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s
정지원 교수님 SoCG'16 Best Paper 수상
지난 6월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제 32회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ational Geometry (SoCG 2016) 에서 정지원 교수님 논문 2개가 선정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Best Pape
네이버 펠로우쉽 선정 및 수상 안내
오는 7월 25일(월) 우리 전산학부 Duc Hoang Bui(박사과정, 지도교수: 신인식), 김수인(박사과정, 지도교수: 오혜연), 류덕산(박사과정, 지도교수: 백종문), 박건우(박사과정, 지도교수: 차미영), 박창희(박사과정, 지
포스트 양자 암호체계 연구 시급
우리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의 "포스트 양자 암호체계 연구 시급" 한국정보보호학회 칼럼 기사문 입니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1051
양은호 교수 부임 안내
우리 전산학부에 2016년 7월 11일부로 양은호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양은호 교수님의 전공은 통계적 기계학습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s.kaist.ac.kr/people/view?idx=5
사이버 보안 교육·훈련 상호교류 협약
지난 11일(월) KAIST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사이버 보안 교육·훈련 상호교류 협약관련 기사문 입니다. 본 협약은 KAIST 전산학부가 전담해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관련 협약 입니다. http://www.daejon
[시론] 인공지능과 인간의 미래
2016년 3월 17일 중앙일보에 실린 우리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의 "인공지능과 인간의 미래" 시론 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19736242
이주영, 김주호 교수 부임 안내
*사진상 좌(김주호 교수), 우(이주영 교수) 우리 전산학부에 2016년 7월 1일부로 이주영, 김주호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이주영 교수님의 전공은 전공 암호론, 조합론으로 이력은 아래와 같으며 https:
IT융합 및 응용에 대한 여성토크 콘서트 (IT Women Engineers Talk Co..
지난 6월 22일 (수) N1 다목적홀에서 "IT융합 및 응용에 대한 여성토크 콘서트" 가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전산학부 박진아 교수와 전자과 이현주 교수가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KWSE)로 부터 지원을 받아
KAIST-TUIT Collaboration Program 수료식
우즈베키스탄 Tashkent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연수생 교육 훈련 프로그램인 KAIST-TUIT Collaboration Program의 2016년도 봄학기 KAIST 방문 연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6월 20일 전산학부 교수회의실에서 수료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NRF 중견 핵심 연구에 선정
우리 전산학부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증 연구실 (지도교수: 김문주)에서 제안한 "SW 품질 향상을 위한 테스팅 자동화 및 디버깅 자동화 기술" 과제가 NRF 중견 핵심 연구에 선정 되었습니다. (연 1억씩 2016년 6월부터 3년간 수행) 선정을 축하 드립니다.
알파고 충격’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 [출처: 중앙일보]
2016년 3월 15일 중앙일보에 실린 우리 전산학부 김기응 교수의 "알파고 충격’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 시론 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19723142
GPU기반 Accelerated Computing 및 Deep Learning 특강실습 개..
CS380(컴퓨터그래픽스개론) 수강생들과 전산학부 학생들을 위하여 N1 건물 102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GPU기반 Accelerated Computing 및 Deep Learning 특강실습이 진행되었다. - 제목: GPU기반
김문주 교수 STVR 저널 Editorial board 선임
우리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가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우수 저널인 Journal of Software Testing,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STVR) 의 Editorial Board로 선임 되었습니다. 선임을 축하드립니다.
Microsoft Research Japan-Korea Academic Day 2016 수..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님과 김효수 학생이, 지난 5월 20일 일본 동경에서 열린 Microsoft Research Japan-Korea Academic Day 2016에서 Poster & Demo 발표회 1st Prize를
한국연구재단 웹진 5월호 '연구자를 만나다 - 글로벌 여성리더
우리 전산학부 교수인 박진아 교수의 '한국연구재단 웹진 5월호 '연구자를 만나다 - 글로벌 여성리더' 컬럼에 소개된 인터뷰 내용입니다.(http://webzine.nrf.re.kr/nrf_1605/?chapter
2016 전산학부 인턴 및 취업 설명회 개최 안내
전산학부에서는 2016년 여름방학을 맞이하는 3 ,4 학년 학생을 위하여 인턴설명회와 여름학기 졸업하는 학생들을 위한 취업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특히 인턴은 바람직한 인턴 수행을 위하여 교수들이 주제와 회사를 공모하여 엄선하여 추천하
강성원 교수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 선출
우리 전산학부의 강성원 교수는 2016년 3월부로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으로 선출되어 2018년 2월까지 그 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학문적, 교육적, 기술
이윤정 선생님 인터뷰
학부사무실을 늘 따뜻하게 해주셨던 이윤정 선생님께서 학교 방침에 따라 전산학부를 떠나시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교원인사와 관련된 중요한 일들을 맡아 학과발전에 많은 공헌을 해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1. 선생님 소개 간
한국정보과학회 제35회 학생논문경진대회 수상안내
우리 학부 김윤호 박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김문주 교수)이 한국정보과학회 제35회 학생논문경진대회에서 "실제적인 유닛 컨텍스트 생성에 기반한 효과적인 자동 Concolic 유닛 테스팅" 논문으로 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참고: 최우수1명, 우수 2명,장려 3명)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16 - Com..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16 -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 QS 랭킹 컴퓨터과학 및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우리 학부가 전세계에
이선아 박사 경상 대학교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의 이선아 박사(지도교수: 강성원)가 2016년 3월부로 경상대학교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선아 박사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연구실(SA Lab)에서 2010년 가을학기부터 박사학위 연구를 시
2016년 전산학부 SW심화과정 학생워크샵 개최
우리 전산학부에서는 지난 25일(금) SW심화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화과정 학생 간 및 참여교수의 상호교류 및 친선도모, 심화과정 학생 개인별 포트폴리오 작성 및 점검, 참여 기관과의 산학 교류를 위해 무주덕유산리조트 스타라우스홀에서 학생 워크샵을 개최했다.
KAIST-(주)엑셈 산학협력 협약 체결
우리 전산학부에서는 지난 24일(수) 전산학부교수회의실에서 빅데이터 운영 관제 소프트웨어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KAIST-(주)엑셈 사 간의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2016 KAIST 로봇 프로그래밍 IT 캠프
우리 전산학부에서는 26일 오늘 전산학부 디지털실험실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필연적이고 전 세계적인 흐름에 맞춰서, 향후 국가 경쟁력을 책임지게 될 어린 중고등학생들이 로봇 이론과 실습 교육을 통해 소프트웨어가 지닌
홍신 박사 한동대학교 조교수 임용
우리 전산학부 홍신 박사(지도교수: 김문주)가 2016년 3월부터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컴퓨터공학 전공 조교수로 임용하게 되었습니다. 홍신 박사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증 (SWTV) 연구실에서 2011년 봄학기부터 박사학위 연
2016년 개교 제45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2016년 개교 제45주년을 기념하여, KAIST 발전에 기여하고 공로가 큰 우수교원 수상에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학술상), 오혜연 교수(창의강의대상), 박진아 교수(공적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진서 석사과정, 백경덕 학부생, KCSE 2016 최우수 및 우수 논문상 수상
우리 전산학부의 이진서 석사과정 학생(지도교수: 고인영, 왼쪽 사진)과 백경덕 학부생(지도교수: 김광조, 개별연구 지도교수: 고인영, 오른쪽 사진)이 2016년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
기성회장상 수상
2016년 학위수여식 학사과정 성적우수 졸업생 중 우리 전산학부 장윤석 씨과 기성회장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전산학부 창업 동문, ‘릴레이 기부’로 1억 2천만 원 모교에 전달
지난해 KAIST 재학생이 앱 매각 수익금을 모교에 기부한데 이어 이번에는 전산학부 창업 동문들이 앱 매각 수익금을 KAIST에 전달했다. 서울버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한 박영훈(25 ․ 전산학부)학생은 지난해 12월 전
주 출입구 및 학생 휴게실 준공식 행사
전산학부에서는 1월 11일 오후 3시부터 전산학부 주출입구 및 학생휴게실 준공식 행사를 전산학부장, 시설부장, 학술문화원장, 시설팀장, 전산학부학생대표, 교수 및 직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기존 설치한 출입구 구조
동문 벤처기업 이파피루스, 1억 2천만 원 상당의 소프트웨어 기증
전자문서 솔루션 전문기업 (주)이파피루스(대표 김정희)가 20일(화) KAIST에 1억 2100만원 상당의 소프트웨어를 기증했다. (주)이파피루스는 KAIST 전산학과를 졸업한 김정희(38) 대표가 창업한 회사로, 문서
올해의 동문상 시상식 및 수상자와의 대화
지난 24일 정보전자공학동(E3-1) 제1공동강의실에서는 공과대학에서 주최한 올해의 동문상에서 우리 전산학부 동문인 김정주 NXC대표이사가 선정되었다. 김정주 대표이사는 국내 디지털콘텐츠 분야를 선도하여, 정보서비스산업 발전에
차상길 교수님 부임을 축하드립니다.
지난 11월 16일 우리 전산학부에 차상길 교수님께서 부임해 오셨습니다. 차상길 교수님은 2015년에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전공 분야는 Software Security, Prog
조정완 CAIR 회의실 현판식 개최
KAIST 전산학부에서는 오는 6일(금) 전산동에서 전산학부 발전에 크게 기여하신 조정완 교수의 뜻을 기리고 확산하고자 전산학부 교수 및 학생,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조정완 CAIR 회의실’현판식 행사를 개최한다.
최기선 교수, 한글 발전 및 보급 공로로 옥조근정훈장 수훈
우리 대학 전산학부의 최기선 교수가 지난 10월 9일 금요일에 제569돌 한글날을 맞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한글 및 한국어의 발전과 보급을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옥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최
송준화 교수, 미국컴퓨터협회 SenSys 학회 운영위원장 선임
우리 대학 전산학부 송준화 교수가 세계컴퓨터학회(ACM) SenSys(Conference on Embedded Networked Sensor Systems)의 학회운영위원장(General Chair)에 선임됐다. 지난 2003년
KAIST - Oberthur Technologies(OT) MOU 체결
2016년 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는 올해를 한국의 해로 제정하여 과학,문화, 예술등 다방면에서 양국간의 상호 교류를 한 단계 격상하여 더욱 친밀한 관계로 발전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황 교안 총리께서 한국정부
Test-Of-Time 2006 Award 수상
윤성의 교수가 참여한 아래 논문이 고성능 그래픽스 국제학회 (High-Performance Graphics)에서 올해 2015년에 선정한 "Test-Of-Time 2006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RT-
MLSS 2015, Spotlight Presenter 선정
[사진상 중간이 임우상 박사과정생] 우리 전산학부 임우상 박사과정 학생 (지도교수: 배두환)이 지난 8/23-9/6에 일본 교토에서 열린 MLSS 2015에서 스포트라이트 발표자(Spotlight Presenter)로 선정되어
학부생 박소연 URP(학부연구프로그램)에서 최우수상 수상
우리 전산학부에 박소연 학생이 URP 프로그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URP와 더불어 본 연구는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acceptance rate: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