 김용대, 신승원 교수 연구팀은 지난 5/14-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The Web Conference 2019 학회(Previously WWW)에서 'Doppelgängers on the Dark Web: A Large-scale Assessment on Phishing Hidden Web Services’ 논문을 발표하였다. 손수엘 교수가 이끈 해당 연구에서는 다크웹의 내재된 속성 중 하나인 익명성을 악용하는 피싱 웹사이트가 상당수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피싱 웹사이트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크웹 상의 피싱 웹 사이트들이 가지는 특징들을 조사하고 이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담아낸 논문은 제시한 접근 방법의 기여도를 인정받아 전체 제출된 1247여편의 논문 가운데 225개의 논문 중 한 편으로 채택이 되었다. 또한 보안 트랙에서 Oral 발표된 5개의 논문 중에 하나로 선정되었다.

    ...Read more
  • 네트워크 분야 세계 최고 학회 IEEE INFOCOM 2019에 논문 발표

    지난 2019년 4월 29일~5월 2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네트워크 분야의 최우수 학회(Top Tier)인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INFOCOM: https://infocom2019.ieee-infocom.org/)에서 KAIST 전산학부 석사 졸업생 박경준(지도교수 김명철)이 제출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본 논문은 비디오의 각 부분마다 움직임 정도가 상이함을 인지하였고, 비디오의 각 부분에 맞는 적응적 프레임률을 적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안한 논문이다. EVSO: Environment-aware Video Streaming Optimization of Power Consumption. Kyoungjun Park and Myungchul Kim. https://infocom2019.ieee-infocom.org/accepted-paper-list-main-conference

    ...Read more
  • 공대 연구 웹진 (KAIST Breakthroughs) 11호 (Spring 2019) 전..

    공과대학 영문 연구웹진인 공대 연구 웹진 (KAIST Breakthroughs) 11호 (Spring 2019)에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와 신인식 교수의 연구 내용이 게시되었다. 차미영 교수 * Title : Using deep learning to detect fake news online * Link : http://breakthroughs.kaist.ac.kr/?post_no=1318 신인식 교수 * Title : UbiTap: Leveraging acoustic dispersion for ubiquitous touch interface on solid surfaces * Link : http://breakthroughs.kaist.ac.kr/?post_no=1317

    ...Read more
  • NDSS 2019 정보보호대학원 연구진 논문 세편 발표

    KAIST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은 이번 2019년 2월 24~27일 미국 San Diego에서 개최된 보안 분야 세계 4대 학회 중 하나인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NDSS) 국제학회에 제출한 논문 3편이 발표된다. NDSS는 올해로 26년째 되는 학회로 ACM CCS(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USENIX Security, IEEE S&P(Security and Privacy)와 더불어 국제 보안 분야의 세계 4대 학회 중 하나의 학회로 인정 받고 있다. 특히 올해는 총 제출된 논문 521편 중 89편만이 게재되었으며, 논문 채택률(Acceptance Rate)이 17%에 불과해 의미를 더하고 있다. Cybercriminal Minds: An investigative study of cryptocurrency abuses in the Dark Web 정보보호 대학원 박사과정 이승현, 윤창훈, 강희도, 김연근, 정보보호 대학원 교수 김용대, 한동수, 손수엘, 신승원 연구진이 연구를 진행하였고 해당논문에서는 다크웹 상에서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일어나는 불법 거래에 대한 규모와 특징을 조사하였다 CodeAlchemist: Semantics-Aware Code Generation to Find Vulnerabilities in JavaScript Engines 정보보호 대학원 박사과정 한형석, 석사과정 오동현, 차상길 교수의 연구진은 본 논문에서 웹브라우저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기술을 기술하였다. OBFSCURO: A Commodity Obfuscation Engine on Intel SGX 전산학부 박사과정 조병길 학생, 정보보호 대학원 신인식 교수, 서울대학교 이병영 교수는 본 논문에서 SGX 환경 위에서 보안성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난독화 기술을 제안하였다.

    ...Read more
  • 김광조 교수 IEEE Trans. on Dependable and Secure Comput..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김광조 교수는 정보보호에 관한 국제 우수 저널인 IEEE Trans. on Dependable and Secure Computing에 편집자로 선정되었다. 본 저널은 신뢰할 수 있고 보안성을 제공하는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관한 설계, 모델링, 및 평가 기법에 대한 기초 이론, 설계 방법론, 매커니즘에 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발간하는 격월지 저널로 Impact Factor가 2.926이고 H-Index가 56인 세계 우수 저널로, IEEE Computing Society가 주관하는 17개 저널 중 하나이다. 김 교수는 1982년부터 정보보호와 암호에 관한 연구에 종사한 국내 제 1 세대 암호학자로서 그 동안 우수한 연구 실적과 국제적인 지명도를 인정받아 편집자로 선정되었으며, 현재 세계암호학회(IACR) 석학회원이다. 관련 웹 페이지 https://www.computer.org/web/tdsc/about Aims & Scope of the Journal IEEE Transactions on Dependable and Secure Computing (TDSC) publishes archival research results focusing on research into foundations, methodologies, and mechanisms that support the achievement–through design, modeling, and evaluation–of systems and networks that are dependable and secure to the desired degree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The focus also includes measurement,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iques, and foundations for jointly evaluating, verifying, and designing for performance, security, and dependability constraints. The IEEE Computer Society sponsors more than 200 technical conferences and events each year, including the industry-oriented "Rock Stars" series, all over the world, aimed at research and industry professionals. Our publications are peer-reviewed, indexed, and authored by technology thought leaders worldwide, and include 17 scholarly journalsand 13 magazinesfeaturing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Read more
  • “내 뜻대로 움직여요!”…환자 의지까지 예측하는 로봇손 개발

    장애로 손을 쓸 수 없는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과 관련하여 KAIST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 연구팀의 언론기사 입니다. https://ytn.co.kr/_ln/0105_201902010236590670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30095&ref=A

    ...Read more
  • 김문주 교수, ICSE 2019 SE in Practice (SEiP) 논문 채택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학회인 ACM/IEEE ICSE Software Engineering in Practice (SEiP) 트랙에 우리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의 논문이 채택되었다. 본 논문 "Automated Test Generation to Achieve High Test Coverage with Reduced Human Effort in the Automotive Industry"은 전산학부 김윤호 연구 교수와 김문주 교수가 현대 모비스와 함께 작성한 연구논문으로, 차량용 SW 자동 테스팅 도구인 MAIST를 개발/적용하여, 현대 모비스 차량용 SW (Integrated Body Unit) 를 자동으로 테스팅 하여, 분기 커버리지 90%를 달성하면서 SW 테스팅 시간 및 비용을 절반 이하로 줄였다. 본 연구 성과는 조선일보, 매일경제, 연합뉴스 등 주요 언론 매체에 게재 되었다. https://m.yna.co.kr/view/AKR20180720158800003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2/2018072200441.html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460304

    ...Read more
  •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세계 최고 학회인 ACM POPL 2019에 논문 발표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세계 최고 학회인 ACM POPL 2019에 KAIST 전산학부 석사과정 박경희, 학사과정 홍재민 학생과 류석영 교수가 Oracle 연구소의 Guy L. Steele Jr. 박사와 작성한 논문 “Polymorphic Symmetric Multiple Dispatch with Variance” 가 채택되었다.

    ...Read more
  • MARS 인공지능 통합연구센터, KAIST AT NeurlPS 2018 행사 개최

    기계학습 분야의 최고 국제학회인 NeurlPS가 열린 지난 5일 (캐나다 현지 시각)에, MARS 인공지능 통합연구센터와 우리 학부가 ‘KAIST AT NeurlPS 2018’ 행사를 개최했다. 본 행사는 해외 인공지능 연구자와의 교류와 우리 학부의 연구 성과 홍보를 위해 기획되었다. 지난 3일-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NeurlPS 2018 학회에는 전세계 연구자가 참석하여 1000개가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우리 학부에서는 총 6개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 중 하나는 Spotlight의 영예를 얻었다. 우리 학교의 다른 학과에서도 총 7개의 논문(3 Spotlight)을 발표했다. 우리 학부와 전기및전자공학부가 참여하고 있는 MARS 인공지능 통합연구센터(http://ml.kaist.ac.kr/)는, 위와 같은 연구 성과를 홍보하고 해외의 유수한 인공지능 연구자와 교류하기 위해 ‘KAIST AT NeurlPS 2018’ 행사를 열었다. 본 행사에서는 우리 학교 외에도 MIT, Oxford, Univ. of Michigan, Univ. of Toronto 등의 해외 대학, Google, Naver, NVIDIA 등의 기업,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의 국내 대학에서 100여 명의 기계학습 연구자가 참석했다. NeurlPS 2018에서 발표된 논문과 행사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아래의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ml.kaist.ac.kr/neurips2018

    ...Read more
  • KAIST, 차세대 바이너리 분석플랫폼 B2-R2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총장 신성철) 전산학부 차상길 교수와 랩 학생들은 지난 3년간 사이버보안연구센터(센터장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김용대)와 함께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바이너리 코드의 취약점 분석 및 탐지 시스템에 대한 기술인 일명 B2-R2를 개발하였다. B2-R2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과제인 ‘바이너리 코드 분석을 위한 자동화된 역공학 및 취약점 탐지 기반 기술 개발’의 성과 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 보안취약점 분석 ▲악성코드 분석 ▲난독화 해제 ▲보안 패치 ▲익스플로잇 자동 생성 등 다양한 컴퓨터 보안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 원천 기술이다. B2-R2 시스템은 해외에서 개발된 바이너리 분석시스템과 비교하여 ▲시스템의 활용성(Windows, Linux, Mac, 안드로이드, iOS등 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가능)이 높으며 ▲최소 2배에서 100배에 이르는 분석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최신 함수형 언어인 F#을 사용하여 분석의 용이성을 극대화 하였고 ▲32개의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연동을 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내 최초의 바이너리 코드 분석 시스템일 뿐 아니라 해당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의 BAP, UCSB의 Angr등을 뛰어넘는 분석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지난 12월 4일 ‘차세대 바이너리 분석 플랫폼 B2-R2 기술설명회’를 통해 알려진 바이너리 분석 기술의 중요성은 지난 2016년 미(美) 국방성(DARPA) 주최로 개최된 세계 최초의 컴퓨터 간 해킹 공격·방어 대회(Cyber Grand Challenge, CGC)를 통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해당 대회는 악성코드, APT공격, DDoS 공격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이 인간 해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AI 기반의 기계 해커가 출현할 수 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정보보호 패러다임 변화를 준비하는 핵심기술로 이해할 수 있다. 차상길 교수는 미국에서 열린 CGC대회의 우승 시스템인 메이헴(Mayhem)의 핵심 엔진을 설계한 주 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 11월 30일에 열린 CGC의 한국판 대회인 '2018년 정보보호 R&D 데이터 챌린지 AI기반 취약점 자동탐지'분야에서 압도적인 점수차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해당 대회에서 사용한 시스템의 중심에는 차상길 교수가 KAIST 학생들과 3년간 직접 개발한 B2-R2 기술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번 기술 설명회와 국내 관련 대회 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을 넘어서는 ‘AI기반의 취약점 자동 탐지 및 대응’ 분야의 핵심 기술을 KAIST 차상길 교수 연구팀이 확보한 것으로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홍재민, APLAS 2018 국제학회에서 Student Res..

    KAIST 전산학부 학사과정 홍재민(지도교수 류석영) 학생이 지난 12/3-5일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열리고 KAIST가 지원한 국제학회인 APLAS (Asian Symposium on Programming Languages and Systems) 2018에서 대학원생들과 함께 참여한 Student Research Competition에서 ‘Path Dependent Types with Path-Equality’에 관한 논문으로 2등상을 수상했다. 홍재민 학생은 지난 9/28일 미국 세인트 루이스에서 열린 ACM SIGPLAN Symposium on Scala, 2018에서 이 논문을 발표했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이성호, OOPSLA 2018 국제학회에서 우수 AE 리뷰어상..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이성호(지도교수 류석영) 학생이 지난 11/7-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전산학부 S급 국제학회인 OOPSLA (Object-Oriented Programming, Systems, Languages, and Applications) 2018에서 Artifact Evaluation의 리뷰어 중 우수 리뷰어로 선정되어, Distinguished Artifact Evaluation Committee Member Award를 수상했다.

    ...Read more
  • APLAS 2018 국제학회 개최 (KAIST 후원, 류석영 교수 Program Chair..

    KAIST가 Gold Sponsor로 지원한 국제학회인 16번째 APLAS (Asian Symposium on Programming Languages and Systems)가 2018년 12월 3일-5일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개최되었다. KAIST 전산학부의 류석영 교수가 프로그램 체어로 세계적 연구자인 Amal Ahmed (Northeastern University, USA), Azalea Raad (MPI-SWS, Germany), Bernhard Scholz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세 강연자를 초청하고, 2박 3일간 논문 발표와 포스터 세션, 12월 2일, 12월 6일의 웍샵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Read more
  • 박진아 교수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cal Imaging..

    KAIST 전산학부 박진아교수는 지난 10월 26~28일 미국 볼티모어에서 개최 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cal Imaging and Case Reports 2018에서 “Hippocampal Morphology Study based on Progressive Template Deformable Model”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였다. 이번 행사에는 23개국의 48기관에서 70여명이 참석하였고, 기조강연자로 Harvard Medical School의 Martha Shenton 박사, MIT의 Polina Golland 교수, Johns Hopkins University의 Michael Miller, Jeffery Siewerdsen 교수 등 특히 의료영상과 임상분야에서 영향력이 있는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다수 초청된 행사였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유신 교수,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신진 연구자 15..

    전산학부 유 신 교수가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진 연구자 15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이 결과는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학술지에 2018년 10월에 발표된 SE분야 문헌 연구(Karanatsiou et al., https://doi.org/10.1016/j.jss.2018.10.029)에 따른 것으로, 2010년부터 2017년 사이 우수 저널 및 학회에 발표된 14,456편의 논문 및 피인용지수를 바탕으로 집계되었다.

    ...Read more
  • 프로그래밍언어 분야 세계 최고 학회 ACM POPL 2019에서, 10년전 논문 중 가장 ..

    Facebook 소속 Cristiano Calcagno, Dino Distefano, Peter O’Hearn 교수들과 함께, KAIST 전산학부 양홍석 교수가 ACM SIGPLAN Most Influential POPL Paper Award를 수상했다. 프로그래밍언어 분야 세계 최고 학회인 POPL에, 10년 전에 출간한 논문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논문 저자에 주는 상이다. 양홍석, Calcago, Distefano, O’Hearn 교수가 POPL 2009에서 출간한 “Compositional Shape Analysis by means of Bi-abduction” 논문의 공로로 상을 수상했다. 논문에 기술된 연구에 대한 정보는 아래 Facebook Research 기사에서 찾을 수 있다. https://research.fb.com/popl-2019-most-influential-paper-award-for-research-that-led-to-facebook-infer/

    ...Read more
  • 김민혁 교수, 2018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김민혁 교수, 2018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발표한 '2018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우리 대학 교수 6명이 선정됐다. 수상자는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박병국 교수, 의과학대학원 김호민 교수, 생명화학공학과 이재우 교수,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이다.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는 정보·전자 분야 우수성과에 선정됐다. 극사실적 영상 획득을 위한 고성능 영상처리 기술을 개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김일두 교수는 기계·소재 분야 최우수 성과에 선정됐다. 자기조립 유기체 복합촉매 커플링 기반의 초고감도 가스센서 플랫폼소재를 개발한 공을 인정받았다. 박병국 교수도 기계·소재 분야 우수성과에 선정됐다. 열로 스핀전류를 얻는 소재기술을 개발했다. 의과학대학원 김호민 교수는 생명·해양 분야 최우수성과에 선정됐다. 시냅스형성을 조절하는 핵심단백질의 3차 구조와 분자기전을 규명했다. 이재우 교수는 에너지·환경 분야 우수성과에 선정됐다.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한 고부가가치 탄소 물질 합성 기술을 개발한 공을 인정받았다. 최경철 교수는 정보·전자 분야 우수성과에 선정됐다. 옷 위에 구현된 부드러운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우수성과로 선정된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증서와 현판이 수여된다. 선정된 6명의 교수에게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포상(훈·포장,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등) 후보자로 추천되고, 신규 연구개발(R&D) 과제 선정에서 우대받게 된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양은호, 황성주 교수 연구실 공동으로 NIPS 2018에 우수 논문 3..

    KAIST 전산학부 양은호, 황성주 교수 연구실 공동연구로 “DropMax: Adaptive Variational Softmax”, "Uncertainty-Aware Attention for Reliable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Joint Active Feature Acquisition and Classification with Variable-size Set Encoding” 세 편의 논문을 세계적으로 최우수 학회인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NIPS) 2018 (acceptance rate:20.8 %) 발표했다. 발표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DropMax: Adaptive Variational Softmax]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중클래스 분별에 적용되는 Softmax 함수에 Dropout 테크닉을 적용하여 분별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각 학습 분기 마다 전체 클래스의 부분집합이 학습된 Dropout 확률에 따라 임의로 샘플되어 분별이 수행된다. 이는 서로 다른 분별기의 앙상블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또한 서로 헷갈리기 쉬운 클래스들끼리 더 많이 비교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딥 베이지안 기법을 통해 이러한 확률적인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과 추론이 가능하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각 클래스 당 타겟 레이블일 확률, 즉 Dropout 마스크를 각 입력 인스턴스 별로 다르게 생성하도록 유도하고 그 값들을 정확히 추론하는 것이 성능 향상에 중요함과, 그로 인해 더 안정적인 학습과 추론이 가능함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Uncertainty-Aware Attention for Reliable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기존의 심층 신경망은 예측 모델의 심층 학습 과정에서 불확정성을 고려할 수 없어 학습 모델이 잘못된 상황을 예측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데이터와 모델 자체에서 존재하는 불확정성으로 인해 잘못된 예측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Uncertainty-Aware Attention for Reliable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논문은 기존의 불확정성(Uncertainty)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와 모델 condition을 파악하여 input-adaptive한 유기적 학습이 가능한, 불확정성을 고려하는 주의 집중 메카니즘(Uncertainty-Aware Attention Mechanism, UA)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UA 프레임워크를 통해, 최신 기계 학습 알고리즘 성능 대비, 모델 예측 성능과 불확정성이 보정된 정확한 모델 해석 능력 능력이 비약적으로 뛰어남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Joint Active Feature Acquisition and Classification with Variable-size Set Encoding 본 논문에서는 병의 진단과 같이 분류 (Classification)를 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비용 (예: 검사비용) 이 드는 상황에서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정책을 학습하는 문제를 다룬다. 환자들을 진단할 때 모두 같은 종류의 검사를 진행하여 진단하기 보다는 각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검사를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가진 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동적 피쳐 획득 정책과 분류모델을 공동 학습한다. 이를 위해, 분류성능과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비용을 모두 고려하는 목적함수를 정의하고, 심층 강화학습을 이용한 피쳐 획득 정책과 분류 모델의 공동 학습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합성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정적인 피쳐 획득방법이나 기존의 선행 연구에 비해 비용 효율적인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Read more
  • KAIST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통합(ISI) 연구실과 글로벌 H사, 글로벌 실내위치인식 시..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연구실(지도교수 한동수)이 글로벌사인 H사와 글로벌 실내위치인식 시스템 (Global Indoor Positioning System) 개발을 위한 국제 산학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기술이전과 함께 진행되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글로벌 H사는 카이스트에 40만불을 지원할 예정이다. 2014년 KAIST Indoor Positioning System (KAILOS)를 개발하여 일반에 공개하고 있는 ISI 연구실은 최근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얻어진 무선신호의 수집위치를 자동으로 라벨링하는 크라우드소싱 AI 기법을 개발한 바 있다. 이번 국제 공동 프로젝트에서는 카이스트가 보유하고 있는 크라우드소싱을 활용한 위치 라벨링 AI 기법을 상용화 수준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H사는 카이스트가 개발한 시스템을 자사의 제품에 탑재하여 상용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1년 동안 진행될 H사와의 국제 산학 프로젝트를 지휘할 한동수 교수는 “카이스트가 개발한 기술이 국내 기업에 앞서 해외 기업을 통해서 상용화 시도가 이루어지게 되어서 아쉽다. 위치 서비스에 대한 국내의 규제가 지나치게 엄격하여 초래된 결과다.”라고 하였다. 또 한동수 교수는 “카이스트가 개발한 기술에 대해서 글로벌 기업이 인정하고 상용화를 위한 산학 프로젝트를 의뢰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지 않으면 쇠퇴하고 소멸한다. 향후에도 실내 위치인식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국제 산학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라고 하였다.

    ...Read more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