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동문소식] 신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에 한선화 박사 선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에 한선화 KISTI 첨단정보연구소장이 9월 12일 선임됐다. 한선화 신임 원장은 1982년 한양대 화학공학과, 1987년 성균관대 정보공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전산학 석·

  • Robot Motion Planning and Applications

    윤성의 교수님이 CS686 “로봇 경로 생성 및 응용”이란 새로운 수업을 최근에 만드셨습니다. PC와 핸드폰이 없는 환경을 생각하기 어렵듯이, 근 미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로봇들이 우리 삶의 일부분을 차지할 것입니

  • Makao Talk: 김동환, 장태순, 전철호 인터뷰

    1. CS에 언제 어떤 과정으로 join하게 되었나? 장태순: 카이스트 합격 이후 처음으로 프로그래밍을 접했고, 무학과 과정 중에도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했어요. 1학년 2학기까지도 고등학교 때부터 전공하기로 마음먹었던 화학과 진학을

  • SW 특성화 교육

    카이스트 전산과가 NIPA의 학부 프로그램 개선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주로 학부 교육의 전공 교육의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시설 개선, 학부생 경제적 지원과 해외연수 등의 학부생들을 위한 많은 혜택이 있습니다.

  • 초분광 3차원 영상 측정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김민혁 교수] 3차원 영상시스템은 제조업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제품 검사부터, 영화, 광고, 그리고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3차원 영상 시스템은 삼원색의 색

  • 가상현실기반 치과 훈련 시뮬레이터

    [박진아 교수] 치과시뮬레이터는 크게 마네킹기반, 가상현실기반 시뮬레이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가상현실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터가 늘어나고 있다. 가상현실기반 치과 시뮬레이터는 마네킹기반 시뮬레이터에 비

  • Internet of things and system software

    [김대영 교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의 용어와 개념은 GS1의 국제 공동 협력 연구소인 Auto-ID Labs, MIT 의 Kevin Ashton에 의해 1999년 처음으로 소개되었습니다

  • 나노 스케일 공정에서의 컴퓨팅 시스템 신뢰성 향상

    [김순태 교수] 반도체의 성능과 집적도를 높이고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반도체 생산공정은 점점 더 미세화되고 있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의 크기, 공급 및 문턱 전압(supply voltage, threshold voltage

  • 온코서치: 암과 유전자에 대한 의미 있는 관계를 생물의료 문헌정보로부터 검색하는 웹툴

    [박종철 교수] 온코서치(http://oncosearch.biopathway.org)는 사용자가 암에 관련된 유전자를 생물의료 문헌정보를 통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웹툴로서 발암기작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검색

  • 고물리성 터치 인터페이스

    [이기혁 교수] 터치 인터페이스는 이제 정보가전의 사실상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는 전통적인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비해 더욱 직접적이고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지만, 우리가 실제 세계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프로세서 디자인

    [허재혁 교수] 오늘날의 컴퓨팅 환경은 기존의 퍼스널 컴퓨터(PC) 환경에서 넘어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으로 페러다임 전환이 발생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스마트 디바이스 출현과 빅 데이터 분석 등

  • 허재필 (박사과정) 인터뷰

    (1) CS에 언제 어떠한 과정으로 join 하였나? 제가 CS를 선택하게 되기까지에는 여러 고등학교 선배님들의 영향이 컸습니다. 과학고를 입학하고 보니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컴퓨터, 천문 중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과목의 심

  • 이경엽 (석사과정) 인터뷰

    (1) CS에 언제 어떠한 과정으로 join 하였나? 2012년 가을 대학원에 진학하며 CS로 오게 되었습니다. (2) CS에 오기 전까지의 Academic Path? KAIST에서 학부 전기 및 전자 공학과 전공, 경영 과

  • 유민정 (학부과정) 인터뷰

    1. CS에 언제 어떠한 과정으로 join 하였나? 처음 CS를 접하게 된 것은 대학교 1학년 때 수강했던 '프로그래밍 기초' 라는 수업을 통해서였습니다. 프로그래밍 숙제를 하면서 제가 직접 짠 코드에 따라 로봇들이

  • 손희석 (박사과정) 인터뷰

    (1) CS에 언제 어떠한 과정으로 join 하였나? 전산학과는 제 인생에 있어 굉장히 '의외의' 선택이었습니다.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에는 그냥 수학과 화학을 좋아하는 일반적인 대한민국의 고등학생이었을 뿐, 프로그래

  • CPSNA 2014 Best Paper Award

    Cyber-Physical Systems 분야의 국제학회인 CPSNA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Physical Systems, Networks, and Applications)에서 신인식

  • ACM SIGMOD 공로상 수상

    우리 전산학과 황규영 특훈교수가 ACM SIGMOD 공로상을 수상했다. 황 교수는 전 세계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발전을 위해 헌신적이고 지속적인 공헌과 리더십으로 이 상을 수상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분

  • 지능형 SOC 로봇 워 준우승

    SW대학원 재학생(우준희, 조동현, 민경직, 하헌관,조익찬, 팀명: 카이스트론) 지능형 SOC 로복 워 대회에서 아래와 같이 수상을 했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대회일자: 2014.8.1-8.3 &bu

  • ACM MobileHCI 2014, Honorable Mention Award

    송준화 교수 연구실에서 ACM MobileHCI 2014 학회 Honorable Mention Award 를 아래와 같이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 학회: International Con

  • UCAWSN 2014, Best paper 수상

    윤현수 교수님 연구실에서 국제학술대회 The 2nd FT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Computing Application and Wireless Sensor Network (UCAWSN

  • 황규영 특훈교수, ACM SIGMOD(데이터베이스 최고 학회) 공로상 수상

    우리 전산학과 황규영 특훈교수가 ACM SIGMOD(데이터베이스 최고학회) 공로상을 수상했다. 황 교수는 전 세계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발전을 위해 헌신적이고 지속적인 공헌과 리더십으로 이 상을 수상했다.

  • 김민혁 교수, ACM 트랜잭션 온 그래픽스 부편집자 선임

    우리학과 김민혁 교수가 미국 컴퓨터학회(AC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가 발간하는 트랜잭션 온 그래픽스 저널(Transactions on Graphics, TOG)의 부편집자(Associat

  • 최기선 교수, Eugen Wuster Prize 수상

    [최기선 교수] 독일표준화연구소가(DIN) 베를린에서 주최한, 2014 국제전문용어및지식공학회(TKE)의 폐막식 행사에서, 우리 KAIST 전산학과의 정교수이자, 한국전문용어언어공학연구센터(KORTERM)의 소장인, 최기선 박사가,

  • 전산학과 학사과정 류원하 “경량고속 블록암호 LEA 구현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 수상

    지난 6월 12일 한국정보보호학회와 한국암호포럼이 공동 주관하고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한국인터넷 진흥원이 공동 주최하는 2012년 국가보안 기술 연구소에서 개발한 경량고속 128 비트 블록암호 LEA (Lightweight Encryp

  • 박정우 박사과정, 글로벌박사펠로우십 선정 [­지도교수:김순태]

    전산학과 박정우 학생 (지도교수 김순태)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글로벌박사펠로우십에 선정되었다. 연구과제명은 "L2 캐쉬의 에너지 감소를 위한 동적 의사 연관 캐쉬"로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L2 캐쉬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논리적으로 L2 캐쉬의 associativity를 증가시키는 아키텍처를 제안했다. 전체 200명이 인문, 자연과학, 공학, 치의학 등 전 학문 분야에서 선정되었다.

  • 2014년도 도약연구 및 핵심연구 과제 선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우수연구자를 중점 육성하고 기초연구성과의 질적 향상으로 창조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2014년도 상반기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2014년 도약연구 신규과제에 우리학과 문수복 교수님께서 선정되셨고 핵심 연구에 김순태, 류석영, 윤현수 교수님께서 선정되셨습니다. 선정되신 교수님 축하 드립니다∼

  • 암 관련 유전자에 특화된 검색 엔진 개발

    [박종철 교수] 국내 연구진이 암 관련 유전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특화된 검색 엔진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카이스트(KAIST) 전산학과 박종철 교수 연구팀이 지스트(GIST) 이현주 교수와

  • 황규영 특훈교수, PAKDD 국제학술대회 최고 공로상 수상

    우리 전산학과 황규영 특훈교수가 지난 13일∼16일 대만 Tainan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권위 데이터마이닝 학술대회인 PAKDD(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

  • 제33회 한국정보과학회 학생논문경진대회 우수상 및 장려상 수상

    우리학과 홍신, 박용배 학생(지도교수: 김문주)이 제33회 한국정보과학회 학생논문경진대회에서 "우수상" 을, 이성호 학생(지도교수: 한태숙)이 "장려상"을 각각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김광조 교수 국제정보처리연합에 한국대표로 임명

    우리 전산학과 김광조 교수가 과거 30년간 국제적인 정보보호와 암호에 관한 연구 및 학문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제정보처리연합(IFIP,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T

  • 박태우 박사(지도교수: 송준화 교수), 미시간 주립대에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과 졸업생 박태우(공동 지도교수 전산학과: 송준화, 지식서비스공학과: 이의진)박사가 미시간 주립대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소재) 에 조교수 임용이 결정 되었습니다. 박

  • 대한민국 인터넷의 대부(代父)

    [전길남 교수] 美 이어 세계 2번째로 인터넷 기술 개발한 전길남 박사 'IT 코리아' 초석을 놓다...해외 과학자 유치에 부응해 NASA에서 가난한 조국으로 먼저 성공한 건 인터넷 연결, 이어 컴퓨터

  • HCI Korea 2014 수상

    우리 전산학과 김석열(지도교수: 박진아) 씨의 연구 논문이 HCI 2014 Korea에서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명 : 논문 구두발표 우수 • 논문명 : 실시간 햅틱 상호작용을 위한 통합 입자 모델 기반의 유체 및 용해성 강체 시뮬레이션 • 발표자명 : 김석열, 박진아 • 발표유형 : 구두

  • 박태우 박사과정, ACM CHI 2014 Honorable Mention Award 수상

    우리 전산학과 박태우 박사(지도교수: 송준화) 외 5분의 저자가 참여한 논문이 ACM CHI 2014 Honorable Mention Award 를 수상 하였습니다. CHI 컨퍼런스는 MS Academic Search, Top

  • SK creative challenge 최우수상 수상

    SK Creative Challenge 최우수상 수상 한국 최대의 융합 학술대회인 HCI 2014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SK Creative Challenge: 웨어러블 UX’ 경연대회에서 전산학과 박사과정

  • 2014년 제43주년 개교기념일 학과 수상자

    2014년 개교 43주년을 맞이하여 학교의 기념 포상에 우리학과 수상자 입니다∼ - 학술상: 문수복 교수 - 우수 강의상: 박진아 교수 - 장기근속표창: 20년근속: 정진완 교수, 행정팀 박은영 - 10년근속: 고인

  •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학술상)

    우리 전산학과 허재혁 교수가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학술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2-15 • 수상명: 2013년 개교 제42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학술상) • 주관기관: KAIST

  • 정보과학회 제32회 학생논문경진대회 대학생논문상

    우리 전산학과 석사과정 박용배 (지도교수: 김문주) 연구논문이 대학원생논문상을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06-27 • 수상명: 정보과학회 제32회 학생논문경진대회 대학생논문상 • 주관기관: 한국정보과학회 • 논문명: 크로스 브라우저 프로파일링을 통한 웹 어플리케이션 성능 버그 탐지

  • Best Paper Award

    우리 전산학과 박사과정 정영섭 (지도교수: 최호진) 연구논문이 ISIS 2013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수상일: 2013-11-14 • 수상명: Best

  • 2013년 대한민국 창조경제 대상 (국무총리상)

    우리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가 2013년 대한민국 창조경제 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하였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 수상일: 2013-11-21 • 수상명: 2013년 대한민국 창조경제 대상 (국무총리상) • 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