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전동킥보드·공유차 해킹 무방비…암호화된 ‘비번’도 빼간다

    http://me2.do/FNi187ea 2019년 11월 15일 KBS 뉴스에 보도된 전산학부 기사 입니다. "전동킥보드·공유차 해킹 무방비…암호화된 ‘비번’도 빼간

  • KAIST·마크애니, AI기반 콘텐츠 무결성 검증 서비스 개발...2020년 상용화

    우리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 연구팀과 마크애니(대표 최종욱)가 인공지능(AI)을 이용, 디지털 이미지·비디오 위·변조 여부를 식별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무결성 검증 시스템을 개발과 관련된 언론기사 입니다.

  • 김주호 교수, '정말 내 생각일까?'…SBS D포럼, 한국 사회 점검 / SBS / 주영진..

  • 스마트폰으로 사물을 두드려 인식하는 신기술 개발

    KAIST(총장 신성철)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을 사물에 노크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신기술<노커(Knocker)>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 방식과 달리 카메라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어두운 곳

  •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 KBS 호모사이언스 (2019.8.27 방영)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 KBS 호모사이언스 (2019.8.27 방영)

  • KAIST, 에듀테크 스타트업 럭스로보와 AI 교육과정 개발…국내 독자 교수법으로 확장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와 에듀테크 스타트업 럭스로보(대표 오상훈) 제품을 이용한 인공지능(AI) 강의를 개설관련 기사입니다. 기사보기(전자신문, 190922)

  • 중앙대, 김진형 前인공지능연구원장 석좌교수 초빙

    우리 전산학부 김진형 명예교수의 중앙대 석좌교수 초빙관련 기사입니다. 연합뉴스 (2019.09.04) 에듀인뉴스(2019.09.04)

  • KAIST, 개발기간 줄여줄 새로운 프로그래밍 방법론 도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의 자바(Java) 개발을 주도한 가이 L 스틸 주니어 미국 오라클 랩 박사와 프로그래밍 언어 '포트리스' '스칼라'의 새로운 '타입 시스템'을 정의하고, 이를 수학

  • 스마트 기기간 자유로운 프로그램 이동 플랫폼 기술 개발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와 미국 버팔로대 스티브 고 교수 공동 연구팀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의 프로그램을 여러 스마트 기기에서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 기술 개발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https://ww

  • [사이언스 칼럼] VR 과 AI

    3월 1일자 중도일보에 게재된 박진아 교수의 VR 과 AI에 관한 기고문 입니다.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8010010278

  • “내 뜻대로 움직여요!”…환자 의지까지 예측하는 로봇손 개발

    장애로 손을 쓸 수 없는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과 관련하여 KAIST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 연구팀의 언론기사 입니다. https://ytn.co.kr/_ln/0105_201902

  • 김문주 교수, ICSE 2019 SE in Practice (SEiP) 논문 채택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학회인 ACM/IEEE ICSE Software Engineering in Practice (SEiP) 트랙에 우리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 연구실의 논문이 채택되었다. 본 논문 "Aut

  • 안드로이드 앱 전산오류 방지 분석도구 개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 및 배소라·이성호 박사과정과 함께 안드로이드를 운영체계(OS)로 사용하는 이종언어 사이의 동작 방식에서 결함을 검출해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는 수학 모델을 개발에 대한 기사내용 입니다.

  •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활용해 유튜브 영상 본다.

    우리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김효수 연구교수 연구팀이 가구, 거울 등의 주변 사물들을 터치 입력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터치 사운드 위치파악 기술을 개발한 언론 보도자료 입니다. https://www.sedail

  • 차미영 교수 IBS CI(Chief Investigator) 선정

    기초과학연구원(IBS)이 기초과학분야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도전적인 독립연구를 수행할 3명의 CI(Chief Investigator)로 엄상일 교수(42세․KAIST), 김호민 교수(40세․KAIST), 차미영 교수(39세․KAI

  • KAIST, 인공신경망 기반 워터마킹 기술 개발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의 "KAIST, 인공신경망 기반 워터마킹 기술 개발" 관련 기사입니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980

  • KAIST '순차 지식' 정리해 주는 알고리즘 플랫폼 개발

    <왼쪽부터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마니쉬 아그라왈라 스탠포드대 교수, 장민석 박사과정> 전산학부 김주호 교수팀과 마네시 아그라왈라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 스위스 로잔공대 연구팀과 함께 각종 순차 지식을 정

  • KAIST 개발 농식품 유통 관리 플랫폼, 완주로컬푸드 적용

    전산학부 김대영 교수의 주도로 개발한 '올리옷(Oliot) 플랫폼'이 국내 최대 규모의 농식품 협동조합인 완주로컬푸드에 적용돼 5일부터 운용에 돌입한다는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com/2

  • 신인식 교수 스마트폰 앱 신뢰성 높이는 '플렉스로이드' 기술 개발

    우리 학부 신인식 교수팀이 앱에 포함된 외부 코드의 부적절한 자원 및 정보 활용을 막는 안드로이드 운용체계(OS) 기술 '플렉스로이드' 개발과 관련된 기사 입니다. http://www.etnews.com/20180

  • 전산학부 석사과정 류형욱 TOPCIT 최고득점

    우리 전산학부 석사과정 류형욱씨가 TOPCIT 최고득점자와 관련된 기사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22411058

  • 문수복 교수 2018년도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 선정

    지난 1월 3일 발표된 2018년도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권오경)정회원 관문인 일반회원에 우리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선정된 기사입니다. 선정을 축하드립니다. 기사보기: http://www.etnews.com/20180103000240

  • 신인식 교수, 스마트폰 전력소모를 절반으로 줄이는 기술 개발

    신인식 교수, 스마트폰 전력소모를 절반으로 줄이는 기술 개발 스마트폰 웹 브라우저의 소모 전력을 기존의 40% 수준까지 줄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기술이 개발됐다. 스마트폰 전력 소모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웹 브

  • 김민혁교수, 초소형 초분광 영상기술 소개

    KAIST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초소형 초분광 영상기술과 관련된 기사가 EurekAlert Science News와 Photonics Media에 소개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수천에서 수억원이상을 호가하는 초분광

  • 제14회 HDCON, 실감나는 침해사고 현장 그대로 재현…우승은 KAIST팀

    지난 13일 서울 양재에서 진행된 제14회 HDCON(Hacking Defense CONtest, 해킹방어대회) 에서 우리 전산학부와 정보보호대학원 학생이 참여한 팀이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한형석: 차상길교수 석사과정 -

  • ˝가짜뉴스 점조직처럼 퍼져…인공지능으로 팩트체크 가능˝

    지난 11월 10일 연합뉴스에 게재된 차미영 교수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가짜뉴스 탐지기술이라는 주제로 가짜뉴스의 폐해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소개에 대한 기사입니다 http://www.yonhapnews.co.kr/bul

  • 류석영 교수 연구실 ˝하이브리드앱 결함검출 기술 세계 첫 개발˝

    우리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 연구실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와 자바스크립트의 전산 오류와 보안 취약점을 동시에 찾아주는 결함검출기술에 대한 전자신문 기사 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1108000279

  • 오혜연교수, KBS 특별기획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 콘서트

    오혜연교수, KBS 특별기획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 콘서트 강연 금번 KAIST와 KBS 대전총국은 공동으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KAIST 의 관련 연구

  • 세계일보, 8월 16일자, ˝KAIST 국내 최초 '창업석사과정' 첫 졸업생 3명 배출˝

    (사진상 가운데 전산학부 이한별 학생) 세계일보, 8월 16일자, "KAIST 국내 최초 '창업석사과정' 첫 졸업생 3명 배출" http://www.segye.com/newsView/2017

  • KAIST·국보연 논문 3편, 세계 유수 보안학회 ACM CCS 채택 ‘경사’

    보안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4대 학회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ACM CCS(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2017에 우리 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 알림 조절해주는 앱 나온다…KAIST, 인공지능 활용 SCAN 기술 ..

    SCAN 기술 개발에 참여한 KAIST 인력. 왼쪽부터 이성주·이동만·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박천종 박사과정, 임준성 현 삼성전자 SW센터 연구원 우리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팀과 김주호&midd

  • 스마트기기 앱기능 공유 모바일 플랫폼 개발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스마트기기 간 앱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또한 본 연구 논문은 ACM MobiSys 에 게재 되었습니다. 2017년 7일 28일자 세계일보

  • 인공지능으로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한다...KAIST, 감정 파악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으로 사람의 감정까지 파악한다...KAIST, 감정 파악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2017년 7월 12일 전자신문에 게시된 조성호 교수 기사입니다. 기사원문: http://www.etnews.com/2

  • [KAIST AI를선도한다]인간과 협업 가능한 지능형 제조로봇 기술 개발

    KAIST 전산학부 윤성의 교수 연구실은 스마트 로봇 개발에 필수적인 작업지능 기술 개발인 자동 작업 경로 생성에 관한 내용으로 2017년 6월 26일 월요일 전자신문에 기재되었다. http://www.etnews.com/20170623000120

  • [KAIST AI를 선도한다] <5>AI의 꽃 '딥러닝'

    KAIST 전산학부 윤성의 교수 연구실의 ‘웹 스케일 이미지 검색 기술’의 연구 성과가 2017년 5월 14일 전자신문에 기재되었다. 대용량 빅데이터 환경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기술이 소개되었다.

  • [KAIST AI를 선도한다] KAIST AI 기술 본류는 전산학부

    2017년 7월 10일자 전자신문에 게재된 전산학부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710000276?SNS=00002&rccode=lvRc

  • [KAIST AI를 선도한다]경계 넓히는 KAIST 전산학부 다양한 연구분야와 융합

    2017년 7월 10일자 전자신문에 게재된 전산학부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710000277

  • [KAIST AI를 선도한다]김명호 전산학부장 “AI 및 SW, 4차 산업혁명시대 선도 좌..

    2017년 7월 10일자 전자신문에 게재된 전산학부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710000278?SNS=00002&dable=10.1.4

  • [KAIST AI를 선도한다]조성호 교수, 딥러닝 적용한 로봇 시각지능 기술 개발

    6월 25일자 전자신문에 실린 조성호 교수의 딥려닝 적용한 로봇 시각지능 기술 개발 기사 입니다. http://www.etnews.com/20170625000027

  • 드론 활용 대형 구조물 3D 스캔 기술 개발

    **사진상: <조성호 KAIST 전산학부 교수(왼쪽), 송수환 박사과정(오른쪽)> 우리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대형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구축하는 드론 경

  •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 뇌로 드론 제어하는 기술 연구

    [KAIST AI를 선도한다] - 전자신문기사 (2016.06.06) 우리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의 AI와 드론 기술을 시작으로 다양한 기기를 움직이는 연구에 관한 전자신문 기사입니다. http://www.etnew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