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Mon May 19, 2025

Speaker

정경미


Title

Digital Phynotyping과 Digital Therapeutics: 심리학적 접근


Abstract

최근 big data와 생성형AI의 급격한 발전은 심리서비스 영역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심리평가/진단/치료에 대한 대안적 서비스전달체계로써 DP와 DTx의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고있다.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은 기존 심리서비스 이론과 전달방식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현행 기술적 접근방식의 문제점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했을 때 가능할 것이다. 본 강의에서는 우울장애를 예로 평가와 진단에 대한 적용기술인 DP와 생성형AI를 이용한 인지행동치료 챗봇 개발의 문제점과 제안점을 제시할 것이다.


Bio

정경미 교수는 임상심리학 박사로 국내와 미국의 심리학자 자격증과 면허증을 가지고 있으며, 우울, 자폐성 장애, 그리고 신체장애로 인한 2차 정신장애 환자들에게 평가, 진단 및 행동치료, 행동분석 및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해 왔다. 정경미 교수는 Digital Mental Health 랩을 운영하면서, 2012년부터 다수의 국가 및 민간과제를 통해 심리서비스앱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해 왔으며, 핸드폰을 통해 수집된 자료로 머신러닝과 복잡계이론에 근거한 통계방식을 이용해 우울을 예측하는 Digital phynotyping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Languag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