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 COMPUTER SCIENCE

  • korea
  • search
  • login

Directions

  • 대전광역시교육청-KAIST, AI·SW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우리 전산학부 배두환 교수가 센터장을 맡고 있는 KAIST SW교육센터와 대전광역시교육청이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AI·SW 교육진흥 및 인재육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언론기사 입니다.

  • “스마트폰으로 사물 투시한다” KAIST, 증강현실 ‘원더스코프’ 개발

    출처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913000650 인체모형 투시 콘텐츠. 사람들이 앉아 있을 때, 걸을 때, 뛸 때 심장 박동의 변화를 시각, 청각, 촉각적으로 느낄

  • 전길남 ˝글로벌 인터넷 경쟁서 밀리는 한국…속도 1위보다 생태계 리더 돼야˝

    출처 :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082171731 |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kr 한경 인터뷰 40년 前 '인터넷 개통 주역' 전길남 K

  • [특별인터뷰] ‘일상 대화 AI 챗봇 기술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한국어 블렌더봇',..

    출처 : 인공지능신문 (2022.07.17) | 최광민 기자 지난해 7월 메타(구 페이스북)가 혁신적인 AI 챗봇 ‘블렌더봇 2.0BlenderBot 2.0)’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 GPT-3와 메

  • KAIST, KS한국고용정보, 대전광역시 컨택센터협회와 업무협약(MOU)

    지난 7월 7일 KAIST 본원 전산학부 교수회의실에서 진행된 KAIST - KS한국고용정보 및 대전광역시컨택센터협회와 ‘감정노동자를 위한 휴먼 디지털 트윈 연구’와 관련한 상호 교류·협력을 위한 양

  • 크래프톤 정글, 소프트웨어 개발 인재 양성 본격

    지난 7월 5일(화) 오후 1시부터 KAIST 문지캠퍼스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KAIST SW사관학교 정글프로그램-(주)크래프론 양해각서 체결식 관련 기사입니다. 출처 : https://zdnet.co.kr/view/?no=202

  • KAIST, '실내외 통합 GPS 시스템' 개발...실내에서도 단절 없이 위치 인식

    출처 : 전자신문(2022-07-08) |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한동수 전산학부 교수팀(지능형 서비스 통합 연구실)이 실내외 환경 구분 없이 정밀한 위치인식이 가능

  • 경북대 SW재난연구센터, SW 오류와 보안 취약 탐지 기술로 저명 학술대회 수상 잇달아

    출처 : 전자신문(2022-06-26) https://www.etnews.com/20220624000148 우리 전산학부 허기홍 교수 연구팀의 "SW 오류 분석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 개발" 언론 기

  • 이흥규 교수, 영상 위변조 탐지 카이캐치 2.1 버전 개발

    KAIST(총장: 이광형)는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인공지능 구조와 학습 방법론, 그리고 실험실 환경에서는 구하기 힘든 고급 변형 이미지 영상들을 사용해 영상 이미지 위변조 탐지 소프트웨어인 '카이캐치(KaiCa

  • 링글, 국제 저명 학회서 ‘AI 기반 맞춤형 학습 기술’ 발표

    우리 전산학부 김주호 교수 연구팀과 링글사가 공동 개발한 AI 학습 시스템 관련 기사입니다. 출처 :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45469 (본투글로벌센터) (이미

  • 박정국 엘리스 공동창업자, ‘포브스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 선정

    출처 : 박정국 엘리스 공동창업자, ‘포브스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 선정 (김동현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666MFOOFQ KAIST 전산학부 학

  • [여성과학기술인②] KWSE 박진아 부회장, “2023년 창립 30주년, 국내외 학술 역량..

    출처 : 에이티엔뉴스 이기종 기자 (http://www.atnnews.co.kr) - 학술 분야 리더로서 자신감과 도전 역량 키우는 교육학술위원회 운영 - 다양한 분야 여성과학자들로부터 받는 신선함이 연구 마중물이며 에너지 원

  • 전산학부 박사과정 조은호 학생, 빅데이터 AI 서비스 관련 MBN 언론 인터뷰

    4월 20일부터 22일에 걸쳐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월드IT쇼 (World IT Show) 2022와 동시 개최된 ITRC 인재양성대전 2022에서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 조은호(지도교수: 고인영) 학생이 MBN 언론 인터뷰를

  • AI로 사람 감정 읽는 서비스로봇 만든다

    출처 : https://zdnet.co.kr/view/?no=20220421180134 "AI로 사람 감정 읽는 서비스로봇 만든다" 우리 전산학부 윤성의·조성호 교수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 김문주 교수가 창업한 브이플러스랩, SW 테스팅 방문 세미나 및 상담 무료 진행

    세계적인 AI 기반 자동 테스팅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CROWN 2.0을 선보이며 주목받고 있는, KAIST 김문주 교수가 창업한 브이플러스랩이 올해 4월까지 무료로 테스팅 세미나 및 상담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4차산업혁명 시대를

  • [대덕포럼] X로 시작하는 평범하지 않은 새해

    대전일보 2022년 1월 18일자로 게재된 우리 전산학부 맹성현 교수의 "[대덕포럼] X로 시작하는 평범하지 않은 새해" 기사문 입니다. 1월엔 뭔가 새로운 것을 떠올리게 된다. 새해 희망을 담아 올 해 계획을

  • KAIST 김문주 교수가 창업한 브이플러스랩(주)의 소프트웨어 자동 테스팅 솔루션 CROW..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인 소프트웨어의 복잡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기술집약적인 테스팅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데, KAIST 김문주 교수가 창업한 브이플러스랩에서 개발한 SW 자동 테스팅 솔루션 ‘CROWN 2.0’

  • 카이스트에 간 은행원…하나銀, 디지털 워리어 1기 수료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하나은행은 '디지털 워리어 프로그램' 1기에 참여한 직원 40명이 현업에 복귀한다고 28일 밝혔다. 양손잡이 인재 양성을 위한 이 프로그램은 카이스트(KAIST)와 업무협약을 맺고

  • 2021 CRA Member One-Pager [KAIST 전산학부]

  • 세계지식포럼2021에 전산학부 교수 참여

    이번 9월 14일~16일에 걸쳐 개최된 세계지식포럼(World Knowledge Forum) 2021에 우리 학부 차미영 교수가 초대되어 기초과학 세션에서 데이터과학에 대한 발표를 했다. 다음은 발표 내용이 담긴 유튜브 링크이다.

  • [사이언스온고지신]양자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국가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시급

    [8월 22일 전자신문에 게시된 김광조 교수의 기고문 내용입니다.] : https://m.etnews.com/20210820000060 [사이언스온고지신]양자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국가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시급 [전

  •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인천재능대 총장에 9월 취임

    출처 : ZDNet Korea (2021.08.15) https://zdnet.co.kr/view/?no=20210815101719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국내 인공지능(AI) 분야 태두인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 크래프톤 내 KAIST 출신 전·현직 직원 뭉쳤다…모교에 110억 쾌척

    <기사원문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38&aid=0002104571> [디지털데일

  • 이흥규 교수, 딥페이크 탐지 SW '카이캐치 ' 스마트폰 앱 서비스 시작

    이흥규 교수 연구실에서 KAIST 벤쳐인 (주)디지탈이노텍과 공동으로 개발한 딥페이크와 사진 이미지 위변조 탐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용 '카이캐치' 앱을 3월 3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카이스트에서 위변조를 잡

  • ˝학과 정원 유연해져야 '신산업 인재' 키울 수 있다˝

    2021년 3월 24일 게시된 한국일보에 기시된 "화석이 된 상아탑 학과 정원 유연해져야 '신산업 인재' 키울 수 있다" 관련 기사로 우리 전산학부 전산학부장 인터뷰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2021년 공학한림원 정회원 및 외국회원 선정

    사진상 (좌 : 문수복 교수, 우 : 오혜연 교수) https://n.news.naver.com/article/584/0000012188 2021년 공학한림원 신입 정회원에 문수복 교수가 신입 외국회원에는 오혜연 교수가 선

  • KAIST-SKT 코로나 감염증 확산방지 시스템 협약체결

    우리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가 개발한 PreSPI 솔루션을 활용하여 KAIST와 SKT가 코로나 감염증 확산방지 시스템 협약체결 관련 기사입니다. 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it/article

  • 日 NHK, 카이스트 한동수 교수팀 감염병 추적 기술 주목

    조선일보 2020년 10월 27일자에 실린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한 감염병 추적 기술이 일본 NHK에 소개관련 기사입니다. 카이스트(KAIST)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팀이 개발한 감염병 추적 기술이 일본 NHK에 소

  • [표창원의 사건반장] 사건수사연구소 (첨단 조작 기술)

    지난 10월 16일(금) 오후 4시 30분 부터 25분간 "JTBC 표창원의 사건수사연구소" 에 우리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가 출연하여 딥페이크의 문제, 현황 등에 대한 질의 응답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 [코로나19 긴급진단] 세계 최초 '코로나19 확산 방지 시스템'

    우리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의 세계 최초 '코로나19 확산 방지 시스템' 방송내용입니다. 출처 : 2020. 7. 28. CMB대전뉴스

  • [AI 사피엔스 시대]˝에이, 짜증나˝ ˝아이, 행복해˝…인간과 '희노애락' 나누다

    영화 '허(her)' 남자 주인공은 여성 목소리를 지닌 인공지능(AI) 운용체계(OS) '사만다'와 사랑에 빠진다. 사만다는 남자 주인공이 데이트에 실패하고 돌아오자 기분을 풀어주기 위한 이야기와 음악을

  • KAIST 세계 최고 수준의 DBMS 기술 개발

    KAIST는 23일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 연구팀이 데이터베이스 질의 언어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 질의어) 처리 성능을 대폭 높인 세계 최고 수준의 DBMS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김 교

  • KAIST, '딥러닝' 활용해 우울증 진단 돕는 기술 개발

    딥러닝을 활용해 우울증 자가진단 설문지를 분석, 좀 더 쉽게 우울증 징후를 잡아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다양한 설문지 양식에 대응할 수 있고, 다른 분야의 분석 영역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 KAIST, 스마트폰 탑재 장비로 코로나19 동선 확인 기술 개발…˝사생활 침해도 막는다˝

    KAIST 연구진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위치파악기술로 개발한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확인 시스템 개요도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을 정확히 파악하면서 사생활 침해도 막을 수 있는 위치확인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 네이버-KAIST 손잡고 AI 전문인력 양성한다

    지난 5월 14일(목)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던 KAIST-NAVER-NBP 간 교육업무 협약식 기사입니다. 네이버와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인공지능(AI)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 저변 확대를

  • KAIST, MS와 3D 콘텐츠 혁신기술 개발...'현장에서 고화질 실시간 구현'

    국내 연구진이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MSRA)와 함께 고화질 3차원 영상 콘텐츠를 순식간에 생성하는 혁신 기술을 구현했다. 기술이 상용화 되면 관련 산업 파급효과가 막대할 전망이다. 김민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

  • 한동수 교수, ‘실전 스타트업 바이블’출판

    KAIST(총장 신성철)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업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참고할 스타트업 입문서 ‘실전 스타트업 바이블’을 출간했다. 저자 카이스트 한동수 교수는 의과대학에서 공과대학으

  • “인포데믹 막아라” 국내 과학자들 나섰다

    우리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의 “국가에서 국가로 퍼지는 인포데믹(정보감염증)을 막기 위해 이화여대 간호대와 함께 ‘루머 보다는 팩트(Facts before rumor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rdq

  • [인터뷰] 차상길 교수, “카네기멜론 사이랩 모델 추진”

    우리 전산학부 차상길 교수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인터뷰] 카이스트 차상길 사이버보안연구센터장, “카네기멜론 사이랩 모델 추진”

  • [줌 인 피플] 스마트폰 앱 생산성 200배 향상 기술 개발…이성주 교수 / YTN 사이언..

1 2 3 4