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s
Google’s 2015 Global PhD Fellows 선정
KAIST 전산학과 박사과정 우신애(지도교수 문수복) 학생이 2015 Google PhD Fellow로 선정되었다. Google PhD Fellowship program은 올해로 7년째 이어져오는 전산관련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를
유신, 지글러마틴 교수 부임
우리 전산학부에 2015년 8월 1일, 유신 교수님, 8월 17일 지글러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유신 교수님은 PhD in Computer Science, King’s College London, 2
건물안까지 정보까지 훤히… '내시경 내비'등장건물안까지 정보까지 훤히… '내시경 내비'등장
우리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실에서 방문자의 이름이나 건물 내 방 번호 등을 입력하면 도착할 때까지 실내외 길 안내 서비스를 해주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인 '캠퍼스 아틀라스'를 개발에 따른 기사문을 안내 드립니다.
2015 전산학부 가을산행 및 바베큐 파티(9/12(토)
전산학부 전체가 함께하는 가을산행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구성원(교수, 학생, 직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15.09.12(토), 11:30-19:00 2. 장소 : 계족산
중경양강카이스트국제프로그램 수료식
중경이공대학과 KAIST가 공동으로 협력 추진하였던 "중경양강카이스트국제프로그램"의 중경이공대학 교원 KAIST 방문 연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8월 18일 전산학부교수회의실에서 수료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2015 LG CNS 해커톤 수상 축하
KAIST 전산학부 학사 11학번 동기 세 명으로 이루어진 팀 Tripuler(이세라, 이용선, 전현기)가 지난 8월 21일부터 무박 2일동안 진행된 2015 LG CNS 해커톤'에서 대학생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이날 행사에
전산학부(E3-1) 자전거보관소 설치공사 완료
변경전 변경후 우리 전산학부(E3-1) 앞에있는 자전거거치대와 오토바이 보관소 개선공사를 아래와 같이 완료 했습니다. 전산학부 출입구의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ed Sof..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증 연구실(지도교수 : 김문주)에서 정보과학회 최우수 학술대회/전산학과 S 등급 국제학회인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ed Software Engineerin
논문(류석영 교수 연구실) Best Artifact Award 수상
국제학회 CS S급 학회인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의 ECOOP (European Conference on Object-Oriented Programming) 학회에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 연구실에서 제출했던 논문이 Best Ar
이성주 교수, 분산컴퓨팅시스템학회(ICDCS) 최우수 논문상 수상
우리 대학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가 지난 6/29-7/2에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세계전기전자공학연합회 (IEEE) 주최로 진행된 제35회 분산컴퓨팅시스템 학술대회 (ICDC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AIST 전산학부 소프트웨어대학원 석사과정 우준희, 최진만, 조익찬, 하헌관 2015 대..
KAIST 전산학부 소프트웨어대학원 석사과정 Scamper팀(우준희, 최진만, 조익찬, 하헌관)이 지난 7월2일(목) ‘2015 대한민국 과학기술연차대회’ 중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2014 행
이성주 교수, 컴퓨터통신학술대회(INFOCOM) 프로그램위원장 선임
우리 대학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가 미국전기전자공학회 컴퓨터통신학술대회(IEEE INFOCOM)의 프로그램위원장에 선임됐다. 지난 1982년 시작된 컴퓨터통신학술대회는 인터넷, 무선, 데이터센터 등 컴퓨터 통신에 관한 다
디지털 이미지 위조 쉽게 잡는다
우리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 연구실에서 육안으로 판단이 어려운 디지털 이미지의 위조 및 변조를 식별할 수 있는 웹 서비스를 개발하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디지털 이미지 조작탐지 웹 서비스를 'http://forensic.kaist.
부활하는 컴퓨터학과…대입 합격선 자연계 최상위권 '수직상승'
● 부활하는 컴퓨터학과 … 대입 합격선 자연계 최상위권 ‘수직상승’ 기사문 입니다. 보도언론사 : 한국경제 > 종합 05면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2630831
Best Student Paper Award(첨단네트워크 연구실 EuroSys 2015 ..
우리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님 연구실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를 수상했습니다.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학회 : EuroSys 2015 (ACM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
˝머리에 쓰고 버튼만 누르면 치매 완화 효과˝
우리 전산학부 김성훈 박사(지도교수: 김대영)가 CIO로 있는 와이브레인 사의 세계 첫 웨어러블 치매 의료기기에 대한 기사문 입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0651461
(SW 스타랩) 대용량 이미지 검색과 시제품 렌더링을 위한 근접질의 SW개발 제안서 선정
우리 학부 윤성의교수 연구실에서 제안한 "(SW 스타랩) 대용량 이미지 검색과 시제품 렌더링을 위한 근접질의 SW개발" 제안서가 선정 되었습니다. 본제안서는 Proximity Computing (근접
석박사과정모험연구사업 최우수과제 최종 선정
우리 전산학부 임우상(박사과정 3년차) 씨가 아래와 같이 석박사과정모험연구사업에서 최우수과제(1등) 로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선정되심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 아 래 = 1. 연구비 지원: 4,000만원 2
러시아 이노폴리스 학생교환 협정
우리학교 전산학부와 러시아의 Innopolis University 간의 Academic Exchange Agreement를 지난 4월 10일부로 체결하였습니다. 본 협정을 통하여 매년 최대 4명의 학부생 또는 대학원생(
KAIST - 네이버(주) 컴퓨터 사이언스 및 공학분야 인재 양성 프로그램 산학협력 협정
KAIST(총장 강성모)와 한글과컴퓨터(대표이사 김상헌)는 17일(금) 오후 2시 정보전자공학동 전산학부 교수회의실에서 컴퓨터 사이언스 및 관련 공학분야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산학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본 협약식에
박은영 선생님 인터뷰
전산학부에 21년동안 근무를 하신 박은영 선생님께서 학교의 새로운 방침에 따라 4월 1일부로 다른 학과로 옮기게 되셨습니다. 늘 따뜻한 미소로 학과사무실을 지켜주셨는데 새로운 곳에서도 또 많은 KAIST인들에게 도움을 주시리라 생각합
이성주 교수님 부임
우리 전산학부에 2015년 4월 1일 부로 이성주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이성주 교수님은 2015년 UCLA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전공은 Networking, Mobility, Wireless, Systems, Secu
Qualcomm Innovation Award 2015
Qualcomm Innovation Award 2015 최종 선정 논문 중 전산학부 논문을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며, 선정을 축하 드립니다. Sung-Ho Bae, Munchurl Kim, “HEVC-bas
초저가 3D프린터 개발한 카이스트생 “대박 났어요”
초저가형 3D프린터를 개발해 대학생 창업의 성공모델을 제시한 전산학부생 서석현 씨에 대한 기사문 입니다.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890
2014년도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및 개교 44주년 우수 교직원 선정
지난 2월 17일 우리 전산학과에서 아래와 같이 2014년도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및 개교 44주년 기념 우수 교직원이 선정 되었습니다.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1. 박종철 교수님: 2014년도 KAIST 대표연구
괴짜 학생과 교수가 만든 KAIST 창업 신화
KAIST 전산학과 출신 기술 창업자(김광태(1987년 전산학과석사), 이해진(1992년 전산학과 석사), 김영달(1993년 전산학과 박사), 김정주(1993년 전산학과 석사), 김길연(2002년 전산학고 석사) 분들의 기사문 입니다
SW 교육캠프 ‘SW Welcomes Girls’개최
우리 대학 전산학과는 25일(일)부터 29일(목)까지 창의학습관에서 SW중심사회를 선도할 미래 여성 IT인력 발굴과 양성을 위한 SW교육 캠프행사를 개최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번 행
한영훈 박사과정 학생 ˝Stanford University E145 - Technology..
우리 전산학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랩의 박사과정 한영훈 학생이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주최로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와 실리콘 밸리에서 개최된 Stanford E145 - Technology Entrepreneurs
전산학과 박사과정 서상원 씨 장학금 기부
우리 학교 전산학과 박사과정 서상원(지도교수 맹승렬. 33)씨가 발전기금 1천만 원을 학과에 전달했다. 서 씨가 전달한 기부금은 복수학위프로그램 파견 학생의 장학금으로 쓰일 예정이며 학과 후배들을 위해 매년 1천만 원의 장학금을
대용량 그래프에서의 삼각형 검색 연구
[강 유 교수] 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소셜 네트워크, 웹 페이지 연결 네트워크, 전화망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표현한다. 그래프에서 삼각형이란 서로 연결된 세 정점 집합을 의미한다. 삼각형 검색 문제는
이흥규 교수 기술혁신포상 수상자 선정
기술혁신에 기여한 교원에 대하여 사기를 앙양하고 기술혁신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혁신포상 수장자를 선정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우리 학과 교수님께서 선정되어 알려드립니다. = 아 래=
송준화 · 신인식 교수 연구팀 스마트폰을 이용한 5.1채널 서라운드 기술 개발
우리 전산학과 송준화 · 신인식 교수 연구팀이 여러 대의 스마트폰 스피커를 이용해 5.1채널 서라운드 효과 같은 고품질 음향을 내는 기술을 개발한 기사 내용입니다. http://www.hankyung.com/news
안휘 박사과정 학생 “SIGAPP Student Travel Award 수상˝
우리 전산학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랩의 박사과정 안휘 학생이 Invited Student Author로 선정 SIGAPP Student Travel Award ”을 수상 하였습니다. 논문제목: "Re
2014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장려상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2014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논문발표회에서 아래와 같이 우리 전산학과 우수논문이 선정되었습니다. •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대중교통 이동 패턴 추출 및 이동 토픽 분석 박호성 (한국과학기술원 전산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
KAIST 학부생들이 개발한 3차원(3D) 프린터가 제품이 출시되기도 전에 100여 대를 미리 주문 받아 화제입니다. 서석현 KAIST 전산학과 3학년생 등 학부생으로 이뤄진 개발진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출력하는 ‘델타
백승환 석사과정, 김민혁 교수, ACCV 2014 최우수 응용논문상 수상
백승환 석사과정과 김민혁 교수가 3차원 스테리오 영상기법에 대한 논문을 구두 발표하고,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CCV 2014)로부터 최우수 응용논문상 및 최우수 데모상을 동시에 수상 하였
한컴-KAIST 연구센터 개소식
KAIST와 한글과컴퓨터가 첨단 IT기술을 접목한 SW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우리대학과 한컴은 지난 29일 전산학과 에서 강성모 KAIST 총장, 김상철 한컴 회장, 이홍구 한컴 부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lsq
Francisco Rojas, PhD student, received the Disting..
KAIST Computer Science Ph.D. Student Francisco Arturo Rojas (http://mind.kaist.ac.kr/Francis) (age 32) who is advised by Professor
ACM-ICPC KAIST교내 경진대회 결과
ACM-ICPC KAIST교내 경진대회 결과 -금상: OriGoGi - 전산학과(마재의,이태현,이현섭) -은상: Cstar - 전산학과(박영규,변욱재) 무학과(정민규) -동상: PS10 - 전기(김동현,최수환), 수리과학(오승윤) -장려상 : 8팀
Boeing (USA) 산학과제 체결
[윤성의 교수] 미국 보잉사와 대용량 모델 가시화 관련 산학 과제를 체결하였다. 이 과제는 2년간 총 USD 375K (한화 3억 7천)의 연구비로 진행될 예정이다. 관련 연구 URL: http://sglab.ka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