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허재필 (박사과정) 인터뷰

2014-08-27

(1) CS에 언제 어떠한 과정으로 join 하였나?
제가 CS를 선택하게 되기까지에는 여러 고등학교 선배님들의 영향이 컸습니다. 과학고를 입학하고 보니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컴퓨터, 천문 중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과목의 심화학습을 하는 학풍이 있었습니다. 당시 동기 친구들에 비해서 선행학습, 공부 요령이나 습관 등의 준비가 부족했던 저에게 뭔가 새로운 분야인 컴퓨터 공부가 매력적으로 느껴졌습니다. 게다가 자습시간에 공식적으로 컴퓨터를 할 수 있다는 것도 선택에 큰 부분을 차지 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컴퓨터 공부를 하리라 결정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전혀 몰랐었습니다. 끙끙대던 제 주변에는 운 좋게도 훌륭한 선배님 들이 계셨고 저를 잘 이끌어 주신 덕분에 시행착오 없이 올바른 방향으로 공부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선배님들께서 저에게 도움을 주셨고, 그 중 특히 저에게 기초 알고리즘들과 다양한 문제해결 기법을 전수해주신 한 선배님을 만난 것은 정말이지 행운이었습니다. 선배님의 가르침을 받으며 하나씩 배워가던 2003년 이른 겨울 그 때의 희열을 아직 잊을 수 없습니다. 일년 뒤 KAIST에 입학하게 되었고, 저는 자연스럽게 CS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2) CS에 오기 전까지의 Academic Path?
저는 경남과학고를 2002년에 입학하여 2년 수료하고, 2004년에 KAIST에 입학하여 CS를 전공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8년에 KAIST 석사, 2010년에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윤성의 교수님 지도 아래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3) 어렸을 때 꿈이 무엇이었나? 지금 그 꿈을 어떻게 이루어가고 있다고 생각하나?
아이에게 꿈이 뭐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장래희망직업을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저는 꽤 조숙했던 모양입니다. 초등학교 방학숙제로 제출했던 나의 꿈이라는 글에는 이렇게 써 있었습니다. 내 꿈은 나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먹고 살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다. 제 앞가림 하나 하기에도 벅찬 지금의 저로서는 참으로 부끄럽고 한편으로는 대견한 어릴 적 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지금 어떻게 이루어가고 있냐고 물으시면 참 창피해집니다만, 그럴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더 정진해야 하겠습니다.

(4) 자신의 장점은 무엇인가?
저는 잘 웃는 편입니다. 그런데 이런 장점을 말하라는 건 아닌 것 같고 CS에 관련된 내용을 써야 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저는 제가 공부하고 있는 분야에서 기존에 있어왔던 문제 해결법에 비해서 조금 독특한 접근법을 잘 생각해 내는 편인 것 같습니다. 물론 검증을 거치면 대부분 좋지 않은 아이디어라고 판명이 나고, 기존에 왜 그런 방법을 취하지 않았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주 가끔 쓸만한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한답니다.

(5) 현재 CS에서 가장 열정적으로 하고 있는 일은?
저는 이미지 검색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주어진 이미지와 비슷한 것들을 찾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대규모 데이터에 대해서 scalable한 검색 방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열정적으로 하고 있는 것은 학계의 기존 방법들 대비 더 정확하고 빠른 검색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 구현, 실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문을 쓰는 것입니다.

(6)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어떠한 가치가 있고 장래가 있다고 생각하나?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검색이 문자 위주이지만, 이미지를 통한 검색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활용도가 차차 더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NS와 인터넷 상의 이미지의 숫자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휴대용 기기로부터 쉽게 디지털 이미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공부하고 있는 대규모 이미지 검색은 이런 흐름에 중요한 연구라고 생각하고 그 발전에 기여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7) CS에 있으면서 가장 행복했던 때는 언제인가? 실망했던 경험은?
이미지 검색 분야로 처음 제출한 논문이 최고수준의 학회에 승인되었을 때가 가장 행복했던 순간입니다. 저는 석사 때부터 컴퓨터 그래픽스를 공부하다 박사과정 중에 주제를 변경하여 부담감이 꽤 컸던 터라 그 기쁨도 더 컸던 것 같습니다. 가장 실망했던 때는 제가 진행하고 있던 연구와 같은 내용의 논문이 나왔을 때 입니다. 아이디어부터 구체적 알고리즘, 실험결과까지 너무 똑같았던 터라 아주 많이 속상했던 기억이 납니다. CS의 아주 빠르게 발전하는 특성 상 이런 경우가 꽤 있다고 합니다. 결국에는 논문 하나 하나에 울고 웃는 대학원 생활입니다.

(8) CS의 가장 좋은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CS는 빠릅니다. 제가 생각하는 CS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빠름입니다. 변화와 발전의 속도가 빨라 항상 배워 익혀야 할 것이 풍부하고 또 그만큼 긴장감을 늦출 수가 없습니다. 이는 분명 양면성이 있지만 아직까지 저는 에너지가 있기에 매력으로 다가 옵니다. CS의 많은 분야에서는 학회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럼에 논문에 대한 검증과정 역시도 빠릅니다. 논문 제출, 평가 의견과 결과의 전달, 그리고 연구 결과물의 공유와 논의의 장이 학회 시스템을 통해 정해진 일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런 CS의 빠름 문화가 좋습니다.

(9) CS에 join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은?
아직 제가 CS를 지망하는 후배님들께 조언을 해드릴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바를 감히 주제넘게 말씀 드리려 합니다. 앞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CS는 빠르기 때문에, 우리가 체득해야 할 것은 단편적인 지식들보다도 새로운 것을 빠르게 배우고 적응해 나가는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나아가 새로운 것으로부터 더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까지 배양한다면 더할 나위 없다고 생각합니다.

(10) 향후 계획은 어떠한가?
먼저 이렇게 글을 쓸 수 있도록 기회를 주셔서 감사 드리고 또 읽어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현재는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가장 먼저 이루어야 하는 목표입니다. 그 후의 계획을 아직 구체적으로 정하지는 못하였습니다. 연구를 계속해서 이어 나가는 진로와 제가 익힌 것들을 바탕으로 산업계에 작게나마 기여 할 수 있는 진로 둘 모두에 가능성을 열어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