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카이스트 전산학부 출신의 교육 플랫폼 스타트업 엘리스가 매일경제 등 언론에 소개

    전산학부 김재원(지도교수: 오혜연) 박사과정생이 스타트업 회사인 엘리스 사에 대한 언론 보도자료 입니다. 매일경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am

  • KAIST, 양자컴퓨터도 뚫지 못하는 '완전 준동형 암호화 서명' 기술 개발한다.

    양자컴퓨터 시대에도 활용할 수 있는 '완전 준동형 암호화 서명' 개발과 관련하여 우리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의 기사문 내용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509000056

  • 국내 첫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 된 김광조 KAIST 교수

    국내 첫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이 된 김광조 교수의 전자신문 기사 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501000100

  • 신인식 교수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ICT 창의과제 부분 선정˝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ICT 창의과제 부분에 선정되었습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에 시작해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의 3개 연구분야에 10년 간 총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국가 미래기술

  • 허재혁 교수 연구실 스타랩 선정

    우리 학부 허재혁 교수 연구실 SW스타랩 지원 대상 연구실 선정과 관련된 기사 입니다.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

  • [특별기고] 소유물과 생체정보 이용한 복합 인증 시대의 개막

    우리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의 기고문 내용입니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3946

  • 김광조 교수, 세계암호학회 석학회원 선정

    우리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암호학회(IACR) 석학회원에 선정된 기사문 입니다. 세계암호학회는 2004년부터 매년 암호 연구에 지대한 공헌과 학술 활동 진흥에 기여한 회원 중 2~6명을 석학회원으로 선정하며

  • 김대영 교수, EU와 글로벌 IoT 농식품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

    우리 전산학부 김대영 교수 연구팀과 유럽연합(EU)이 사물인터넷(IoT) 개방형 표준 및 아키텍쳐를 통한 글로벌 농식품 비즈니스 통합 에코시스템 개발 공동연구(The Internet of Food & Farm 2020, IoF

  • 백승근 학생 TOPCIT 대상 수상

    지난 12월 22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우리 전산학부 학부생인 백승근 학생(지도교수: 김문주)이 IITP, '제6회 TOPCIT 정기평가'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관련기사

  • “대화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이성주 교수님 인터뷰

    KAIST ACM Student Chapter 두번째 뉴스레터에 멋쟁이 이성주 교수님의 인터뷰가 내용입니다. “대화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이성주 교수

  • 내 아이 위치 실시간 확인…'라인키즈폰' 10만대 돌풍

    라인 키즈폰 개발사인 키위플러스 사 대표 전산학부 서상원 박사과정(지도교수: 맹승렬) 학생의 기사문 입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110810471

  • 생각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북이…신기한 기술

    우리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의 연구내용이 8시 뉴스에 나와 해당내용을 안내 드립니다. "생각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북이…신기한 기술"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new

  • NIPS(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Confere..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페이스북에 실린 우리 전산학부 양은호 교수님 기사 내용입니다. 출처: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페이스북 10월 12일자 게시물 NIPS(Neural Information P

  • 사이버 보안 교육·훈련 상호교류 협약

    지난 11일(월) KAIST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사이버 보안 교육·훈련 상호교류 협약관련 기사문 입니다. 본 협약은 KAIST 전산학부가 전담해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관련 협약 입니다. http://www.daejon

  • [시론] 인공지능과 인간의 미래

    2016년 3월 17일 중앙일보에 실린 우리 전산학부 오혜연 교수의 "인공지능과 인간의 미래" 시론 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19736242

  • 알파고 충격’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 [출처: 중앙일보]

    2016년 3월 15일 중앙일보에 실린 우리 전산학부 김기응 교수의 "알파고 충격’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가" 시론 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19723142

  • 한국연구재단 웹진 5월호 '연구자를 만나다 - 글로벌 여성리더

    우리 전산학부 교수인 박진아 교수의 '한국연구재단 웹진 5월호 '연구자를 만나다 - 글로벌 여성리더' 컬럼에 소개된 인터뷰 내용입니다.(http://webzine.nrf.re.kr/nrf_1605/?chapter

  • 부활하는 컴퓨터학과…대입 합격선 자연계 최상위권 '수직상승'

    ● 부활하는 컴퓨터학과 … 대입 합격선 자연계 최상위권 ‘수직상승’ 기사문 입니다. 보도언론사 : 한국경제 > 종합 05면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2630831

  • 초저가 3D프린터 개발한 카이스트생 “대박 났어요”

    초저가형 3D프린터를 개발해 대학생 창업의 성공모델을 제시한 전산학부생 서석현 씨에 대한 기사문 입니다.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890

  • 대한민국 인터넷의 대부(代父)

    [전길남 교수] 美 이어 세계 2번째로 인터넷 기술 개발한 전길남 박사 'IT 코리아' 초석을 놓다...해외 과학자 유치에 부응해 NASA에서 가난한 조국으로 먼저 성공한 건 인터넷 연결, 이어 컴퓨터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